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이성아-
dc.creator이성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2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252-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기에 진입하는 발달장애 학생들은 다른 비장애 또래와 마찬가지로 신체 및 심리적 변화를 겪으며,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을 형성해나간다. 그러나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정체성 발달은 장애로 인하여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장애에 관한 편견과 학업 및 대인관계에서의 실패 경험들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통합된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또래의 편견과 분리된 공간에서 제공받는 교육, 장애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자신의 장애를 부정적으로 혹은 왜곡되게 인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는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 및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 자기결정, 진로결정 등 다양한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중심계획 및 장애의 개념화 진전 등 최근 특수교육 동향과도 상통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실행 현황(2013학년도 기준)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특수교사 및 학부모, 발달장애 학생 본인이 인식하는 프로그램의 내용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구성요소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및 학부모와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34부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t검정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필요성 측면에서 98.6%의 특수교사가 매우 필요 혹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이유로는 학생이 자신의 장애를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자존감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3학년도를 기준으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실시 현황을 조사한 결과, 78.4%의 교사들이 실시하고 있었다.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의 응답을 살펴본 결과, 교육 내용 측면에서 40%이상의 교사가 개인의 다양한 특성 중 하나로서의 장애와 학생의 장애로 인한 특성 및 영향을 다루고 있었다.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행동 지도 및 개별 상담 시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업 중 관련 교과내용에 삽입하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교육 횟수와 대상자 선정 기준은 학기 중 1~2회씩, 모든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구성요소 중요도에 관한 특수교사 및 학부모의 응답을 5개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개인 간 공통점과 차이점 6문항, 나의 강약점 이해 3문항, 나의 장애 수용 4문항, 내게 필요한 지원 5문항, 진로 탐색 및 계획 3문항으로 범주화하였다. 누적변량은 62%로 나타났으며, 요인에 부적절한 문항7은 통계처리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응답자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요소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21개 모든 문항에 대한 평균이 특수교사 3.48, 학부모 3.32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 학생이 응답한 14개 문항의 평균이 3.43으로 나타남으로써 세 집단 모두 프로그램 구성요소 전반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세 집단(특수교사와 학부모, 발달장애 학생)의 총점을 기준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은 내용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권리와 자기옹호, 졸업 이후 진학할 상급학교 및 서비스 기관에 대해 아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와 학부모가 인식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21개 문항 총점과 5개의 모든 요인에서 특수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 내용의 민감함과 어려움을 고려하여 당사자인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학부모, 발달장애 고등학생 본인의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내용 구성요소를 타당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nd to have a negative self-concept and identity development can be more complicated because of their disabil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may be recognized as distorted or negative because of peers bias, educated in a separate space, the lack of self-understanding education including acceptance of disability. This program is beneficial to self-concept formation,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self-direction, career education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recent trends in the special education, such as Person-Centered Planning and evolution of conceptualization of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lf-understanding program including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is study interrogated patents, students and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middle and high schools and finally analyzed 334 copies among them. The analysis is shown to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98.6%) answered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was needed, the main reason is that stud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enhancement. In terms of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in 2013, teacher of 21.6% had nat conducted the self-understanding program including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teachers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s on the disability as one of student`s various characteristics from an aspect of the education content and the most common method of teaching is counseling for problem behavior guidance. The number of training 1-2 times a semester and that the target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higher response. Second, Factor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about importance of program content, five factors were derived; (1)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of 6 items, (2) understanding of my strength and weakness of 3 items, (3) acception of disability 4 items, (4) necessary supports for me of 5 items, (5) career searching and planning of 3 items. The teachers and parents of special class of middle and high school considered "career searching and planning" most important and they put less value on the factor "acception of disabil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program content according to type of respondents, all of the items are high scores in all group; teachers group average of 3.48, parents group average of 3.3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average of 3.43. The above two respondent groups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 of total score and all of the factors, teachers group show more higher scores than parents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opinion of the teachers, parent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aises the necessity of self-understanding program including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is data will be utilized as a basis of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cont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자기이해 7 1. 자아개념 및 자기이해 7 2.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자기이해의 어려움 8 B.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12 1.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의 중요성 12 2.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관련 선행연구 내용 분석 13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참여자 17 B. 연구 도구 20 C.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23 D. 자료처리 방법 26 Ⅳ. 연구결과 28 A.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현황 28 1.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필요성 및 이유 28 2.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실행 현황 29 B.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내용 구성요소 34 1.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내용 구성요소의 요인 34 2.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및 학부모, 발달장애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내용 구성요소의 중요도 37 3.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내용 구성요소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중요도 인식의 차이 44 Ⅴ. 논의 및 제언 46 A. 논의 46 B. 제한점 55 C. 제언 56 참고문헌 57 부록목차 68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37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Lee, Seong A-
dc.format.pageix,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