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가치 중심 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가치 중심 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Management for the Brand Value of Flower Design Brand
Authors
안희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기업 가치 형성의 핵심적 요인인 브랜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속에 바람직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브랜드 경영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경쟁시장에서 경쟁기업들의 새로운 가치관과 니즈를 반영하는 브랜드 마케팅의 도입으로 브랜드가 문화로까지 이해되면서 가격과 품질, 상품, 특성에 대한 정보 전달과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 소비자의 의식과 가치관을 반영하여 이를 변화시키는 정서적,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브랜드관리의 다양한 연구가 요구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마케팅 환경에서 브랜드의 이미지 전달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장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하여 브랜드는 제품의 본원적 특성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브랜드 관리 차원에서 브랜드에 활력을 더하기 위한 전략은 이미지 시각과 마케팅 상호 보완적인 측면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와 마케팅 역량을 고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상품과 마케팅을 ‘브랜드’라는 개념으로 바라보는 의식이 높아지고 기업 아이덴티티에도 무게를 두고 있으며 디자인의 방향성을 경영자 자신이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경영자가 디자인에 대한 배려와 디자인을 주도하며 의식을 새롭게 하는 ‘가치 중심 경영’이 요구 되고 있는 현실이다. 디자인을 위한 경영 모델이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브랜드 디자인의 가치 중심 경영 전략으로의 전환은 기술력 경쟁에서의 디자인역량을 활용한 강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장이며 꾸준한 노력과 발전이 거듭되면서 생활로 확장되고 기술적인 부분도 보완되어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제공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꽃은 본질적으로 인간 마음의 정화와 사회적인 소통 도구로서의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Zigler,2003)고 했듯이 생명이 있는 꽃이라는 상품에 디자인적 요소와 용도, 목적에 맞는 문화적, 심리적 코드까지 결합된 복잡하고 정교한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꽃의 신선도 뿐 아니라 상품자체의 품질과 무형의 가치도 창출하여 소비자에게 포지셔닝 되어야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 사업 규모는 현재까지 영세하고 수익성이 낮은 특성을 보이나, 차차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활발한 시도들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문화적으로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기 위한 방안으로의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 가치 중심 경영전략 중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살펴보고, 플라워 아카데미에 집약된 경영전략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원데이 스쿨 참여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근에는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플라워숍 형태를 벗어나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들이 등장하는 추세이며,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들도 다양한 경영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들은 플라워 아카데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자가 플라워 아카데미 참여한 사례를 통해 유명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원데이 아카데미는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가치 향상에 기여하며, 플라워 브랜드 체험을 통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제안하고, 브랜드와 함께하는 스토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발전을 위해서는 가치 중심 경영전략이 요구되며, 플라워 아카데미 형태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경영전략으로 유용함을 제시하는 의의를 갖는다. 꽃의 소비량으로 그 나라의 문화적인 수준을 가늠할 수 있듯이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높은 안목에 맞추어 플라워 디자인의 개발과 발전이 시급하며, 디자인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플라워 브랜드의 활성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이를 위해 국외의 유명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경영 전략 벤치마킹을 통해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정립과 함께 확장을 위한 경영전략의 하나로 플라워 디자인의 브랜드의 가치 중심 경영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체험을 통한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방향성 제시에 효과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A brand which is a key factor of company value’s formation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ntangible asset of company and all companies of the world concentrate on business strategy of brand so as to carve a proper place for themselves in consumers’ mind ultimately. In competitive market, a brand is understood as even culture because brand marketing reflecting new values and needs of competitive companies is introduced. As information of price, quality, products and characteristics is delivered, reliability is formed and consumers’ consciousness and values are reflected, various studies on brand management are requested from emotional, social and cultural angles so as to change them. However, it’s not easy to manage the brand effectively and deliver brand identity in current marketing environment which is rapidly changed. It’s necessary to manage brands continuously because they have continuous relations with consumers by getting out of original characteristics of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spire design business capabilities for strengthening brand from angles of image sight and complementary marketing, for the brand strategy vitalizing those brands at the level of brand management. But, a sense considering products and business as a concept of ‘brand’ is recently heightened and company identity is emphasized. And, managers cannot help suggesting the directivity of design in this period. Therefore, ‘value based management’ that managers consider design, lead design and renew the sense is actually demanded. In reality that management model for vitalizing design is not established, it’s desperately necessary to cultivate strong brands utilizing technical skills or design power by getting out of share competition as a management strategy improving brands to a core of company value. Especially, managers should be aware of the value of brands and innovation for themselves. As innovation is not simply brought, it should be familiar as culture and its technical part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repeated efforts and developmental time, so it must be related to the better cultural lifestyle. Like a mention, “Flower essentially has cultural meaning as a tool of humane spirit’s purification and social communication.(Zigler,2003)”, design factors and cultural and psychological code for uses and goals are combined to the product of flower with vital power, so more complicated and elaborate concept is involved. Therefore, freshness, product quality and intangible value should be variously created so as to improve satisfaction of consumers. Through the analytic data for improve the image of flower designed brand, this researcher intensively studied on ‘academy typed collaboration’ so as to apply it to actual life culturally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from an angle of one-day school participant. Although the scale of flower business is still small generally and its profitability is low, but flower design brand by collaboration is actively tried little by little and it has lots of development possibilities in the future. Cultural level of the country can be estimated by consumption of flower. It’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flower design for keen eye of Korean consumers. And, flower brands should be vitalized through the design application and cultural capabilities should be rapidly revealed.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should be to understand identity through the benchmarking of domestic/foreign famous flower design brands, enhance previous system of flower culture’s knowhow and life quality’s improvement, establish the identity of flower design brands after starting manual preparat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and develop high-quality capabilit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should contribute to detection of our own ‘originality’ even a litt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