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전윤희-
dc.creator전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044-
dc.description.abstract지역 공동브랜드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차별화된 지역 이미지 확립을 위해 시장지위가 확고하지 못한 지방자치단체들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사용하는 브랜드를 말한다. 공동브랜드 사용은 지방자치단체간의 활발한 정보 교류와 브랜드 마케팅 비용 감소 등 효율적인 브랜드 경영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된 뉴 미디어 시대의 소비자 성향은 참여와 경험을 통해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정보 습득을 선호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공동브랜드 개발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Flexible Identity)는 변화된 시장 환경에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여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킬 새로운 수단으로 평가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공동브랜드의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호수문화권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관점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호수문화권은 북한강 유역에 있는 5개의 호수(파로호, 춘천호, 소양호, 의암호, 청평호)와 6개 시·군(강원도 춘천시·양구군·인제군·화천군·홍천군, 경기도 가평군)을 말하며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호수 자원을 지역 공동브랜드로 개발하는 것은 지역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민 소득 증대를 하는 것이 호수문화권 공동브랜드의 개발 목표이다. 그러나 현시점의 호수문화권의 지역 호감도는 높게 평가되나 공동브랜드로서의 인지도는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호수문화권 공동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미지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브랜드 네이밍과 아이덴티티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이에 변화된 시장의 상황에 대응하여 호수문화권 공동브랜드 이미지 확립을 위한 방안으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관점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변화된 시장 환경에 부응하는 지역 공동브랜드의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며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Local co-brand means the brand local governments with uncertain market status jointly develop and use so as to establish differentiated local image for the vitalization of their local economy. The use of co-brand can improve brand value through the effective brand management such as active information exchange among the local governments, reduction of brand marketing costs, etc. In new media period changed to aggressive and active, consumers prefer to acquisition of interactive informa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s and make lots of effect on local government's direction to develop local co-brand. Flexible identity is evaluated as a new measure which actively and flexibly responds the market environment changed and satisfies consumer's desires. To strengthen brand competitiveness of local co-brand, this thesis conduct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rand identity from an angle of flexible identity, by focusing on lake cultural area. Lake cultural area means 5 lakes (Paro Lake, Chuncheon Lake, Soyang, Lake, Uiam Lake and Cheongpyeong Lake) and 6 si·gun (Chuncheon-si· Yanggu-gun· Inje-gun· Hwacheon-gun· Hongcheon-gun of Gangwon-do, Gapyeong-gun of Gyeonggi-do) in north Han River basin. And, they are closely connected one another geographically, historic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he purposes of developing co-brand of lake cultural area are to strengthen local competitiveness and increase resident income. However, local preference to lake cultural area is currently high, but awareness of co-brand is low. Therefore, it's the most important to establish the image so a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co-brand in lake cultural area. To concrete that, brand naming an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re necessary. Therefore, brand identity design system was developed from an angle of flexible identity as a measure to establish co-brand image of lake cultural area, for the market condition changed. This research suggests new measure of local co-brand satisfying the market environment changed and it should be contribute to local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2 C. 연구 방법 및 범위 3 Ⅱ. 용어 및 개념의 정의 4 A. 도시 브랜드의 이해 4 B. 지역 브랜드의 이해 5 C. 도시 브랜드와 지역 브랜드의 차이점 6 Ⅲ.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현황 및 사례분석 7 A.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이해 7 B.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사례 분석 9 1. 도시·지역 브랜드 9 2. 공연장·미술관 13 3. 미디어·방송국·온라인 서비스 17 4. 기타 20 C.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종합분석 21 Ⅳ. 지역 공동브랜드 현황 및 사례분석 22 A. 지역 공동브랜드의 이해 22 B. 국내 지역 공동브랜드 사례 분석 23 1. 대구광역시 제품 공동브랜드 '쉬메릭' 23 2. 7개의 시·군 관광 공동브랜드 '지리산 둘레보고' 24 3. 12개 민간·시·군 관광 공동브랜드 '상상나라 국가연합' 25 C. 해외 지역 공동브랜드 사례 분석 26 1. 뉴질랜드 제품 공동브랜드 'Zespri' 26 2. 미국 캘리포니아 관광 공동브랜드 'North Bay Made' 27 3. 뉴질랜드 타우포호(湖)관광 공동브랜드 ‘Great Lake Taupo' 28 D. 국내 및 해외 지역 공동브랜드 사례 종합분석 30 Ⅴ. 호수문화권 현황 및 아이덴티티 분석 31 A. 호수문화권의 이해 31 1. 호수문화권 5개 호수 일반현황 32 2. 호수문화권 6개 시·군 일반현황 및 아이덴티티 38 3. 호수문화권 아이덴티티 종합분석 47 Ⅵ. 문제점 파악 및 개선안 제안 49 A. 호수문화권 이미지 설문조사 49 1. 설문조사 목적 및 방법 49 2. 설문조사 분석 및 결과 50 3. 설문조사 종합분석 62 B. 호수문화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63 1. 브랜드 아이덴티티 방향 설정 63 2.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 63 3. 디자인 시안 69 Ⅶ. 결론 101 참고문헌 102 부록-설문지 106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212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플렉서블 아이덴티티 관점에서 본 지역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호수문화권을 중심으로 ­-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Co-brand Identity from an Angle of Flexible Identity : Focusing on lake cultural area-
dc.creator.othernameJeon, Youn Hee-
dc.format.pageix,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