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정지영-
dc.creator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0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0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과 자살위험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정신장애인은 일반인 보다 외상경험을 많이 하고, PTSD 발병률이 높으며, 외상경험이 정신질환의 경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적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외상경험이 정신장애인의 높은 자살위험성과도 상호연관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자살은 자살을 생각하고, 계획하고, 자살을 시도하여 자살시도가 성공하면 자살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자살위험성을 자살과 관련된 계획이나 실천 등과 관련된 모든 것에 대한 생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외상경험, PTSD증상, 내면화된 수치심을 제시하였고, 보호요인으로 사회적지지를 제시하여 이들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의 차이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 해 보았다. 즉,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파악하여 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 PTSD증상 및 자살예방을 위한 이론적․실척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인지역에 소재한 지역정신건강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8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18.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은 대부분 외상적 사건을 경험하였고,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입원 횟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외상경험자의 약1/3에서 PTSD증상을 경험하였고, 연령이 낮을수록, 가족과 함께 살지 않을 경우 PTSD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애인들의 약1/3에서 자살시도 경험이 있었고, 38.5%에서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측정모형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연구모형이 충분히 수용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외상경험은 PTSD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PTSD증상은 내면화된 수치심, 자살생각,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내면화된 수치심,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을 살펴보면,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PTSD증상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TSD증상과 사회적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지지의 차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에서는 외상경험이 PTSD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PTSD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는 외상경험이 PTSD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PTSD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이르는 취약요인과 보호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위험 상황에 있는 정신장애인의 자살위험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을 자살위험성 연구모형에서 초점화하여 살펴봄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외상경험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였고, 외상경험 및 PTSD증상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이끌어 냈으며, 실천적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셋째, 기존의 자살연구에서 소개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생각의 중요한 예측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이 PTSD증상을 경험하는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매개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자살위험을 사정하고, 예방하는데 내면화된 수치심의 유용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에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다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회적지지가 자살위험을 보호하는 주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지지체계 확보를 위한 사회적 관계망의 확대와 연계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the traumatic experiences and suicide risks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orders. There have been empirical reports that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have more frequent traumatic experiences and higher incid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an those without mental disorders and such traumatic experiences have, in turn, shown negative effects on the progress of mental disorders. Based on those report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traumatic experiences may be associated with the high suicide risk rate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the suicide risk as all the thoughts that are related with suicide including the suicide plan or attempt and to measure it, based on the inclusive and continual concept that suicide is associated with suicide ideation, suicide plan and suicide attempt; unfortunately the success of attempting suicide may be led to the death.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traumatic experiences, PTSD symptoms, and suicide prevent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ere suggested by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their suicide ideation. Tests were conducted 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PTSD symptoms, and internalized shame as the risk factors of suicide and on social support as the protective factor. A test was also conducted on how the path from traumatic experiences to suicide ideation may differ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via a multi-group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88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using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by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esting study hypothesis via SPSS 18.0 and AMOS 20.0.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ubjects had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have had such experiences, the more often they were hospitalized. One-third of the subjects who have had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PTSD symptoms; as they are younger,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PTSD symptoms; and as they were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PTSD symptoms. Second, one-third of the subjects had attempted suicide, and 38.5% often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hird,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that the study model can be fully accept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ach observed variable and the composing concepts of the sub-variables of each variable was confirmed, and the suitability indices of the study model with which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ere tested also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s to the findings on the direct effects, the traumatic experiences directly affected the PTSD symptoms; the PTSD symptoms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suicide ideation; and the internalized shame mos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icide ideation of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Fifth, as to the findings on the indirect effects via the mediating variables, the effects of the traumatic experiences on the suicide ideation were mediated by the PTSD symptoms, and the effects of the PTSD symptoms and social support on the suicide ideation were medicated by the internalized shame. Sixth, the multi-group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support showed that the traumatic experienc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TSD symptoms, and the PTSD symptoms significantly affected suicide ideation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social support; and in the group that ha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e traumatic experienc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TSD symptoms, but the effects of the PTSD symptoms on the suicide ideation were insignificant. The conclusion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er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at high risk of killing themselves was explored by analyzing the vulnerable and protective factors that drive traumatic experiences toward suicide ideation. Second, the importance of traumatic experiences was newly recognized 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the academic interest in traumatic experiences and PTSD symptoms rose,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practical intervention was established by focusing on the traumatic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in the study model of suicide risk.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ized shame is the significant predictor that has not been introduced yet and is a relatively new concept in the field of research on suicide. That is, the usefulness of internalized shame for assessing suicide risk and preventing suicide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as confirmed by showing that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ho had PTSD symptoms with suicide ideation. Fourth,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the primary factor of the protect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from suicide risk, after multilaterall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path from the traumatic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to their suicide ideation. Therefore, social relations networks to secure social support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must be expanded and connected with other social relations net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7 C. 연구의 의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정신장애인과 자살위험성 9 1. 정신장애인의 개념 9 2. 정신장애와 자살 11 B. 주요변인의 개념 및 관계 15 1. 외상경험 15 2.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18 3. 내면화된 수치심 24 4. 사회적 지지 29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모형 34 B. 연구 문제 및 가설 35 C. 연구 대상 및 표집방법 37 D.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8 E. 자료분석방법 44 Ⅳ. 연구결과 4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6 1.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46 2. 정신장애 관련 특성 49 3. 연구대상자의 자살관련 특성 50 B. 주요변수의 기술적 특성 51 1. 외상경험 51 2. PTSD증상 55 3. 내면화된 수치심 58 4. 사회적 지지 61 5. 자살생각 63 C. 주요 변수의 자료특성과 분포특성 66 1. 주요 변수의 결측치 및 정규성 66 2.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67 D. 연구모형의 분석 69 1. 측정모형 분석 69 2. 구조모형분석 71 3. 효과의 분해 74 D. 다집단 분석(multi -group analysis) 75 1. 사회적 지지의 차이 77 2. 동일성 검증 78 Ⅴ. 결론 및 제언 83 A. 연구결과 요약 83 1.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기술적 분석결과 83 2.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85 B. 논의 86 1. 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과 자살위험성 86 2. 독립변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87 C. 함의 91 1. 이론적 함의 91 2. 실천적 함의 92 D.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8 1. 연구의 한계 98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00 참고문헌 102 부록 131 Abstract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61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과 자살위험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raumatic Experiences and Suicide Risk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dc.creator.othernameJung, Ji Young-
dc.format.pagexi, 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