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58 Download: 0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극적 공간

Title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극적 공간
Other Titles
Dramatic Space, where Reality and Unreality Coexist On the Short Film, Secret
Authors
신정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무대미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현실과 비현실이 대체 무엇이냐는 질문에 자신 있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우리는 삶을 살아가며 이 용어들을 쉽게 남발하면서도, 이들이 진실로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는다. 그저 막연하게 현실은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고 있는 실제 세계이고 비현실은 그것과 동떨어진 환상의 영역이라고 여기기 마련이다. 그러나 도널드 위니캇의 ‘놀이’ 개념에 따르면, 인간은 그가 사유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기도 전에 이미 비현실을 현실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성장한다. 이 경험으로 인해 놀이하고 싶어 하는 욕망이 이후엔 극적 공간을 체험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발현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인이 되면서 때때로 극장이나 영화관과 같은 극적 공간을 경험하는 것에 만족한다면, 예술가들은 여전히 그들의 작품을 통해 극적 공간을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존재한다. 그들의 손을 거쳐 탄생하는 예술작품은 그것이 재현의 논리를 아무리 충실히 따랐을지라도 예술가가 현실세계를 사유하여 제시한 비현실에 해당한다. 이처럼 현실에 속하면서도 비현실적인 속성을 지닌 다양한 예술 중에서도 연극은 극장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지닌다. 이 공간 안에서 무대 미술가들은 연출의도를 담은 무대를 만들어내고자 현실적 이미지와 비현실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해야했다. 구현방법은 저마다 다르지만 그들은 모두 극적 공간을 만들고자하는 같은 목적을 공유한다. 그러나 무대는 관객과의 거리가 물리적으로 고정된 탓에 극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따라서 많은 무대 미술가들은 점차 그들의 무대에서 영화 프레임을 함께 이용하게 되었다. 영화 프레임은 관객의 시야가 미치지 않는 물리적 공간은 물론 배우의 심리적 내면까지도 드러낼 수 있게 도왔다. 현실공간에 매이지 않는 영화 프레임의 자유분방함은 연극 프레임과는 사뭇 다른 영역을 구축했고, 그들은 서로 상생하면서 긍정적 발전을 꾀하였다. 극적 공간을 만들어 내고자하는 본인의 작업 역시 무대를 구현한다는 점에서는 연극적 방식에 해당하지만 시각적 전달에 있어서 영화 프레임을 채택하고 있기에, 연극보다는 영화의 시공간에 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다양한 영화중에서도 현실과 비현실의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룬 초현실주의와 누보로망에 중점을 두고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은 초현실주의는 꿈과 같은 무의식을 예술의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현실의 논리를 완전히 파괴함으로써 불가사의하고 비합리한 세계를 드러냈다. 이처럼 초현실주의가 완전히 잠재적인 이미지들로 영화의 시공간을 표현했다면, 누보로망은 들뢰즈의 식별불가능성으로 설명이 가능한 현실과 비현실이 모호하게 공존하는 시공간을 그려내었다. ‘기억’의 흐름을 따르는 누보로망의 무시제(無時制)적 특성은 완전한 현실 아니면 비현실로 양분되어있던 영화 속 시공간의 개념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현실과 비현실이 뒤섞여 부유하는 누보로망의 극적 공간은 우리가 삶 속에서 종종 겪는 기억이 출현하는 현상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점에서 독특한 리얼리티를 획득하게 된다. 본 논문을 통해 본인은 인간이 향유하고 있는 현실과 비현실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직접 연출한 극적 공간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잠재되어 있는 기억에 생명력을 부여하면서, 현실과 기억이 뒤섞인 세계를 시각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결국 본 논문은 객관적 현실과 주관적 기억의 공존이 극적 공간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임을 밝히는 것에 궁극적 의의가 있다.;Despite excessive usages in our daily lives, the terminologies--reality and unreality--are often overlooked, rarely assessed in a critical manner. Often, reality is oversimplified as the physical world in which everyday lives exist, while unreality supposedly represents the distant and mutually exclusive fantastical world. However, according to Donald Winnicott’s concept of ‘playing,’ humans develop in a way that they accept unreality as a part of reality even before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or selfhood. Due to this experience, the desire to play gradually transitions into a desire for experiencing dramatic settings as an individual reaches his or her adulthood. While most individuals satiate such desire through occasional experiences at theatrical spaces, such as playhouses or movie theaters, artists are those who constantly attempt to create dramatic spaces through art. Thus, while art may rely on reality, the art still lies within the realm of unreality. Amongst diverse genres of art that play with the unreality within reality, the genre of play is a kind of art that requires a specific space: the theater. Within the space of the theater, set designers are challenged to strategically make use of both realistic and unrealistic images in order to convey their artistic intentions. While the methods vary from one designer to another, all designers share the common objective to create dramatic spaces in the theatrical spaces. Additionally, all set designers deal with the inconvenience of the entailed physical disconnec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that the theatrical space inherently embodies. Thus, in order to deal with such difficulty, set designers gradually adopted the use of cinematographic frame in their stage designs. Cinematographic frames in theatrical design aids to not only illuminate the obscured physical space on stage, but also reveal the inner self of the actor or actress to the audience. As the cinematographic frame dismisses itself from realistic spac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atrical frame. In fact, such coexistence of cinematographic frames and theatrical frames has brought about synergic development for both framing techniques. As for my work, the work lies within the boundary of the play as I have attempted to create dramatic spaces. However, as I have adopted the cinematographic frame for visual communication, I have proceeded my analysis mainly focusing on cinematographic time and space. Especially in the thesis, I intend to concentrate on Surrealism and Nouveau roman, which profoundly pertain to the issue of reality and unreality. Influenced by Proust’s psychoanalytic approach, Surrealism reveals a fantastical and absurd reality, which denies logical sense, by adopting imaginative unconsciousness as its artistic methodology. While Surrealism explores cinematic time and space through potential and virtual images, Nouveau roman illustrates cinematic time and space through the obfuscation of reality and unreality in lieu of Deleuze’s theory of indiscernibility. Nouveau roman’s nontemporal characteristic and its reliance on the flow of ‘recollections’ radically shifted the concept of cinematic time and space by obscuring the previously clear―cut delineation of reality and unreality. Such obscurance of reality and unreality within Nouveau roman has been understood to be analogous to the complications that exist in human reality, thus bolstering the genre to embody a unique reality. In the thesis, I inten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spects of reality and unreality. I aim to visualize an artistic world in which reality and recollections coexist in an intricate manner, in order to tap into the latent recollections that exist in each audience. Overall, the thesis ultimately illustrates the dramatic space as a mélange of objective reality and subjective recollec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무대미술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