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Olfactory function and smell percept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in Asian women

Title
Olfactory function and smell percept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in Asian women
Authors
김경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정호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Nausea and vomiting and olfactory hypersensitivity in early pregnancy are well-known phenomena.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olfactory change may relate with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We conducted the prospective study to investigate olfactory function changes during pregnancy and to figure out if changes in olfactory function and hedonic shift contribute to nausea and vomiting in early pregnancy. Subjects and Methods: Two groups of participants (total n = 90, pregnant women 50, non-pregnant women 40) were analyzed prospectively. Objective olfactory function was tested using KVSS-II test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II test). In addition, pregnant subjects underwent questionnaires to evaluate the severity of nausea and vomiting, whether the changes in subjective olfactory sensitivity, and evaluate unpleasantness to some categorized odors during pregnancy. Results : Threshold-Discrimination-Identification (TDI) score of pregnant women was the highest in the first trimest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ve olfactory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Subjective olfactory function score increased in pregnant women (mean 6.97 ± 1.18) than non-pregnant group (mean 5.34 ± 0.936) according to questionnaires in early pregnancy. Longitudinally, about 83% pregnant women in the first trimester felt their subjective olfaction was “more sensitive” than before, and the proportion was getting smaller after the first trimester. The unpleasantness to specific odorants in pregnant women was most prominent in the first trimester.;연구 배경 및 목적 : 임신초기의 오심 및 구토 그리고 후각 과민은 잘 알려진 현상이다. 이는 후각 기능 및 인지의 변화로 인해 오심 및 구토가 유발되는 것이라 추정된다. 이에 우리는 전향적 연구를 통해 임신 기간 중 후각 기능 변화를 찾아보고 이러한 후각 기능 변화와 인지 변화(hedonic shift)가 임신 초기 오심 및 구토에 기여하는 바를 찾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본원에 내원한 총 9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중 50명이 임산부였으며 나머지 40명은 비 임산부였다. 객관적인 후각기능평가를 위해 KVSS-II를 사용하였고 주관적인 후각변화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임산부의 오심 및 구토의 정도, 설문시기 기준 주관적 후각의 변화 그리고 사회환경에서 기원한 후각원, 음식관련 후각원 그리고 유해물질에서 기원한 후각원에 대한 불쾌감 정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임산부에서 TDI 점수는 임신초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객관적인 후각검사 결과가 임산부와 비 임산부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설문에서 답한 주관적 후각 기능 점수는 비 임산부군 (mean 5.34 ± 0.936) 에 비해 임산부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mean 6.97 ± 1.18). 시기적으로 보면 약 83%의 임신초기 임산부가 자신들의 주관적 후각 기능이 이전에 비해 “더 예민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더 예민하다.”고 느끼는 연구 대상군의 비율은 임신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특정 후각원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은 임산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임신 초기 음식 관련된 냄새에 대해 불쾌하게 느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임신을 함에 따라 주관적인 후각 예민도가 변화하게 되며 후각에 대한 이러한 주관적인 불쾌감의 변화가 임신 초기의 오심 및 구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임신 초기 오심 및 구토가 객관적인 후각 기능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는 연관성을 규명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임신 초기의 후각인지의 변화는 주관적 후각 예민도와 관련이 있으리라 추정한다. 이러한 임신과 후각 기능 변화 그리고 임신 초기의 오심과 구토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후각 인지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문화적인 배경 등 외부요인의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