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최소영-
dc.creator최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724-
dc.description.abstractThe descriptive study aims to examine the workload and job importance of anticancer drug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to determin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ir effective conduct of work and quality improvement. The sample consisted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currently working on anticancer drug clinical research and trials at nine organiza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1 and April 1, 2014. In order to determine their workload and job importance,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Kang Hyun Sook, Kim Won Ock, Jeong Ihn Sook, Baik Jung Mi(200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2005); Kim Su Mi(2011); and Hwang Youn Sun(2008).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using the tool adapted from Kim Ji Suk (2008). A total of 1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return rate was 100 percent. However, 112 (out of 12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incomplete on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 distribution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s, ANOVAs, and Scheffe tests, with SPSS 21.0. Reliability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30.91(±4.48), and 61.6% were single. Most respondents were at the educationa level of college graduates(81.3%) and full-time workers(82.1%).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58%) earned an annual salary of KRW 20–30 million. The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were 8.44(±0.98). Further, 36.6% had three to five years of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36.6%) while 42% had one to three years’experience in anticancer drug clinical research coordina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59.8%) had no intention of leaving their job. Almost all the respondents(87.5%) had completed cancer-related training. 2. Workload and Job Importance. The overall average workload and job importance scores were 3.87(±0.59) and 4.13(±0.55) out of 5, respectively. Job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orkload(t=-8.05, p<.001). The workload subscale with the highest score was recording(4.42 ± 0.75), and that of job importance was the consent process(4.60 ± 0.65). With regard to workload and job importance specifically for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the values of training and counseling were highest for workload(4.25 ± 0.78) and importance(4.60 ± 0.65). 3. Job Satisfaction.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was 2.97(±0.44). By subscale, interaction had the highest score(3.51 ± 0.73), followed by communication(3.38 ± 0.64), professional status(3.23 ± 0.66), autonomy(3.22 ± 0.63), job requirements(2.50 ± 0.50), administration(2.33 ± 0.79), and wage (2.22 ± 0.87). 4. Workload and Job Importa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Workload significantly differed with respect to having three to five years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F=4.86, p=.009) and intention to quit(t=7.96, p=005). Meanwhile, job importance significantly differed with respect to completion of cancer training(t=4.84, p=.029). 5. Job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regular employees(F=3.68, p=.028), received higher salaries(F=3.89, p=.023), had longer experience as anticancer drug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F=3.50, p=.018), and did not intend to quit their jobs(t=17.65, p<.001). The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training and counseling was the most essential work for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whereas recording generally put the highest burden on them and earning consent was regarded as their most important activity. Factors that influenced job satisfaction include job security, salary, work experience, and intention to quit.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enhance training and counseling and to streamline time-consuming recording so that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can efficiently focus on work.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job security and remuneration to increase job satisfaction.;본 연구는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성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역할 수행과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도 소재한 9개 기관에서 항암제 임상연구/임상시험을 담당하고 있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3월 1일부터 2014년 4월 1일까지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강현숙, 김원옥, 정인숙, 백정미(2004)와 김수미(2011),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국립독성연구원(2005), 황윤선(2008)의 연구를 참조로 개발하였다. 직무만족도는 김지숙(2008)의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125부를 배포하여 모두 회수하였으나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하고 112부가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으로 분석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91(±4.48)세이었고, 최종 학력은 학사 이상 (81.3%)이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이 많은 것(61.6%)으로 나타났 다. 고용 상태는 계약직 full time(82.1%)이 가장 많았다. 연봉은 2000만 원 이상 ~ 3000만원 미만이 58%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업무 시간은 평균 8.44(±0.98)이었다. 임상경력은 3년 이상 ~ 5년 미만(36.6%)이 가장 많았고,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 근무기간은 1년 이상 ~ 3년 미만(42%)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59.8%는 이직의사가 없다고 하였다. 암 질환 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87.5%이었다. 2.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87점(±0.59), 4.13점 (±0.55)이었으며, 중요도가 업무량보다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t=-8.05, p<.001). 업무량에서 가장 높은 영역 항목은 기록이 4.42점(±0.75)이었으며 중요도는 동의과정이 4.60점(±0.65)으로 가장 높았다.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로서 업무 분류에 대한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도에서는 교육 및 상담 업무가 업무량 4.25점(±0.78), 중요도 4.60점(±0.65)으로 가장 높았다. 3.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은 2.97점(±0.44)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상호작용이 3.51점(±0.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 소통 3.38점(±0.64), 전문적 지위 3.23점(±0.66), 자율성 3.22점(±0.63), 업무요구 2.50점(±0.50), 행정 2.33점(±0.79), 봉급 2.22점(±0.87)순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의 업무량은 임상 경험 필요기간(F=4.86, p=.009), 이직 의사 유무(t=7.96, p=.005)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나타 냈다. 직무의 중요도는 질환 교육 유무(t=4.84, p=.029)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에는 고용상태(F=3.68, p=.028),연봉수준(F=3.89, p=.023),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 근무 기간 (F=3.50, p=.018), 이직 의사 유무(t=17.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업무 분류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 및 상담 업무로 나타났으며, 기록에서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의과정이 가장 중요한 업무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고용상태, 연봉수준, 근무기간, 이직의사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 및 상담 업무의 강화 및 기록 업무의 간소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용상태의 안정과 대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II. 문헌고찰 7 A.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직무 7 B. 직무만족도 10 III.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2 D. 자료수집방법 13 E. 자료분석방법 14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5 G. 연구의 제한점 15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B. 대상자의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도 19 C. 대상자의 직무만족도 23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도 27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30 V. 결론 및 제언 32 A. 결론 32 B. 제언 35 참고문헌 36 부록 41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37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항암제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직무의 업무량과 중요도 및 직무만족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Job Satisfaction, Job Workload, and Importance among Cancer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dc.creator.othernameChoi, So Young-
dc.format.pageix,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