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김보라-
dc.creator김보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124-
dc.description.abstractCosmetics are commonly known as image products and emotional products. As such,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all communications of cosmetic products are being made by stimulating the emotions of women, and probably container design will play a large role in stimulating emotions. Design is very intuitive and it should have an impact which can attract the consumer's desire in a short time. It should not only catch the consumers' eyes but it should also be able to show the functionality or brand identity of the product. It is an admitted fact that the more cost is invested into container design the product will have a more luxurious feature. However, for mass brands with low retail prices, much cost cannot be invested into container design or their features. Especially for color cosmetics, there are more restrictions of design due to the aspects of cost and the structure which require a lot of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has comprehende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rapidly changing cosmetic desig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s of mass cosmetic brands of Korea and overseas which are leading the global cosmetic market. Based on this result, the design of the new products of mass brands of Korea is suggested in three types. First, the changes of the cosmetic design of Korea according to time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arly cosmetic design which is classified as the 1st generation design (1920 ~ 1950) used strong colors or revealed foreign models on all sides in an attempt to get out of a closed social atmosphere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tried to make the product look like it is an imported product. 2nd generation design (1960 ~ 1999) used more resolute colors as color TV and color print technology had been developed, and pallette-type cosmetics which contained various colors in one product were introduced. 3rd generation design (post 2000) combined other areas such as electronics, and lots of convergence cosmetic containers which placed priority on innovation were introduced. Typical examples of the 3rd generation design are 'vibration foundation' which was very popular in 2010 and 'cushion pact' which is still being widely used in Korea. 4th generation design (post 2014) concentrated in value conveyance. Artistic emotions were delivered to the consumers through art collaboration, and attempted to achieve sustainability through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s mentioned above, leading mass cosmetic companies of global cosmetic market were selected and a design case study was conducted. Brands that were selected according to sales and SKU scale were; as for overseas brands, A. Loreal Group (Maybelline New York / The Body Shop / Urban Decay), B. Estee Lauder Group (Smash Box), and as for domestic brands, C. Amore Pacific (Aritaum, Innisfree, Etude House, Espoir), and D. LG Household & Health Care (The Face Shop, VDL). Analysis on figurative features of designs of base make-ups which has relatively larger space in design (makeup base, primer, BB cream, CC cream, foundation, concealer, powder, pact) was conducted. There were 217 products in total, and the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form and structure / material / color / post-processing /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aspect of form, the features were represented into two types; straight line and free curve. Free curve forms require expensive molds so creative free curve forms are avoided in mass market. National support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s of free molds or active investment of mold development companies. For the structural feature, 'compact type' containers which are easy to use and easy to carry were most widely being used, taking up 30% of the containers, followed by tube (24%), and pump (22%). As for materials, plastic was dominant with the rate of 89%. It is presumed that plastics are being used the most because it is low in price and post-processing is easy. For color, based on the I.R.I image scale, colors with clear, mild, natural, graceful, delicate, gentle, elegant, and modern feelings under the categories of 'soft', 'subtle', 'firm' were being used a lot. Because base makeup stands in the boundary of fundamental cosmetics and color cosmetics, colors with low chroma which is simple and presents stability and reliability were being used a lot. For post-processing, the features were in the order of coating (color, metal, gloss, matt, pearl) (70%) and non-coating (30%). As the quality of plastic injection molding is being improved, the natural coating effect and coloration of plastic with high purity may guarantee product quality just with injection molding and without post-processing. In this aspect, it seems that post-processing will be reduced and simplified in the future. Lastly, in the aspect of design, the featur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single tone printing (38%), double tone printing (32%), 3-tone printing (21%), label (6%), and sculpture (3%). Decorative elements are being excluded and simple and modern feelings are usually being wanted in cosmetic designs so printing focusing on delivery of information is being used a lot. Based on these features of design, the new base makeup product which is planned for launching by S brand of Korea is suggested in three versions.;화장품은 흔히 이미지 상품, 감성 상품이라 불리 운다. 