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50 Download: 0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댄싱 9>의 분석을 통한 무용의 대중화 연구

Title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댄싱 9>의 분석을 통한 무용의 대중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da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nce Survival Audition Program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무용공연지도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21세기 현대사회의 문화산업은 기술의 발전과 자본의 투자를 통해 점차 통합적인 구조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문화콘텐츠라는 새로운 문화지형도를 형성하며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도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예술작품을 강조하게 되었다. 그동안 무용예술은 산업적인 측면보다는 예술적인 가치를 우위에 두고 극장공연과 전통예술을 위주로 한 순수무용에만 편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변화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일반 대중들도 쉽게 향유할 수 있는 무용예술의 확산이라는 관점에서 문화산업화를 위한 무용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부합하는 공연 형태로 새로운 미디어 문화현상인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등장하였다.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하위범주로, 춤을 핵심소재로 삼았거나 전면에 내세워 서바이벌 오디션을 진행하는 방식의 글로벌 방송 콘텐츠이다. 이미 <유 캔 댄스(So you think you can dance)>(2005~) 등의 성공적인 포맷을 통해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TV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는 <김연아의 키스 앤 크라이(Kiss and cry)>(2011), <댄싱 위드 더 스타스(Dancing with the stars)>(2011~2013), <코리아 갓 탤런트(Korea got talent)>(2012~2013), <댄싱 9(Dancing 9)>(2013~), <댄스 배틀 코리아(Dance battle korea)>(2014) 등의 프로그램이 방송된 바 있다. 특히 <댄싱 9>은 일반인을 포함하여 참가자의 구분 없이 무용의 전 장르를 오디션 대상으로 삼은 국내 최초의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댄싱 9>의 성공은 그동안 예술의 영역에서만 언급되었던 순수무용이 대중무용과 함께 융화되어 시청자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가 무용수에 대한 관심은 팬덤문화를 형성했으며 실제 공연장으로까지 파급효과가 이어지는 등 대중의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에 연구자는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무용을 폭넓은 사회적 맥락 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댄싱 9>을 분석해 핵심적인 대중적 요소를 찾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전문 서적과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댄싱 9> 프로그램의 분석에 있어서는 영상물과 인터넷 자료, 인터뷰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해외 포맷을 바탕으로 국내의 독자적인 형식으로 만들어진 <댄싱 9>을 구조적, 내용적, 무용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구조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가시적으로 판단이 가능한 요소들, 즉 프로그램의 구성원과 경연 진행방식에 관한 사실적인 측면을 다루었다. 내용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스토리텔링 기법의 다양한 활용과 오락성의 추구, 감동의 원인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용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경연을 통해 소개되는 무용의 종류와 공연형태, 순수무용과 대중무용의 장르별 시사점, 무용수를 비롯한 안무가와 관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댄싱 9>의 성공을 이끌어낸 대중적 요소로 크게 세 가지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열린 구조를 통해 참여와 소통을 이루었다. <댄싱 9>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으며 프로그램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동성 있게 변화하였다. 즉 참가자, 마스터, 제작진을 포함한 시청자에게 열려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상호소통을 통한 적극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둘째, 아날로그적 향수에 의한 대중적 교감을 이루었다. <댄싱 9>은 무용수 개인의 서사성을 스토리텔링하고 있으며 작품의 주제와 작품 형성과정 등을 구체적 보여주면서 시청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시청자들은 꿈을 향해 도전하는 무용수 개개인의 사연과 그들의 성장과정을 지켜보면서 대리만족과 정서적인 교감을 이루게 된다. 즉 디지털 기술로는 포괄할 수 없는 몸의 본질적인 움직임을 마치 ‘놀이’를 하듯 진행되는 춤 경연을 통해 아날로그적 감성을 자극하여 대중과의 교감을 이루었다 할 수 있다. 셋째, 혼종(hybrid)과 융합(conversion)을 통한 다양성의 추구를 보여주었다. 순수무용과 대중무용의 혼종으로 새로운 형태의 공연이 이루어졌으며 미디어 컨버젼스를 통해 폭넓은 계층에게 수용될 수 있었다. 즉 대중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성이 추구되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댄싱 9>은 이러한 대중적 요소를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 할 수 있는 그릇, 즉 TV라는 효과적 매체 활용을 통해 수용자 중심의 무용으로 공감대를 확장시켰으며 특히 순수무용의 저변확대와 대중무용의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여 무용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댄싱 9>과 같은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은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무용 대중화를 위한 방법으로 앞으로 지속적인 보완과 개발을 통해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전망한다.;The cultural industry in 21st century is gradually expanding to become a single unified structur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vestment of capital. This has created the new cultural topography called cultural content, that demands the forms and contents of art suitable for digital age. Valuing aestheticism over industrial aspects, of the art of dance has given too much importance to absolute dance which revolves around theatrical performances and traditional art. However the effort to develop new contents of dance for cultural industry or industrialization is required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for popular art dance that can be enjoyed by the general public.