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스마트 웨어 개발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연구

Title
스마트 웨어 개발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esign communication research and brand identity development of Smart Wear : Focused on lifestyle Case of smart clothing
Authors
윤혜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21세기는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지구 온난화를 겪고 있고 이상 기후 현상 또한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기후 문제는 패션 산업에도 영향을 주었다.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여가 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기능적, 편의성의 스마트 웨어가 각광받고 있다. 미래의 주류 패션산업은 스마트 웨어의 대중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인체 상태, 외부 환경, 편의성에 초점을 둔 스마트 웨어의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스마트 웨어의 경향과 기능 및 방법 분석을 통해, 향후 스포츠 아웃도어에 국한되어 개발 되었던 스마트 웨어를 캐주얼 브랜드에서의 적용으로 접근해 디자인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전반적인 스마트 웨어 사례는 유형별, 동향별로 ‘인체·건강정보 측정 및 조절’, ‘환경감지·알림’, ‘체온·습도 조절’, ‘생체정보 측정’, ‘환경·위치 감지 및 조절’, ‘생체정보 측정’, ‘환경제어·차단’, ‘위치정보 제공’,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interactive communication)’ 등으로 나뉘고, 용도별 유형으로는 일상생활용, 엔터테인먼트용, 네트워크용, 건강관리지원용, 환경특수용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웨어의 도구로서의 분류로 섬유, 섬유+디바이스, 디바이스 세 가지로 나누어 심미성 정도를 분석하고 현재 스마트 웨어의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스마트 웨어의 기능과 방법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1차원적인 기능성 섬유에서 시작해 점차 디바이스가 접목된 스마트 웨어가 개발되고 점차 IT의 의존도가 높아져 섬유 자체의 기능보다는 디바이스의 의존도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일상생활용의 개발이 엔터테인먼트나 네트워크, 의료용의 스마트 웨어보다 개발이 부각되지 않은 점을 확인하고, 이 점을 캐주얼 스마트 웨어에 접목하여 전반적인 범주별 디자인 전략을 제안한다. 국내의 대표적인 중저가 캐주얼 브랜드인 지오다노의 기능성 의류에 스마트 웨어의 요소를 적용시켜 국내 중저가 캐주얼 시장에서는 잘 시도되지 않았던 스마트 웨어의 그룹을 제안한다다. 사실 이미 지오다노에서 개발되어 있는 링클프리나 이지케어등의 기능성 의류를 기반으로 스마트적 요소를 가미하여 스마트 웨어의 복종별 전개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안한다.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현대 패션산업에서는 새로운 상품을 생산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아이디어를 새롭게 조합 및 접목시켜 고객에게 신선함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디바이스를 접목시킨 스마트 웨어는 실로 넘쳐나지만 가격경쟁력 및 심미성이 떨어지는 요인들 탓에 고가에도 수요가 많은 스포츠, 아웃도어 브랜드에서의 개발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환경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라이프 스타일용 스마트 웨어 제안은 스마트 웨어와는 거리가 있던 캐주얼 영역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선한 제품군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지오다노와 같은 중저가 캐주얼 브랜드의 스마트 웨어 디자인 및 커뮤니케이션 제안에 관한 연구로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시킨 디자인 및 그에 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고, 향후 스마트 웨어의 기획 시, 합리적인 가격 및 타겟 연령층의 구체적인 설정으로 앞서 제시한 스마트 웨어 외에도 더욱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가능함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스포츠 아웃도어가 주요 개발 시장이었던 스마트 웨어가 캐주얼시장에서도 적용되어 라이프 스타일 스마트 웨어 개발의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21th century world is experiencing global warming and frequent abnormal climate phenomena due to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ese climate issues influenced the fashion industry as well. Up to date functional and convenient smart wears are receiving the spotlight as more people get to enjoy leisure with improved quality of life. The mainstream of future fashion industry is expected to be related with smart wear. This research approaches the smart wear as casual brands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design strategies through analysis of function and tendency of smart wear and studies of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body condition, external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verall smart wear cases are classified by types and tendencies with categories such as ‘measurement and regulation of body and health information’, ‘perception and no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regul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of biometrics’, ‘environmental control and block’, ‘providing loc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hile classification by use contains categories including daily life, entertainment, network, health management support, and special environment.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resent trends of smart wear and analyzes the esthetic level of the smart wear by classifying into three tool cases; fiber, fiber+device, and device. The research have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means of the smart wear. The result showed that smart wear started from a functional fiber but smart wears was grafted with devices, eventually increasing the dependence on the IT which leads to increased dependence on devices. The development of smart wear for daily lives did not stand out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smart wear for entertainment, network, and medical smart wear development; This point was grafted to the casual smart wear to suggest overall design strategy for each category. The elements of smart wear is applied to functional clothes of Giordano, the casual brand representing middle and low priced clothes in Korea, to suggest a group of smart wear which was not attempted in the middle and low priced market in Korea. Smart wear elements are added to the existing functional clothes such as Wrinkle-free or Easy-care to suggest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followed by communication pla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where the market is being saturated, developing new product is important but newly combining existing ideas to let customers feel fresh and new is also importan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caused overflow of smart wear with various devices but most of the development involves sports outdoor brands because of low price competitiveness and aesthetic appreciation. In these environments, the plan for life style smart wears necessary for daily life will produce fresh product family with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casual brands which had no close relation with smart wear. This study aimed to suggest design and communication direction of smart wears to the middle and low priced casual such as Giordano, the study suggested designs with various ideas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suggested ideas such as reasonable price and setting of specific target age group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ther than smart wear.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life style smart wears through applying the smart wear into casual markets where smart wears originally focused exclusively on the sport outdoor marke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