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가창과 놀이의 통합적 음악교육 효율성 연구

Title
가창과 놀이의 통합적 음악교육 효율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iciency of Singing and Playing Integrated Education : Focused on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for Third Graders
Authors
이신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nging and playing integrated music education on music class, and the change in the level of interest, achievement, and immers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 total of 33 third graders from 2 classes were selected. The students had no prior experience in singing and playing integrated education. 17 students were classified as class A and 16 students were classified as class B.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extracted and reorganized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level of interest, achievement, and immersion from papers by Hyun Gyung-sil (2004), Go Seung-hee(2012), and Lee Yuna (2013). Shapiro Wiki’s normality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normality of the data,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s a wa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tudent survey criterion. SPSS 21.0 was used for analysis, and matched t-test and Wilcoxon’s matched pairs signed ranks test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variance of the level of interest, achievement, and imm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before and after survey regarding the efficiency of singing and playing integrated music education, there was a positive feedback replying that there was an increase in efficiency after integrated education was introduced. The was a result of applying learning methods oriented by Kodaly and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Dalcroze, and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econd, by progressing the class based on the premise that singing and playing integrated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level of interest, achievement, and immersion, we found that integrated edu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level of interest, achievement, and immersion. Last of all,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singing and playing integrated education not only affected the musical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but also affected one’s perception towards music, increase in confidence, better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 growth in sociality.;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시 가창과 놀이의 통합적인 음악교육이 음악수업에 미치는 효율성을 연구하며 이로 인한 학습자의 흥미도·성취도·몰입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 1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3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참여 인원은 33명이다. 즉, 실험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가창과 놀이 통합적 교육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학생이며 A학급 17명과 B학급 16명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현경실(2004), 고승희(2012), 이유나(2013)의 논문 중 흥미도·성취도·몰입도만을 발췌하여 문항을 재구성 하였다. 재구성한 설문지의 내용에 관한 정규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hapiro-wilk의 정규성 검정을 실시했고, 학생 설문 척도의 신뢰도 검증방법으로는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흥미도·성취도·몰입도 변화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 및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창과 놀이의 통합적 음악교육이 주는 효율성을 학습 전·후 설문지를 통해 비교한 결과, 통합 학습 후 음악교육의 효율성이 증대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이는 코다이 및 고든의 음악학습이론과 달크로즈,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에서 지향하는 학습방법을 응용한 결과이다. 둘째, 가창과 놀이의 통합적 음악교육이 음악수업의 효율적인 측면 중 흥미도·성취도·몰입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전재로 수업을 진행한 결과 통합교육이 학생들에게 수업에 관한 흥미도·성취도·몰입도를 월등히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창과 놀이의 통합적인 음악 교육은 자신의 음악성 발달 뿐 만 아니라 음악에 대한 인식변화와 자신감 향상 및 교우관계회복 및 사회성 발달에도 기여함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