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4 Download: 0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대한 조사위원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대한 조사위원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f surveyors and reliability in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Authors
김경숙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선희
Abstract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s designed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o patients by advancing the level of patient safety and service quality in medical institutions since 2011. This study was performed targeting surveyo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acute care hospitals. In total, 271 surveyor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shown below: First, we divided surveyors into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more than 3 times and less than 3 times, with the average of survey participation is 2.35 times per survey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occupied higher percentage i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more than 3 times include men, people over 50, physicians, full-time surveyors, surveyors working in hospital with over 1,000 beds and selected in 2010, stewards in the survey team, those who had experience of survey in other fields, and qualified consultant(p<.05).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re than 3 times group and less than 3 times group.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only in the following question: “I can understand the standard and survey guideline easily.” among all questions related reliability of accreditation program(p<.05). The satisfaction of surveyor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women, department managers, surveyo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r hospitals, and working in hospitals with less than 500 bed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proces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those who had an experience of working in quality improvement department. The reliability of the accredit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thos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r hospitals(p<.05). Fourth, the satisfaction of surveyors according to the surveyor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full-time surveyors, surveyors selected in 2010, stewards in the survey team, those who had experience of having participated in survey in other fields and also worked as consultant(p<.05). The reliability of the fellow surveyor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surveyor who were selected from 2011, team leader in survey team. The reliability of the accreditation program was higher among surveyors who had completed 5 to 6 curricula(p<.001).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process. Fifth, thos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surveyors include: scale of hospitals they belong, the number of education curriculum they completed, reliability of survey process, year of selected, role in the survey team, experience of survey in other fields, experience of consultant, and usefulness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on hospitals(p<.05). Sixth, thos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fellow surveyors include: scale of hospitals they belong, role in the survey team, experience of survey in other fields, year of selected, adequacy of composition of survey team, usefulness of education, difficulty of leadership interview and satisfaction of surveyors(p<.05). Seventh, thos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survey process include: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survey, those who had an experience of working in quality improvement department, usefulness of education, cooperation of hospitals, and satisfaction of surveyors(p<.05). Eighth, thos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the accreditation program include: number of beds in the hospital they belong, full-time surveyors, year of selected, usefulness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on hospital, adequacy of composition of survey team and satisfaction of surveyors(p<.05).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roved there exists a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satisfaction of surveyors and reliability of fellow surveyors, survey process and accreditation program. The critical factor that had an influence on their reliability of fellow surveyors, reliability of the survey process as well as the accreditation program was satisfaction of surveyors. And it was proved that the key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surveyors and reliability are appropriate education and assignment of survey team.;국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정부 주도의 강제평가 방식인 의료기관 평가제도가 시행되었으나, 구조적인 측면 위주의 평가나 평가 서열화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어 2010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2011년부터는 의료기관 인증제도로 전환 및 시행되었다. 의료기관 인증제도는 의료기관이 자율적으로 인증조사를 신청하고, 인증기준에 따라 의료기관이 자체 제작한 규정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제도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의해 선발되어 훈련받은 전문조사위원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인증제도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증조사에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인증기준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과 질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는지도 중요하지만, 실제 조사현장에서 해당 조사위원이 얼마나 객관적이고 신뢰성있게 조사를 수행하는지도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급성기병원 인증조사에 직접 참여한 적이 있는 조사위원의 인증제도 시행과 관련된 인식을 파악하고, 인증제도에 대한 조사위원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인증제도의 신뢰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조사위원의 일반적 특성과 인증제도 관련 인식 등을 포함한 설문도구를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2010년부터 조사위원으로 위촉되어 2014년 2월까지 급성기병원 인증조사에 참여한 412명의 조사위원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28일부터 3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271명이 응답하여 설문 응답률은 65.8%였으며, 이들의 설문결과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사위원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인증조사 참여횟수를 기준(평균 2.35회)으로, 3회 미만과 3회 이상 인증조사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회 미만 그룹에 비해 3회 이상 그룹에는 남성, 50세 이상, 그리고 의사 직종이 더 많았고, 근무 의료기관의 병상 수는 1,000병상 이상, 전담조사위원, 2010년에 위촉받은 조사위원, 조사팀 내 팀장과 간사, 그리고 타 분야 인증조사 경험자와 컨설팅 시행 경험자가 더 많았다(p<.05). 조사위원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 분석결과, 소속 의료기관의 병상 수가 많을수록 만족도는 낮았으나, 2011년 이후에 조사위원으로 위촉받은 경우, 조사팀장이 아닌 경우, 타 분야 인증조사 및 컨설팅 시행 경험자, 인증원 교육이 도움되고 조사팀 구성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그리고 이수교육 과정 수가 많고 인증조사 과정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p<.05). 동료 조사위원 신뢰도는 소속 의료기관의 병상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조사팀장이 아닌 경우, 타 분야 인증조사 경험자, 리더십 인터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서 신뢰도가 낮은 반면, 2011년 이후에 위촉받은 경우, 교육이 인증조사에 도움이 된 경우, 조사팀 구성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와 조사위원 만족도가 높을수록 동료 조사위원 신뢰도가 높았다(p<.05). 인증조사 과정에 대한 신뢰도에서는 의료 질 관리부서 근무 경험자, 인증원 교육이 도움된 경우, 조사 시 의료기관의 협조가 충분했다고 생각하는 경우, 그리고 인증조사 참여횟수가 많고 조사위원 만족도가 높을수록 인증조사 과정 신뢰도가 높았다(p<.05). 인증제도에 대한 신뢰도에서는 소속 의료기관의 병상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전담조사위원에게서 인증제도 신뢰도가 낮은 반면, 2011년 이후 위촉받은 조사위원, 교육과 조사 전 제공자료가 도움이 된 경우, 조사팀 구성이 적절한 경우, 조사위원 만족도가 높을수록 인증제도 신뢰도는 높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조사위원 만족도가 높을수록 동료 조사위원 신뢰도와 인증조사 과정 신뢰도, 인증제도 신뢰도도 모두 높아 조사위원의 만족도 향상이 인증제도 관련 신뢰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증제도 관련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증조사 참여 기회 증가, 적절한 교육 제공 및 교육이수 관리, 조사위원의 직종이나 전문성을 고려한 적절한 조사팀 배정, 조사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 중요하다. 특히 조사위원에게 필요한 교육 제공과 적절한 조사팀 배정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