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음악요법이 척추마취 하 수술 대상자의 불안, 진정상태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Title
음악요법이 척추마취 하 수술 대상자의 불안, 진정상태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Sedation and Stress responses of Surgery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Authors
정계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최근 척추마취 하 수술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신마취와는 달리 대상자들이 각성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수술 중 불안과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생리적 문제에 대한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간호중재는 수술 전 기간 동안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목적은 척추마취 하 수술 시 음악요법이 불안, 진정상태 및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시 소재 J 정형외과 전문병원에서 척추마취 하에 하지 수술을 받는 19세 이상 성인 55명으로, 실험군 27명과 대조군 28명이었다. 음악요법은 수술 시작 시점부터 수술 종료까지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조사로 수술 전에 불안, 진정상태, 스트레스 반응을 ,수술 중에 불안, 진정상태,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였고, 사후조사로 수술 종료, 수술 후 60분에 불안, 스트레스 반응을 그리고 기저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 4일 후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실험군의 불안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수술 중 30분에 실험군의 불안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수술 전, 중 30분, 수술 종료시점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 간 교호작용이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2 가설 “실험군의 진정상태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높을 것이다.‘ 의 검증결과, 수술 중 실험군의 진정상태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시점 간 다중 비교 분석결과 수술 전과 수술 중 전 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수술 전, 수술 중 10분 간격, 수술종료 간에 걸친 진정상태의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3 가설인 ‘실험군의 스트레스 반응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의 3-1가설인 ‘실험군의 혈장 ACTH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 검증 결과, 수술 중 30분에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장 ACTH가 낮았다. 수술 전, 수술 중 30분,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 시점에서 반복 측정한 혈장 ACTH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 간 다중비교분석 결과 기저수준과 수술 전, 수술 중 30분, 수술 종료 시점에서 실험군의 혈장 ACTH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군과 대조군간 수술 전, 수술 중 30분,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에 걸친 혈장 ACTH의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2인 ‘실험군의 혈장코티졸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수술 전, 수술 중 30분,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 시점에서 반복 측정한 실험군의 혈장 코티졸 수준의 유의하게 낮았다. 시점 간 다중비교 분석결과 기저수준과 수술 전, 수술 중 30분, 수술 종료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과 대조군간 수술 전, 수술 중 30분,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에 걸친 혈장 코티졸의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4인 ‘실험군의 활력징후는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수술 중 10분과 20분에서 40분 기간 동안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심박수가 낮았다. 수술 전, 수술 중 10분 간격,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 시점에서 반복 측정한 심박수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 간 다중비교 결과 기저수준과 수술 전, 수술 중 10분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간 수술 전, 수술 중 10분 간격,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에 걸친 심박수의 교호작용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중 30분에서 50분 기간 동안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수가 낮았다. 수술 전, 수술 중 10분 간격,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 시점에서 반복 측정한 심박수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 간 다중비교 결과 기저수준과 수술 중 10분-수술 종료, 수술 후 60분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간 수술 전, 수술 중 10분 간격, 수술종료 및 수술 후 60분에 걸친 호흡수의 교호작용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척추마취로 하지수술을 받는 대상자에게 수술 중 음악요법은 실험군에서 불안 감소, 진정상태 유지, 혈장 ACTH 감소, 혈장 코티졸 감소, 심박수 및 호흡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요법이 상태불안, 혈당,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에 대해서는 집단과 시점 간에 교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여, 음악요법으로 인한 상태불안, 혈당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하지 못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firm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sedation and stress responses of patients underg- oing surgery using spinal anesthesia. The subjects are 55 in number, all adults over 19 years of age, and all patients were operated on leg surgery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There were 2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The duration for listening to music was 61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he surgery to the end of the surgery. Patients(n =55)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 music group(listning to their preference music) or to a control group(had not music) for the 61 minutes during intra operative peri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pinal anesthesia. This was notable because the anxiety level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F=4.908, p=.008). Hypothesis 2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d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pinal anesthesia. This was notable because less sedation was nee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F=13.711, p=<.001). Hypothesi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ess respons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spinal anesthesi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sma ACTH leve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spinal anesthesia. This was notable because the plasma ACTH levels were maintai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F=6.532,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sma cortisol leve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spinal anesthesia. This was notable because the plasma cortisol level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F=3.944, p=.01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rt rate between the experi- 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spinal anesthesia. This was notable because the heart rate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F=3.981,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iratory rat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spinal anesthesia. This was noted because the respiration rate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F=3.267, p=.002).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anxiety, sedation, plasma ACTH, plasma cortisol,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of the patients were more effective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rat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that the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with lower leg operations. However, the glucose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