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생활중국어』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

Title
『생활중국어』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tical study of illustration in the text books for 'Living Chinese Language'
Authors
선미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옥주
Abstract
On the basis of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s writer carried out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on teachers and students' cognition of illustration in 5 types of middle school text books for 'Living Chinese Language'. This writer also analysed frequency and status of its use. Through such analytical study in this paper it is aimed to identify errors and problems and to find ways for eliminating them and find measures for improvement. Second, frequency of use was analyzed by classifying illustration in the 5 types of text books into 3 categories namely, patterns, linguistic function and cultural content. Patterns of the illustration were classified into patterns of pictures, photos, cartoons and combination of pictures and photographs, graphs, maps and posters. Linguistic func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namely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comprehensive function wherein more than 2 functions were combined. Cultural content was classified into types such as 'linguistic culture,' 'hobby and leisure activity,' 'home life· school life· social life· etiquette', 'clothes-food-shelter', 'cultural heritage,', and 'society, art, culture.' Third, errors in illustration were classified into 5 patterns, namely congruence with text books, relativeness, clarity in expression, appropriateness for communication of content of text books, whether or not cultural circumstances and context are being reflected and then number of errors were presented. Fourth, measures for improvement with regard to errors are presented by using pictures, photographs, cartoons, patterns of combination of pictures and photographs.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First, result of survey by questionnaires showed that students replied illustration as being helpful for studying 4 linguistic functions and culture. They also replied that captions were helpful for understanding Chinese culture. Their most favorite patterns were cartoons and patterns which were considered as most helpful for study were cartoons. Result of survey by questionnaires showed that teach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textbook illustrations. But, they are thinking that improvement or development of photographs is needed. Also,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lack of the amount of illustration for writing. And the improvement of illustration for chinese culture is needed because of scarce amount of illustration and its small size. Second, result of analysis on the basis of patterns showed that use of pictures and photographs in illustration preponderant. In comparison with previous curriculum increased use of cartoons could be observed. Result of analysis based on linguistic functions showed that pictures were occupying most of illustration for linguistic function and it was followed by pictures, cartoons and mixtures sequentially in diminishing order. Function of illustration was most frequently used for speaking and it was followed by comprehension, reading and writing sequentially in diminishing order. With respect to combined function illustration was most frequently used in case of combina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Result of analysis of illustration related to Chinese culture in terms of content of culture showed that illustration related to 'society, art and culture' had highest rate of use whereas the illustration related to 'hobby and leisure activity' was the lowest in frequency of use. The 3 top classes in cultural elements which showed highest rate in frequency of use were famous places, Chinese foods and communication. Third, Analysis of errors in illustration for linguistic function showed that illustration for reading contained highest level of error and such rate of error became less sequentially with comprehension, listening and writing. In terms of types of errors discrepancy with content of text books was highest and it was follwed by error of ambiguous expression of illustration, low rate of relativity with content of text book and inappropriate function of communicating content of text book etc. sequentially. In terms of error with illustration related to Chinese culture inappropri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was most frequently found and it was followed by lack of culture circumstances and context, discrepancy with content of text books and unclear expression of illustration and low level of relativeness with content of text books.;삽화는 중국어 학습 및 중국 문화의 이해를 도와주는 중요한 교수·학습 자료이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중국어 5종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사용빈도 분석을 통해 활용현황을 파악하고 오류를 찾아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설문을 통해 삽화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둘째, 5종 교과서에 실린 삽화를 유형, 언어기능, 문화적 내용의 3가지 범주로 나누어 사용빈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삽화의 오류를 교과내용과의 불일치, 교과내용과의 낮은 관련성, 삽화 표현의 불분명, 정보 전달기능의 미흡, 문화적 상황 및 맥락의 결여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총 오류 수를 제시하였다. 넷째, 오류에 대한 개선방안을 그림, 사진, 만화, 그림과 사진의 합성된 유형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 결과, 교사들은 현행 교과서의 삽화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사진 유형의 개선 혹은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언어기능 중 쓰기의 양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중국문화 관련 삽화가 양이 부족하고 크기가 작은 등의 이유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삽화가 중국어의 4기능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특히 듣기를 학습할 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삽화가 중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캡션이 중국 문화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가 선호하는 삽화의 유형은 만화, 사진, 그림 순이고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삽화의 유형도 이와 같다. 5종 교과서를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그림, 사진, 만화, 혼합, 지도, 포스터, 그래프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전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해 만화 유형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나 언어기능은 그림에, 중국문화는 사진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언어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 그림이 언어기능의 삽화의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사진, 만화, 혼합 순으로 사용되었다. 삽화가 가장 많이 사용된 기능은 말하기로 이는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현행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결과이다. 다만 일부 교과서는 말하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 상대적으로 다른 기능에 사용되는 삽화의 감소로 인해 중국어의 4기능 발달에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듣기 삽화의 비율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2종 교과서에서 매우 낮은 사용빈도를 보이고 있어 향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통합 삽화의 경우 교육과정에서 2가지 이상의 기능을 연계하여 교수하는 것을 권장하는 만큼 삽화도 이를 반영하여 통합 삽화의 비중을 확대하고 다양한 기능이 고루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읽기 삽화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이는 대부분 읽기 본문 하나당 삽화를 한 개에서 두 개 정도 사용하고 그 밖에 연습문제에서의 사용이 저조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쓰기 삽화의 비율은 5종 교과서에서 가장 낮은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어 개발이 필요하다. 중국문화 관련 삽화를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사진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만화, 그림, 지도, 혼합, 그래프 순으로 나타났다. 만화의 사용빈도는 높은 편이나 대다수가 한 교과서에서 사용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6가지 문화적 내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사회, 예술, 문화’ 영역의 삽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취미와 여가 활동’ 영역의 삽화는 5종 교과서 중 2종에서만 소개되었을 뿐 아니라 사용빈도 또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중국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중국인의 ‘취미와 여가 활동’에 관한 삽화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화요소에 따라 삽화를 분석한 결과 명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의식주’ 영역의 경우 삽화의 소재가 중국음식에 치중되어 있으며, 주(主)의 경우에는 한 차례도 등장하지 않았으며, 의(衣)는 1종 교과서에서만 소개되어 향후 개선이 필요하다. 오류를 분석한 결과, 읽기 삽화의 오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말하기와 통합, 듣기, 쓰기 순이다. 언어기능 삽화의 오류는 교과내용과 불일치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삽화 표현의 불분명, 교과내용과의 낮은 관련성, 정보 전달기능의 미흡 순으로 나타냈다. 중국문화 관련 삽화의 오류는 정보전달 기능이 미흡한 것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이어 문화적 상황 및 맥락의 결여, 교과내용과 불일치, 삽화 표현의 불분명, 교과내용과의 낮은 관련성 순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