그만큼 여성의 감성을 자극하여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그 감성을 자극하는 것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용기의 디자인일 것이다. 디자인은 아주 직관적이며 단시간에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 임팩트가 있어야하며 단지 소비자의 눈을 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품의 기능성이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잘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용기 디자인에 비용투자를 하면 할수록 고급사양이 되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소비자판매 가격이 낮은 매스브랜드들의 경우 용기 디자인이나 사양에 큰 비용투자를 할 수 없는 구조이다. 더군다나 색조제품의 경우는 비용적인 부분이나 자재의 개체수가 많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더욱 디자인의 한계가 있는 제품군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국내 코스메틱 디자인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진단함과 동시에 글로벌한 코스메틱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해외 및 국내 매스 색조브랜드들의 디자인 특징을 분석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매스 브랜드의 신제품 디자인을 3가지 유형으로 제안하였다. 우선 문헌조사를 통하여 국내 코스메틱 디자인의 시대별 변천사를 분석하였다. 1세대(1920~1950)로 분류되는 초창기 코스메틱 디자인은 해방이후 그동안 폐쇄적이었던 사회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일부러 수입산처럼 보이고자 강렬한 색감을 사용하거나 외국 모델을 전면에 노출하여 임팩트를 주고자 하였다. 2세대(1960~1990)의 디자인은 컬러TV, 컬러인쇄시대를 맞이함과 동시에 더욱 색상을 과감하게 표현하였으며 다채로운 컬러를 한꺼번에 담은 팔레트 타입의 메이크업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었다. 3세대(2000년대 이후) 디자인은 전자전기와도 같은 다른 분야와 접목을 하면서 혁신성에 중점을 둔 컨버전스 코스메틱 용기가 다수 출시되었다. 2010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진동 파운데이션’이나 현재 전 국민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쿠션팩트’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4세대(2014년 그리고 미래) 디자인은 보다 가치전달 중심으로 변화되어왔다.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예술적 감성을 전달하거나 환경을 고려한 ECO컨셉으로 단지 소모품이 아닌 지속가능함을 가능케하는 디자인적 노력들이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글로벌하게 코스메틱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매스 색조브랜드들을 선정하여 디자인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출과 SKU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브랜드는 해외의 경우 A. 로레알 그룹(메이블린 뉴욕 / 더바디샵 / 얼반 디케이) B. 에스티로더 그룹(스매쉬 박스) 그리고 국내에서는 C. 아모레퍼시픽 (아리따움, 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 에스쁘아) D. 엘지 생활건강(더페이스샵, VDL)이 선정되었으며 색조제품군 안에서 비교적 디자인 공간이 확보된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비비크림, 씨씨크림, 파운데이션, 컨실러, 파우더, 팩트류)” 에 대한 조형적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217개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형태 및 구조/ 소재/ 색상/ 후가공/ 디자인 요소로 구분으로 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글로벌 리딩 매스 색조 브랜드들의 디자인적 특징의 첫 번째 형태의 경우, 기하직선 혹은 기하직선 이 두 가지로 대표되었으며 고가의 금형을 제작해야만 하는 독창적인 자유곡선 형태는 매스시장에서는 지양되고 있다. 향후 다양한 형태의 프리몰드가 개발되거나 금형개발에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이어서 구조적 특성은 사용성이 좋고 휴대가 가능한 ‘콤팩트 타입’의 용기가 30%비율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었으며 그 뒤로 튜브(24%), 펌프(22%)구조가 이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소재의 경우, 플라스틱이 89%비율로 압도적으로 높았는데 가격 구조상 가장 저렴하고 후가공이 용기한 플라스틱 소재가 많이 선호되고 있다고 보인다. 이어서 색상은 I.R.I 이미지 스케일 기준으로 '부드러운‘ ’정적인‘ ’딱딱한‘ 카테고리의 맑은, 온화한, 내추럴한, 우아한, 은은한, 점잖은, 고상한, 모던한 느낌을 자아내는 컬러들을 가지고 있었다. 기초제품과 색조제품의 경계에 서있는 베이스메이크업 제품의 특성상 심플하면서도 안정감과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저채도의 컬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후가공은 코팅(컬러, 메탈, 유광, 무광, 펄 등) 70%, 없음(30%)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사출의 퀄리티가 향상됨으로서 순도 높은 플라스틱이 가져다주는 자연적인 코팅효과 및 맑은 컬러감으로 인해 아예 후가공 없이 사출만으로도 상품성이 보장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보았을 때 향후에도 후가공은 점점 축소화, 간소화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요소의 경우 1도 인쇄(38%), 2도 인쇄(32%), 3도 인쇄(21%), 라벨(6%), 조각(3%)순으로 나타났다. 코스메틱 디자인에서 장식적인 요소가 많이 빠지고 전반적으로 심플하고 모던한 느낌을 추구하다 보니 정보전달의 기능이 특징인 인쇄가 많이 활용 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필자는 국내 S브랜드에서 출시하고자 하는 신규 베이스메이크업 제품을 3가지 버전으로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6 Ⅱ. 문헌연구 및 분석 8 A. 국내 코스메틱 디자인의 시대별 특징과 의미변화 8 1. 1세대 디자인 (1920~1950) 9 2. 2세대 디자인 (1960~1990) 11 3. 3세대 디자인 (2000년 이후) 13 4. 4세대 디자인 (2014그리고 미래) 17 Ⅲ. 글로벌 리딩 코스메틱 브랜드의 디자인 사례 분석 21 A. 해외 코스메틱 브랜드 사례 분석 21 1. 해외 화장품 브랜드 선정 21 2. “로레알 그룹” 제품디자인 분석 24 3. “ 에스티 로더 그룹” 제품디자인 분석 33 B. 국내 코스메틱 브랜드 사례분석 37 1. 국내 코스메틱 브랜드 선정 37 2. “아모레 퍼시픽 그룹” 제품디자인 분석 41 3. “LG생활건강 그룹” 제품디자인 분석 54 C. 분석결과 62 Ⅳ. 신규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디자인 제안 66 A. 신규 제품 컨셉 66 B. 디자인 방향 설정 66 C. 디자인 제안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254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글로벌 리딩 코스메틱 브랜드 디자인 분석을 통한 신제품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매스시장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Kim, Bo Ra-
dc.format.pagei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