View : 446 Download: 0

아동 행태특성과 공간 기능을 고려한 초등학교 환경색채 가이드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 행태특성과 공간 기능을 고려한 초등학교 환경색채 가이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nvironment color guide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children's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space function
Authors
좌민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오늘날 대두되고 있는 인간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은 공간에 내재된 개개인의 심리적 행동 패턴의 본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근본적인 인간의 욕구와 가치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하는 이용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접근 방법을 통한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과 인간의 행동패턴을 탐구하고, 긍정적인 행태 지원성(behavior affordance)을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조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원성은 인간이 지각행위를 통하여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사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향후 환경에 대한 행동 가능성과 영향력을 예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근거한 지각환경의 질적 향상과 색채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최근 사회 전반의 걸친 각 분야에서 빠른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교육 분야 역시 교육의 질적 제고 및 개선에 대한 다양한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미래의 학교 교육의 방향은 아동을 중심으로 창의적, 통합적 사고를 위한 자기 주도적인 참여교육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와 소통을 통하여 학교와 지역 간의 연계가 강화되어 도시의 커뮤니케이션 역할이 강조되어 진다. 이에 발맞추어 이용자 중심의 학습공간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반면, 교육환경의 환경색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아동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공간의 구성요소로는 물리적인 공간과 교육 콘텐츠뿐만 아니라 공간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색채 환경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아동 행태 강화를 위한 공간 기능과 색채 기능을 고려한 환경색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인 아동 중심의 행태를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행태를 공간과 시간에 따라 통합적인 시스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아동의 행태 지원성 강화를 위한 공간과 색채 기능을 고려한 아동 중심의 환경색채 기준 및 가이드 제시에 초점을 두고 이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의 연령별 행동특징을 파악하고, 생태학적 환경지각에 따른 깁슨(JJ. Gibson, 1986:재인용)의 환경 지원성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교육공간의 환경색채 가이드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아동 행태지원 강화를 위해 공간 기능과 색채 기능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아동중심의 행태지원을 위한 색채계획의 필요성을 제고하였다. 둘째, 현황분석을 통하여 학교 공간 기능과 아동의 다양한 행태특징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의 공간 기능의 분석과 색채현황의 분석, 아동 행태 분석을 통해 공간 기능 요소와 행태 지원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기능과 아동행태를 기반으로 기능과 행태지원을 위한 교육 공간 색채의 선행조건을 산출하였다. 셋째,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간과 행태지원 강화 요소에 따른 기대심리와 색채 기능을 고려하여 아동 행태 지원을 8개 요소로 분류하여 색을 추출하고, 각 요소별 추출한 색을 아동들의 행태지원을 위한 학교색 97색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행태지원성 강화를 통하여 긍정적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초등학교의 환경색채 가이드를 제안함으로써 교육공간의 색채 환경변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간에서의 환경색채가 기존의 색채선호도에 의존하는 점에 문제점의 제기하고, 아동행태 관찰을 통하여 공간의 기능에 적합한 아동에게 긍정적인 행태지원을 위환 환경조성에 대한 연구로서 타 연구와 차별화를 두었다. 학교색 97색과 제안한 색 범주의 색채가이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적 요구와 이용자의 행태지원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손쉽게 접근 가능한 색채계획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육공간의 환경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 교육공간의 색채에 대한 체계적인 색채 기준 정립 및 전문가의 필요성과 제도적 개선에 대한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사회의 본질적인 가치문제 가운데 교육환경의 중요성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통합적 교육 환경조성에 기여 할 수 있기를 바란다.;Summarize A human-centered design paradigm rising today is changing to the user-centered one to present and reflect human basic needs and value criteria through studies on the natur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behavior patterns inherent in a space. By means of a user-centered approach,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uman behavior patterns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space also contributing to constructing a physical environment which can provide a positive behavior affordance. Affordance shows that human beings may predict an action possibility and its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in a process that they recognize, think and judg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perceptual behaviors. Accordingly, this study recognized a necessity for research 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erceptual environ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color environment based on the ecological perception theory. Recently, with a rapidly changing paradigm in each area of a society, educational field is also facing demands for a variety of changes with a view to qualitative raising and improving. Future school education is changing to a paradigm of a self-directed participatory education centered on children for creative and holistic thinking. Besides, linkage between school and region is being enhanc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community, emphasizing a communicative role of a city. So,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a user-centered learning space but there are few on the environmental color in the educational space. As 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field influencing on children's behavior, color environment creating a spatial atmosphere takes an important role in addition to the physical space and educational content. Therefore, through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olor considering functions of space and color to intensify children's behavior, it is regarded that positive and active support may be given to behaviors of children as users. So,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children's behavior from an integrated systemic perspective of the space and time and presenting a criterion and a guide of children-centered environmental color for intensifying their behavior affordanc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of the space and color.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suggested a theoretical frame for guiding an environmental color of the educational space through understanding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age in the developmental stage and examining the theory of environmental affordance by Gibson(JJ. Gibson, 1986: recited) according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al perception by literature study. It reconsidered a necessity for the color planning to enhance children-centered behavior affordance through examining a correlation of spatial and color functions. Secondly, this study derived school spatial functions and children's various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a present situation. Elements of the spatial function and behavior affordance were derived through analyses on the spatial function, present color situation and children's behavior at an elementary school. So, based on the spatial function and children's behavior, it figured out a prerequisite of educational environmental colors for behavior affordance. Thirdly, through such a process, this study extracted colors by dividing children's behavior affordance into 8 elements considering a psychology of expectation and color function according to spatial and behavior affordance intensification elements. So 97 school colors were selected for children's behavior affordance from abstracted colors by each element. Furthermore, it planned to suggest an environmental color guide for establishing elementary school's positive educational circumstances through enhancing behavior affordance, providing a potential to change a color environment at the educational space. Fourthly, this study summarized a conclusion on research findings and described limitations of research. As such, this study raised some questions about dependence of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n the existing color preference in the educational space and made a differentiation from others in that it aimed at forming an environment to provide children with positive behavior affordance fitting for the spatial function through observation of their behavior. Using suggested 97 school colors and a color category guide, it is expected to offer a color planning tool easy accessible for predicting various demands for a space and a possibility of user's behavior affordance. Also, together with recognition on importance of the color planning in the educational space, it suggests a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ystemic color criterion by a professional and significance of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arous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the essential value issue of a society and contribute to constructing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