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청소년을 위한 서울지역 문화예술회관 국악 공연 프로그램 조사연구

Title
청소년을 위한 서울지역 문화예술회관 국악 공연 프로그램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program in seoul area cultural art centers for youth
Authors
강수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alization of cultural policies endorsed by the government, through utilizing existing public cultural art centers and facilities established in each local community. Targeting the youth for broader experience, cultural arts will propose basic information for art, leading to better and broader art activities. In addition, along with globalization, our music education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thnic culture is in process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putting greater priority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chool curricula, is increasing. More profound and diverse perspectives to approach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being made. Thus, proper analysi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argeted to youth considering the musical standard of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do so,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textbooks used in school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re critical. In pursuit of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ion motives, classif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into three categories. Along with the motives, places and schedules of the performances were analzed. Also, after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is study focuses on, among three curricula (expression, appreciation, and familiarization), appreciation and familiarization. In detail, based on system of contents, standard of accomplishment, instruction on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17 music textbooks of all different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Appreciation (standard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eaching basic theories) and familiarization (audience manners, performance report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rirang) were the main focu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os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program of performance type in culture-art centers based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re were performances provided with interpretations (by host, musician, or conductor), performances combined with different areas of art (such as other music besides Korean traditional music, other fields besides music, or other art form besides renditions), and performances only composed of rendition. Secondly, analyzing the culture-art centers and schedules of performance, only 21 out of 33 centers held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Most of the programs were concentrated in large-scale theaters and certain centers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National Theater, and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lso, since March, 2013 until August, 2013, steady and even amou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were monthly held, not crowded in specific period. Thirdly, according to analysis of including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songs in the 17 music textbooks adopted by middle schools after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Korean traditional music repertoires are mostly correlated with education purpose (Korean traditional pieces for teaching basic theories) and familiarization purpose. Lastly, to observe the process of performanc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composed with interpretation of the music, combination with diverse attempts, and rendition helped the youth to have more profound and active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promoted the adolescents to experience music in diverse perspective through understanding, appreciation, experience, education,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verall, this study points out the drawback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s in the followings. Despite numerous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composed of combination and rendition, there was lack of performance composed with interpretation to help profound and proper understanding of the youth. Also, the major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were held in only certain art centers. Local communities are in need of large-scale auditoriums and local culture-art centers to hold parity with performances held in Seoul. In addition, scheduling performances in time when adolescents are most likely to be available is critical. Performance organizers should utilize summer vacation in August to draw as much participation and interests as possible. On top of that, despite intense connection between pieces included in the textbook and performance pieces, still certain standard pieces to teach basic theories are seldom played in real life, especially, modern time and contemporary time pieces. Thus, more intense and practical productions of performances and textbooks will be required. In conclusion, various challenges and interests are critical, so that more youth will actively participate and appreciate their own traditional musics.;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의 추진아래 문화정책의 실현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각 지역사회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공립문화시설인 문화예술회관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예술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예술과 관련된 폭넓은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우리의 음악교육은 세계화와 더불어 민족 고유의 문화 발달에 초점을 둠에 따라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여 학교 교육과정에서도 국악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다양한 관점으로 심도 있게 접근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음악적 수준을 고려하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악 공연 프로그램의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청소년을 위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접하는 교과서와 비교하여 국악 공연 프로그램과 교과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문화예술회관에서 이루어진 국악 공연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공연구성에 따라 3가지(해설, 통합, 연주) 유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문화예술회관의 장소와 기간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3가지(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들 중 본 연구와 관련 있는 감상 및 생활화 영역이 제시하는 내용체계, 성취기준, 내용영역별지도, 학습활동예시를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7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한국음악 제재곡)과 생활화 영역(공연관람예절, 감상문쓰기, 무형문화유산, 아리랑)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연유형으로 서울지역 문화예술회관에서 진행되는 국악 공연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해설이 있는 국악 공연 프로그램(사회자 또는 연주자 및 지휘자), 다른 영역과 통합된 국악 공연 프로그램(국악이외에 다른 음악의 영역들, 음악이외에 다른 분야의 영역들, 연주이외의 다른 형태의 영역들), 연주만으로 이루어진 국악 공연 프로그램으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두 번째,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진행된 문화예술회관의 장소와 기간을 분석한 결과, 33곳의 문화예술회관 중 21곳의 문화예술회관에서만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이루어졌고, 그 중에서도 대규모 공연장과 특정 문화예술회관(국립국악원,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에 크게 편중되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3월에서 2013년 8월까지 매달 같은 비중으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특정 기간에 치우침 없이 일정한 수의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연내용으로 국악 공연 프로그램에서 연주된 곡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7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얼마나 수록되어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국악 공연 프로그램에 선정된 연주곡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7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한국음악 제재곡)과 생활화 영역(무형문화유산, 아리랑)에 많은 부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한 결과, 청소년을 위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해설, 통합, 연주와 같은 구성유형은 청소년들이 좀 더 적극적인 감상을 할 수 있도록 국악에 대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이해, 감상, 연주, 체험, 교육, 소통, 활동, 참여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국악 공연 프로그램은 통합과 연주로 구성된 유형의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많았으며, 해설로 구성된 유형의 국악 공연 프로그램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음악적 수준을 고려한 해설이 있는 국악 공연 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특정 공연장에 크게 편중되어 공연이 진행되고 있음에 따라 대규모의 공연장 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문화예술회관들을 골고루 활용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여름방학 기간인 8월에 가장 적은 수의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음에 따라 청소년들의 높은 참여율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학생들의 방학기간을 이용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하다. 또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이 교과서의 한국음악 제재곡들과 많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대와 현대시대의 제재곡들은 국악 공연 프로그램에서 거의 연주되고 있지 않아서 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시대의 국악 공연 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국악 공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전통음악과 관련된 청소년을 위한 국악 공연과 감상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