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2 Download: 0

어포던스와 패턴 랭귀지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유형화 연구

Title
어포던스와 패턴 랭귀지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유형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pace Design Typology utilizing Affordance and Pattern Language
Authors
최설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인간 중심 디자인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이후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는 꾸준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인간의 행태는 다변적이고 불확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공간 디자인 과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확정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행동 패턴과 공간에서 발생하는 과제를 유형화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하나의 세트로 이해한다면 효과적이고 경쟁력이 강화된 디자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에서 출발한다. 먼저, 지각 심리학적 사고에 기반을 두고 인간의 인식과 행태의 내적 기제인 어포던스(affordance) 개념을 그 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주요한 연구를 살펴보고 공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포던스 이론이 전개되면서 연구자들의 견해에서 공통으로 구성하고 있는 개념 3가지는 환경, 사용자, 행동이었다. 그리고 연구 전개의 중심인 깁슨(Gibson)과 노먼(Norman)의 가장 큰 차이점은 깁슨은 물리적 환경의 지원성 개념으로, 노먼은 디자인 범주에서 행동 유도성 개념으로 전개하였다는 점이다. 이후에 게이버(Gaver), 하슨(Hartson), 장(Zhang)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서로 부족한 부분을 절충, 발전시키고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에 맞게 분류하며 어포던스의 극대화된 효과를 위해 연구하였다. 그들은 깁슨과 노먼의 ‘실제적’과 ‘지각적’ 어포던스라는 커다란 두 축을 더욱 상세히 분류하고 인간이 시간에 따라 공간에 얽혀 행동하는 순차성, 그룹화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그 복잡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또 다른 키워드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의 현대 건축디자인 방법론 패턴 랭귀지(pattern language)를 살펴보았다. 그의 이론은 인간의 건축 행위에 유전자 정보 같은 것이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패턴 랭귀지는 이론의 명칭에서부터 그 핵심이 함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것은 우리 주변의 시공간을 초월한 불변 요소를 패턴(단어)으로 규정하고, 패턴 랭귀지(문법)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요구로 하는 환경(문장)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도시, 건축, 그리고 시공에 관한 3가지 다른 규모의 패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패턴은 패턴 랭귀지 전반에 걸쳐 서로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방법에 있어 패턴 랭귀지(pattern language)는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현실적 제약을 무시한 이상론이라는 지적과 디자인의 창조성과 복잡성을 단순화 시키는 무모한 시도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러한 비판은 민주적이며 적극적인 디자인 방식이라는 점과 다양한 변수들을 제한하고 질서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된다. 또한, 기존에는 사용자와 설계자가 철저하게 구분되어 그 차이로 인한 디자인 과정의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던 것과 달리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환경을 만들어 갈 가능성을 제시한다. 어포던스(affordance)가 환경과 그 속에서 생활하는 인간의 상호관계의 확정적인 논리가 아닌, 심리적, 행태적 관계 생성을 지원해주는 복잡하고 불확정적인 역할임을 감안하여 어포던스를 담고 있는 물리적 공간의 객관성은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어포던스와 패턴 랭귀지를 묶어서 살펴보는 일은 패턴 랭귀지가 단순히 공간의 물리적 형태 어휘가 아닌 사건과 경험을 포함하는 공간 언어라는 점과 다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마련된 설득력 있는 공간적 데이터베이스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하여 패턴 랭귀지 253개의 패턴 중에서 도시, 지역 커뮤니티 범주의 포괄적인 패턴들과 구조 및 시공 관련 패턴들을 제외하고 개인이나 작은 집단이 감당할 수 있는 92개의 패턴을 선정하여 어포던스를 분석하였다. 패턴 랭귀지의 구성 내용 중 문제의 본질, 패턴의 내용, 해결책을 종합하면 그것이 해당 패턴이 사용자에게 지원하고 유도하는 공간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 곧 어포던스라는 것을 알았다. 패턴 랭귀지에 내포된 어포던스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기 위한 도구로 어포던스의 요소와 속성을 활용하였다. 어포던스의 요소에는 장소, 장치, 행태, 태도, 분위기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유형화를 시도할 수 있었다. 어포던스 속성은 깁슨과 노먼이 주장한 개념인 지원성과 유도성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유형화 작업을 거치며 이러한 어포던스가 혼합되어 순차적으로 그리고 그룹 지어져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 그 외의 어포던스의 다른 속성들에 대해서도 증명할 수 있다. 이어서, 패턴 랭귀지의 각 패턴은 어포던스의 요소와 속성과 함께 특정한 사용자 행동과 심리를 위한 공간을 나타내는데 그것은 곧 인간의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반영한다. 일종의 유형학적으로 검증된 공간 어휘라고 할 수 있는 패턴 랭귀지가 내포한 사용자 니즈 역시 일반적으로 인간이 공간을 통해 충족하고자 하는 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별로 인간이 공간에 대해 요구하고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보면 그 내용 역시, 특정한 패턴과 유형화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어포던스(affordance) 유형별로 그룹화하면 해당 패턴의 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편안(16%), 효율(16%), 자연(12%), 교류(11%), 교류와 프라이버시의 균형(8%), 조망(7%), 쾌적(7%), 프라이버시(6%), 경계(5%), 개방(4%), 전이(3%), 관습(3%), 장식(2%)의 순서로 13가지 유형으로 묶인다. 이처럼 패턴을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어포던스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공간 디자인 전략으로써 활용하는 것은 기존의 패턴 랭귀지를 활용하던 방법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와 그 이후 기존 연구에서 활용되어왔던 방법들이 공간 중심적 분석을 통하여 패턴을 선정하고 디자인하는 방식이었다는 점과 달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우선으로 하여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점에서 더욱 인간 중심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패턴 랭귀지(pattern language)를 어포던스에 따라 유형화하는 일은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사건과 경험이 곧 사용자와 그들의 행동으로 인한 것이고 그것들이 유형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공유될 수 있다는 점과 다양한 범주화 양식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디자이너나 일반인에게 공간 디자인의 유형화는 디자인적 문제 해결의 해답을 제공해 줄 수 있으나, 그에 대한 맹신은 사고의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형을 해답인 동시에 질문으로 본다면 이러한 경계에서 앞으로 탐구할 것에 대한 새로운 과제와 새로운 공간 디자인 사고의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After