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5 Download: 0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낙상효능감, 우울, 생리적 스트레스, 체력 및 건강자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낙상효능감, 우울, 생리적 스트레스, 체력 및 건강자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 Closed-Loop Kinetic Chain Exercise Program with Personal Exercise Equipment on Physical Fitness,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Depression, Physiological Stress, and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for Elderly Women
Authors
김유련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낙상효능감, 우울, 생리적 스트레스, 그리고 체력 및 건강 자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체력과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65세 이상 자발적으로 참여한 여성노인 28명이다. 운동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은 같으나 실험집단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소도구(볼, 밴드, 부채, 나무봉, 의자)를 사용하여 닫힌 힘 사슬 운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소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총 8주간, 주 3회, 1회 60분,복지관에 모여서 2회, 가택에서 자가 운동으로 1회를 실시하였다. 자가 운동 실천률은 실험집단이 76.0%, 통제집단이 78.9%였다. 가택 자가 운동을 위하여 운동 장면을 인화하여 벽에 부착하고 보고 할 수 있도록 게시물로 만들어 배포하였다. 독립변인은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과 소도구를 이용하지 않은 운동이다. 종속변인은 체력, 낙상효능감, 우울, 생리적 스트레스, 그리고 체력자각과 건강자각이다. 체력은 한국형 노인체력(문화체육관광부, 2012)으로 근력(좌·우 악력), 근지구력(2kg아령 들기,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심폐지구력(2분 제자리 걷기), 유연성(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평형성(의자에 앉아 3M 표적 돌아오기), 협응력(8자 보행), 신체구성(신장,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골격근량)이다. 낙상효능감은 총 12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형 노인 낙상효능감 척도(Korea Falls Efficacy Scale, FES-K)를 사용하였다. 우울은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Korean version of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로 측정하였으며, 생리적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방법으로 사용되는 Salivettes System을 이용한 타액 코르티솔을 검사하였다. 체력자각은 체력의 6요인(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동적균형, 협응력, 상·하지 유연성)의 총 7항목으로 구성된 설문검사이고, 건강자각은 자가건강 정도, 질병, 수면 상태, 대소변 습관, 어지러움 정도, 낙상경험 유무, 보행보조기구 필요성, 그리고 낙상 두려움에 대한 자각 정도를 간접 기입법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 처리는 Window 용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 집단과 소도구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의 사전과 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고, 운동처치 효과에 대한 집단 내의 전·후 차이 검증을 위해 대응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계 검정을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외, 명목척도 변인(지팡이 필요 유무)과 가지고 있는 질환에 대한 다중응답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 집단은 좌측 악력(6%), 상지 근지구력(47%), 하지 근지구력(76%), 유연성(30.5%), 평형성(20%), 협응력(23%), 안정시 수축기 혈압, 우울, 생리적 스트레스, 낙상효능감(24%), 체력자각, 건강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소도구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은 6가지 체력 요인 중 하지 근지구력, 유연성의 두 가지만 증가하였고, 안정시 수축기 혈압, 낙상효능감, 우울, 생리적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체력자각에서는 근력, 하지 유연성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므로 도구 이용과 관계없이 운동은 체력을 향상시키고 안정시 수축기 혈압, 심리·생리적 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은 소도구를 이용하지 않은 운동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체력의 증가는 낙상효능감의 증가, 우울 및 생리적 스트레스, 안정시 심박수의 감소, 체력자각, 건강자각의 증가와 관계가 있어 체력 향상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한편 체력 변인 들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근력, 동적균형과낙상효능감이 양의 상관이 있었다. 근지구력과 유연성은 우울과 음의 상관이 있었고, 안정시 심박수와 생리적 스트레스는 양적 상관이 있었다. 체력과 체력 및 건강자각도 양적 상관이 있었다. 소도구를 이용한 닫힌 힘 사슬 운동은 소도구를 이용하지 않은 운동 보다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음악에 맞추어 함께 하는 운동은 여성노인의 운동 참여에 즐거움을 더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실시하면서 운동 공간이 제한적이어서 피험자들이 넓게 움직일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제한점이 심폐지구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못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라 사료된다. 운동을 실시하면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된다면 피험자들의 심폐지구력 또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성노인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체육관과 같은 충분히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는 주 1회 가택 자가 운동 실시를 시도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러므로 가택 노인의 증가에 따라 가택 노인운동 프로그램으로의 활용성도 기대해 볼 수 있겠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closed-loop kinetic chain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women with individual exercise equipment on physical fitness,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depression, physiological markers for stress,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Methods 28 females above the age of 65 were subjects for this study. Over an eight week period, both groups performed exercise 3 times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15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utilized personal exercise equipment, while 13 women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same movements without the exercise equipment.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closed-loop kinetic chain exercise program with or without personal exercise equipment.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al fitness,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depression, physiological markers for stress, and both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Personal exercise equipment consisted of an aeroball (17~19cm diameter), an elastic band, a wooden stick (1.2 meter), and a hand fan. Physical fitness consisted of grip strength, upper and lower body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coordination and body composition.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was measured via questionnaire using the Korea Falls Self-Efficacy Scale (FES-K).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was used to evaluate depression. Physiological stress was evaluated by measuring cortisol levels in the saliva via the Salivettes System. Physical fitness awareness consisted of awareness about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dynamic balance, coordination, upper and lower body flexibility. Health awareness consisted of awareness about disease, sleep, excretion, dizziness, falling history, need for walking assistance equipment, and fear of falling. Windows SPSS 22.0 was used for both the Independent and Paired t-test as well as the Pearson Correlation. Results A. Physical Fitness Left grip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by 6% for the experimental group. Upper and lower extremity endurance increased significantly by 47% and 76% respective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cardiovascular endurance for either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ecreases in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Flexi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by 21.7%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bal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by 20%. The experimental group’s coordination also significantly improved by 23%. There were no significant decreases for any body composition variable (height, weight, fat mass, muscle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for either group. B.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fall prevention self 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by 24%. C. Depression and Physiological Markers for Stress Depression and saliva cortisol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by 57% and 54% respective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D.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All physical fitness awareness variables except coordin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exception of disease, excretion, and need for walking assistance equipment, all health awareness variables improved significant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Other Variables 1. Physical Fitness Elements There wer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all physical fitness variables. 2. Physical Fitness and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ular endurance as well as ag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3. Physical Fitness and Depression Bo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4. Physical Fitness and Physiological Markers for Stress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physiological stress markers. 5.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Fitness Self-Aware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Conclusion and Suggestion The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women with individual exercise equipment improved in physical fitness (except cardiovascular endurance),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depression, physiological markers for stress,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elf-awareness. Thu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larger spaces for greater movement of all test subjects. Overal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dividual exercise equipment multiplies the efficacy of an exercise progra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much more enthusiasm for exercise with individual equip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use of equipment increases the interactivity of exercise, possibly making it more engaging for elderly women. Since the exercise space was limited, subject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move around a lot. This limitation was reflected in the failure to significantly improve cardiovascular endurance. If elderly woman can move around more, it is possible that they can increase cardiovascular endurance. Thus,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should have ample space, like the gymnasium instead of a small room which is not necessarily intended for exerci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