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Dance Survival Audition Program,’ the new media cultural phenomenon, has appeared. A dance survival audition program is a program involving the survival audition that presents dance as a core content, and can be categorized in the sub-genre of reality TV program. The global TV contents of these dancing programs such as ‘Kiss and cry of Yu-na Kim(2011)’, ‘Dancing with the stars(2011-2013)’, ‘Korea got talent(2012-2013)’, ‘Dancing 9(2013-)’, ‘Dance battle korea(2014)’, etc. have not only achieved a worldwide success but also proved their viability in Korea. Especially, ‘Dancing 9’ is the first dance survival audition program to allow dancers of all genres to compete with each other, and it has enabled the absolute art which was previously discussed only in the realm of art to be mixed with popular art and conveyed to the general public. It also created a fandom culture for the participants, and drew an enthusiastic reaction of the public on the actual stage. This study analyzes ‘Dancing 9’, and examines the elements that contributed to its success in order to locate the position of dance in the extensive social context of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was research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the domestic and foreign specialty publication and dissertations, and used videos, internet data and interviews for the analysis of the show.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show in the aspect of structure, content and dance respectively. In terms of structural aspect, this study considers the factual elements regarding judges and participants, and the process of the competition, which are the basic constituents of the show. In terms of contents, it examines how the show applies various storytelling method, and how it pursues entertainment that touches the audience. As for the aesthetic aspects of dance, this study focuses on elements of dance and analyzes the various types of dance performances, the implications of various genres of absolute dance and public dancing, and the correlation among choreographers, dancers, and audience. Through the analys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presents three major factors that contribute to Dancing 9’s success to the general public. First, the show's open structure enables audiences to participate and connect with the show. Due to the unique structural nature of survival audition program, it is very unlikely for the audience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which varies flexibly according to the constituent’s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show successfully serves as an open system that invites not only the participants and judges but also the viewers to participate and shape the show on their own. Second, the show successfully evokes empathy from the audience by touching their analogue nostalgia. ‘Dancing 9’ juxtaposes participants’ personal histories, including their hardships and family problems along with their dance performances, which helps the viewers to understand the themes and process of making the performances. Watching individual dancer’s personal stories and artistic development, the viewers experience vicarious satisfaction and empathy with the contestants who unceasingly purses their dreams. The show conveys the artistic and intrinsic movements of human body in the way that even digital technologies can not express as if they were the innate and primary play, which serves to appeal to the public’s analogue sensibility. Third, the show actively pursues diversity through hybrid and conversion. It covers various genres of dance, occasionally presenting unprecedented hybrid performances that incorporate both absolute dance and popular dance. In addition, media convergence makes it possible for the show to be accepted by expanded spectrum of audience. Considering the diverse tastes of expanded audience, this show actively seek for diversity, which succeeds in gaining public recognition. In conclusion, ‘Dancing 9’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to the popularization of dance, and forms a bond of sympathy with the audience by employing recipient-oriented dances through the most powerful and popular medium, TV. Therefore this research concludes anticipa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Dancing 9’ which will facilitate the popularization of dance in 21st century digital age, and requiring the show evolve through continuous complementary meas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무용공연지도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