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4 Download: 0

한국 근·현대 예식장의 문화사

Title
한국 근·현대 예식장의 문화사
Other Titles
Cultural history of modern wedding hall in Korea : Mainly focusing on Seoul Area
Authors
권상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훈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origin of daily lif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rom the events which occur as “wedding hall” appears and changes. It is a process of researching how a specific period of time is experienced and recol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Since the first modern wedding ceremony took place in a chapel in 1888,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edding hall” has existed through the unprecedentedly rapid transition of Korean social culture and built its unique styl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for 120 yea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ntire process of transition of modern wedding hall – from its appearance to the current status. The study then goes further into identifying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influenced the process and understanding modern history of Korea. The thesis is constructed as follows. In Chapter I, the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is explained, which looks into the wedding rites, wedding hall, and the attempt to read those factors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today’s everyday lives. This chapter also seeks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ceding researches. Meanwhile, contemporary study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raditional and modern studies, so it necessitated securing primary sources. As setting the research direction ahead, current status of wedding halls is introduced in the form of statistical data. Chapter II discusses about the background and historical flow of how cultural history became to receive attention. As the characteristic of conventional history - progressive, winner-oriented and imperialistic - are questioned and the importance of consciousness, experience and reason are emphasized, cultural history emerged as an alternative. There are four stages of historical flow: classic cultural history, social history of art, history of popular culture and new cultural history. Especially in Korea, the concept of cultural history has been a understood as national culture and then as particular history such as history of art and custom which aims to inspire national pride. In the mid-1990s, a new trend of the cultural history has emerged due to the combination of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The external factor was the denial of conventional historicism and the internal factor was the attempts to boost the understandings of cultural history beyond national history. And the New trend called for additional research to find the rules to understand “here and now”. Chapter III discusses the feature of wedding halls - the pursuit of unusualness - in terms of wedding rites and ceremonial spaces and explains the way they influence everyday life. The time range of this study is from 1888 to 2014. There is a consistent sociocultural background applied to this period, and a cultural principle surpassing that is designated as “spectacle”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spectacle”, the characteristic of rites which realizes the concept are discussed in this chapter. The images transferred through the sequence, movement, and physical space of wedding ceremony are explored in this chapter as well. In Chapter IV, modern period could be divided into five in order to discuss the cultural history of wedding hall; the appearance of modern wedding (1888~1937),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wedding halls and industrialization of wedding (1937~1969), ‘family rite rules’ and economic development (1969~1988), the emergence of new gener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1988~1999) and the permission for hotel wedding and small wedding (1999~2014). Each period is classified by monumental events. To find primary sources of events and everyday life surrounding wedding halls in Seoul, newspaper articles were mostly used. And this study tried structural reading between the lines to seek the cause of such event. It shows that the factors such as the advent of modern times, influx of the Western culture, economic development, growth of middle class, democratization, change of views for marriage, romance, fantasy, the instinct of imitation, sense of identity, etc. are all intertwined. Chapter V organizes chronological research and reviews the particular driver which brought change to wedding halls. Especially, the desire to show off and the envy about the upper class artfully involved consumerism. While it led to the gentrification and fantasizing of wedding ceremony, it heads to the direction of creating distinct organic “spectacle” though emulation or breakaway.;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결혼 전문예식장이 등장하고 변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사건들을 통해 오늘날의 일상의 기원을 찾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문화사적 시각에서 특정한 역사적 순간을 살아낸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체험하고 기억하는지 탐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888년 개화기 예배당에서 이루어진 첫 신식혼례의 등장 이후 약 120년간 ‘예식장’이라는 공간은 그 어느 때보다 촘촘했던 한국 사회문화의 격변 속에서 존재해왔으며 그 독자적인 양식과 공간적 특성을 성립해왔다. 본 연구는 1차적으로 근대적인 결혼공간이 등장하여 오늘날까지 변화해온 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그 사건들에 작용한 내‧외부적인 힘을 발견하여 한국의 근현대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오늘날의 일상을 파악하기 위해 결혼의례, 예식장이라는 공간, 그것을 문화사로 풀어내려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전통과 근대연구에 비해 현대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이에 관련된 1차 자료 발굴의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향후 연구방향을 설정하면서 오늘날의 일상이 벌어지고 있는 예식장 현황을 통계자료를 통해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화사가 주목받게 된 배경과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전통적인 역사관이 가지고 있던 진보성, 승자 중심, 제국주의에 대한 반성과 함께 떠오른 의식과 경험, 사유의 중요성이 중요시되면서 문화사는 일종의 대안적인 역사로 등장했다. 고전적 문화사, 예술의 사회사, 민중문화사, 신문화사로 이어지는 네 단계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에서의 문화사 개념은 민족문화의 이해와, 나아가 이를 통한 민족적 자긍심 고취를 위한 예술사, 풍속사 등의 특수사로 이해되었고 90년대 중반에 이르러 국내에 활발히 등장한 새로운 문화사적 조류는 기존의 역사주의를 거부하는 외적 요인과 문화사가 민족문화의 이해수준에 정체되는 것을 극복하려는 내적 요인이 합쳐져 ‘지금 여기’의 일상을 이해하기 위한 규칙을 찾는 연구들을 필요로 하였다. Ⅲ장에서는 예식장이 갖는 탈일상성을 결혼의례와 예식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것이 예식장을 둘러싼 일상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풀어내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기적 범위가 1888년부터 2014년까지이기 때문에 이를 총체적으로 관통하는 특정한 사회문화적 배경 이상의 문화적 원리의 존재를 ‘스펙타클’로 가설하여 그 개념적인 측면을 정리하면서 그러한 스펙타클이 실현될 수 있는 의례자체의 특징과 예식절차, 동선, 물리적 공간이 전유하는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예식장의 문화사를 다루기 위해 근현대를 다섯 시기로 나누었다. 그 다섯 시기는 신식결혼의 출현(1888년~1937년), 전문예식장의 등장과 예식산업화(1937년~1969년), 가정의례준칙과 경제발전(1969년~1988년), 신세대의 등장과 예식 다양화(1988년~1999년), 호텔결혼식의 허가와 작은 결혼식(1999년~2014년)이며, 분류기준으로는 이러한 시대적 특징을 등장‧종결시키는 기념비적 사건을 설정하였다. 주로 신문기사를 통해 서울지역의 예식장을 둘러싸고 벌어진 사건과 일상을 1차 자료로써 발굴하고, 그것을 야기한 구조적 행간 읽기를 시도하였다. 근대의 출현, 서구문물 유입, 경제발전, 중산층 성장, 민주화, 결혼관의 변화, 낭만, 판타지, 모방심리, 주체의식 등의 요소가 얽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시대별 연구를 정리하며, 예식장을 변화시킨 특정한 힘들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았다. 특히 자신의 결혼을 특별하게 하고픈 욕구와 상류층에 대한 선망은 소비주의와 교묘하게 엮여 예식의 고급화와 판타지적 설정들을 야기했지만, 점차 모방 혹은 이탈을 통해 자신들만의 유기적인 ‘스펙타클’을 만드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