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Title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between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and Preschoolers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in Pretend Play and Memory Talk
Authors
정혜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가 사용하는 마음상태 용어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와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가 유아의 마음이론과 관련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만 4세 유아와 이들의 어머니 43쌍을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상놀이는 어머니와 유아가 가상놀이 놀잇감을 가지고 자유놀이를 하는 상황이며, 과거회상 대화는 지난 1년 동안 함께 경험한 사건 중에서 유아가 기억할 만한 특정한 정서적인 사건들에 대해 유아가 잘 기억할 수 있도록 최대한 자유롭게 대화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가 사용한 마음상태 용어의 사용 유형과 사용 빈도는 송정(2008)의 ‘정신상태 용어 목록’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마음이론은 외양실제과제(Flavell, Flavell, & Green, 1987), 내용교체과제(Perner, Leekam, & Wimmer, 1987), 위치이동과제(Wimmer & Perner, 1983), 그리고 이차틀린믿음과제(Perner & Wimmer, 198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놀이에서는 어머니와 유아 모두 욕구상태 용어를 인지 및 정서상태 용어보다 다양한 유형으로 빈번하게 사용하였으며, 과거회상 대화에서는 어머니와 유아 모두 정서상태 용어를 인지 및 욕구상태 용어보다 여러 가지 종류로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둘째,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의 사용 유형과 사용 빈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어머니가 사용하는 마음상태 용어와 유아가 사용하는 마음상태 용어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 모두에서 마음상태 용어 중 어머니의 인지상태 용어가 유아의 마음이론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놀이에서는 어머니의 인지상태 용어의 사용 유형이 틀린믿음과제와, 과거회상대화에서는 어머니의 인지상태 용어의 사용유형 및 빈도가 이차틀린믿음과제의 수행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의 사용과 마음이론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마음이론의 전체 점수로 산출하여 마음상태 용어와의 관련을 살펴보았을 경우에는 가상놀이에서의 마음상태 용어의 사용만이 관련이 있었다. 유아의 욕구상태 용어와 인지상태 용어의 사용 유형 및 빈도와 틀린믿음 간 상관이 있었으나, 과거회상에서는 정서상태 용어의 사용 유형 및 빈도와 이차틀린믿음과제 간 상관이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가상놀이와 과거회상 대화의 두 가지 상황에서 어머니와 유아가 사용하는 마음상태 용어를 측정하여 유아의 마음이론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가 언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맥락에 따라 마음상태 용어의 사용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마음이론의 발달과도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어머니와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를 사용하는 맥락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1) to explore types and frequencies of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and preschoolers, (2)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ypes and frequencies of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and preschoolers, (3)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and preschoolers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 total of 43 4-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a videotaped laboratory procedure that involved pretend play, memory talk, and theory of mind tasks.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and preschoolers were assessed in pretend play and memory talk and were coded for types and frequencies of desire state terms, emotional state terms, and cognitive state terms. Preschoolers’ theory of mind was assessed using the appearance-reality task, false-belief tasks, and second-order false-belief tas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nd preschoolers used desire state terms more than other state terms in pretend play. During the memory talk, mothers and preschoolers used emotional state terms more than other state terms. Second,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eschoolers’ mental state terms, in terms of both types and frequencies. Third, maternal cognitive state ter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schoolers’ theory of mind. More specifically, types of maternal cognitive state terms used during the pretend play were related to preschoolers’ false-belief, and frequencies of maternal cognitive state terms used during the memory talk were related to preschoolers’ second-order false belief. Finally, preschoolers’ mental state ter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ory of mind. During the pretend play, types and frequencies of desire and cognitive state terms were related to false-belief. However, during the memory talk, preschoolers’ emotional state terms were associated with second-order false-belief. This study considered both pretend play and memory talk to assess mental state terms used by mothers and preschoolers.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texts where mental state terms are used and suggest that in the future research, diverse contexts need to be considered when studying relations between mental state terms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