shifting to the paradigm of human centered design, the debate upon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s are constantly being generated. However, human being’s behavior within rapid changing times is multilateral and uncertain. Due to this, space design task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This research focuses on typology tasks that occur in spaces and behavior patterns by responding actively in such mentioned uncertainty. Furthermore, the research will set off in the belief that if solutions to such uncertainty are understood as a single set, the research will provide effective and competitive, strengthened design method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ing on perceptive, psychological thoughts as the base, the affordance concept (people’s awareness and behavior’s internal mechanism) is researched upon in that theory’s process of development. In addition, the research observed concept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field of space. And the research examined Christopher Alexander’s methodology of pattern language’s concept (this research’s another keyword) and structure,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his modern architectural design method. By taking into account that affordance, not as a definite theory of people’s correlation of environment or those who live in it, but that it is a complicated and uncertain role which supports psychological and behavior relationship generation, an objective perception towards affordance which comprises of physical space, is a crucial factor. Therefore, the duty of observing through combining affordance and pattern language as a whole, signifies that it is a persuasive spatial database which claims that it is not merely a form of a space’s physical language but a spatial language which includes cases and experiences. Furthermore, it includes numerous years of research. Thus, 92 patterns were selected and the affordance of the 92 patterns were analyzed; 92 patterns out of 253 consisting of patterns that individuals and groups can manage excluding cities, broad patterns at a regional community’s range a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related patterns. Within the composition of pattern language, if the essence of the problem, the content of the pattern and solutions are combined, it shows the pattern’s supportive, leading spatial characteristics towards users. It was identified that this was indeed, the affordance. As a tool to identify the affordance’s content (which is implicated in the pattern language) and to typology it, the affordance’s factors and attributes were utilized. Among the affordance’s factors, type was possible to be carried out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laces, installations, behavior, attitude and the ambience. The affordance’s attributes were distinguishable into environment affordability and behavior affordance, both of which are concepts emphasized by Gibson and Norman. In addition, as these affordances were able to combine and group themselves in an orderly fashion after undergoing typology, other attributes of other affordances were verifiable. The pattern language’s each pattern shows spaces for particular users’ behavior and psychology along with the affordance’s factors and attributes. This as a result reflect upon people’s requirements on space. The user’s needs in which the pattern language has connoted, which can be stated to be a spatial term qualified under certain type, can be said to show what people strive to satisfy through space. Therefore, by observing the content of what people require from space in accordance to patterns, that content shows particular patterns and a form of type. If these factors are grouped into affordances, it can be bound into 13 forms from most to least: comfort (16%), efficiency (16%), nature (12%), exchange (11%), the balance of exchange and privacy (8%), view (7%), pleasant (7%), privacy (6%), boundary (5%), openness (4%), transition (3%), custom (3%) and decoration (2%). If these patterns are typed into affordances that the patterns include and utilizing it as a spatial design strategy is a distinct factor which differentiates the methods used as the previous pattern language utilization. Different from the methods used by Christopher Alexander and researches after him in which patterns were selected through analysis centering on space and designed, this method can be claimed to be a method more centered on human beings by setting the user’s requirements as the priority and designing the space. The process of typology pattern language in accordance to affordance is in fact, a result from the users’ cases, experiences and behaviors. Furthermore,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sharing type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It also demonstrates that it displays power in embracing various categorization forms. However, spatial typology for designers and ordinary people can provide solutions to design problems but its blind faith can act as a limit. Thus, if patterns are viewed as a solution and a question simultaneously, one can acquire referential points on future explorations in such boundaries and also expand one’s possibilities of spatial design id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