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정지근-
dc.creator정지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0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0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 방안이 유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측정능력 향상 활동의 효과적 운영 방안이 만 5세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병설유치원인 푸른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실행했고, 연구 대상은 만 5세 꽃잎반 유아 12명이다. 만 5세 유아 측정능력 향상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자 지난 1년간 연구자가 실행한 측정활동에 대해 점검하여 문제점을 분석했다. 연구 기간은 2014년 2월 3일부터 5월 27일까지이며,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측정활동을 실행했다. 연구는 만 5세 측정활동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실시했다. 교육활동은 꽃잎반 담임교사인 본 연구자가 실행했고 이를 녹화 및 전사하여 현장노트를 작성했다. 이외에도 일일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 녹화 자료, 녹음 자료, 사진 자료, 관찰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 운영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자가 지난 1년간 실행한 측정활동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측정활동이 생활주제별로 편파적으로 배정되어 있었고, 대부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쌓기놀이 형태로 많이 이루어졌다. 또한 길이와 넓이 개념에 관련된 측정활동이 주로 이루어져서 무게, 부피, 시간과 관련된 측정활동은 아주 적게 실행됨을 알았다. 이에 연구자는 측정활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해 실행연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측정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했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이 측정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유아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제해결과정이 있는 활동을 선정했다. 또한 유아들이 다양한 측정 개념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길이, 넓이, 무게, 부피,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활동을 선정했다. 선정된 활동은 사전경험 확장, 문제인식 및 탐색, 탐구 및 문제해결, 활용 및 결과공유의 4단계를 거쳐서 실행했다.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다양한 측정도구를 탐색하고 측정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측정도구 및 기록지가 비치된 측정테이블을 제공했다. 1차 실행 결과 유아 주도적 측정활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각 가정과 연계한 측정활동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또 유아들의 다양한 측정도구 사용을 돕기 위한 연구자 개입이 필요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여 유아가 주도적으로 측정활동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 주었으며, 유아 주도적 활동 후 발표를 통해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 학부모 모임을 통하여 유치원 내에서 이루어진 측정활동에 대해 설명하고, 학부모들의 측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가정에서 유아의 측정활동을 지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더불어 가정에서 실행한 측정활동의 결과를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발표시간을 가진 후, 결과물을 전시했다. 또 유아들의 정확한 측정도구 사용을 도와주기 위해서 교사가 측정테이블 옆에서 도구 사용의 시범을 보이거나 유아들과 측정도구를 같이 사용하면서 상호작용을 했다. 둘째, 측정능력 향상 활동의 효과적 운영 방안이 만 5세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측정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다양한 측정 개념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으며, 측정기술이 발달했다. 또한 측정능력 외에 수 세기와 기하 등의 수학능력이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측정을 활용한 놀이 횟수가 증가되었으며 측정활동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가 측정 개념과 기술을 어떻게 획득하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측정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측정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implement operational plan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asuring ability of five-year-old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lans on the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an effective plan to operate activities that help five-year-olds improve their measuring ability? 2. How does the effective plan to operate activities for improving the measuring ability affect five-year-ol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Konnip Class for 12 five-year-olds in Pureun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Seongnam. To make an operational plan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asuring ability of five-year-olds, my activities of measuring over the past year were examined to analyze proble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February 3 to May 27, 2014 and measur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 measuring ability. It involved realization of problems with the activities of measuring for five-year-olds, followed by making plans to solve the problems, the firs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e second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and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assessment. The Konnip Class teacher, I performed teaching activities and recorded and transcribed them to make a field note. Besides, I made a daily teaching plan, collected a researcher journal, recorded data, photos, and observations, categorized and coded them, and analyzed them for ea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 analyzed the activities of measuring over the past year and determined the problems to decide on an operational plan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asuring ability of five-year-olds, th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partially assigned according to living themes and were mostly performed in the form of block-building play in the class of free-choice activities. While the activities of measuring were mostly related to the concepts of length and width, only a few activities related to weight, volume, and time were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activities of measuring, I planned and implemented the activities of measuring to improve the measuring ability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action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e first implementation, activities involving a problem-solving process related to young children's daily life were selected so that they could recognize the need of the activities of measuring. The activities that included those concepts of length, width, weight, volume, and time were selected so that they could experience a diversity of measuring concepts. The selected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four stages: expansion of previous experiences, problem perception and exploration, inquiry and problem-solving, and use and sharing results. In addition, a measuring table on which various measuring tools and report forms was placed so that children could explore a diversity of measuring tools and do measuring activities freely. The first implementation revealed the need of measuring activities led by young children and of those connected with each home. I also needed to intervene in the course to assist children in using diverse measuring tool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I reflected the assessment of the first implementation to create the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ould lead the activities of measuring and gave an opportunity to share the results through presentation following the activities led by children. I explained the activities of measuring performed within the kindergarten in a parents' gathering and asked them to help the children perform the measuring activities at home on the basis of their understanding of measuring. The children were given time for presentation to share the results of the measuring activities at home with their peers before displaying them. To help children use the measuring tools correctly, a teacher demonstrated how to use a tool next to the table or interacted with them while sharing the tool with them.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the effective plan to operate activities that might improve the measuring ability on five-year-olds, it led to increased concerns about measuring activitie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various measuring concepts, and developed measuring techniques. In addition to the measuring ability, mathematical competence related to strength and geometry was also improved. Besides, they did measurement-using play more frequently and became confident in measuring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how young children acquired measuring concepts and techniques an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with measuring related to daily life.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diverse plans to help five-year-olds improve their measuring 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effectively operate measuring activities to improve the measur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in educational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수학교육 7 B. 유아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14 Ⅲ. 연구 방법 22 A. 실행 연구 22 B. 연구 대상 23 C. 연구 절차 25 D. 자료 수집 및 분석 32 Ⅳ. 연구 결과 34 A. 만 5세 유아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 34 B. 측정능력 향상 활동의 효과적 운영 방안이 만 5세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79 Ⅴ. 논의 및 결론 87 A. 논의 87 B. 결론 및 제언 92 참고문헌 94 부록 99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402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5세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Improving the Measuring Ability of Five-year-olds-
dc.creator.othernameJeong, Jee Geun-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