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희-
dc.contributor.author최아름-
dc.creator최아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0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0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영역에서의 삽화와 읽기자료의 유형과 기능을 학년별, 교과서별, 단원별로 분석하여 물리 영역에서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 15권의 물리 단원에 제시된 삽화를 삽화의 유형과 삽화의 기능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삽화의 유형 분석은 제시된 삽화를 사진, 도해, 도표, CGI, 그림, 만화로 구분하여 분포 비율을 분석하였고, 삽화의 기능은 ‘실험 및 활동 안내’, ‘현상 및 관찰’, ‘추상적 개념의 시각화’, ‘과학과 일상생활’, ‘동기유발’로 구분하여 분포 비율을 분석하였다. 읽기자료는 제시된 읽기자료를 STEAM’, ‘STEM’, ‘지식의 심화 보충’, ‘생활 속 과학’, ‘과학사’, ‘진로 및 체험’으로 분류하여 분포 비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삽화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사진, 도해, CGI, 도표, 그림, 만화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과학영역의 삽화 유형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삽화 유형 중 사진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이유는 자연 현상의 관찰을 통한 과학적 개념의 이해를 학습의 목적으로 하는 과학의 학문적 특성 때문으로 이해되었다. 둘째, 단원별로 삽화의 유형 분포를 분석한 결과 사진, 도해, 도표, CGI, 그림, 만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학년별 삽화의 유형 분포 비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단원이 가진 개념적 특성에 따라서 삽화 분포 비율이 차이를 보였으며 사진, 도해, 도표, CGI의 경우 단원별 특징을 구분할 수 있었지만, 그림과 만화는 단원별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아 단원별 특징을 알아볼 수 없었다. 셋째, 삽화의 기능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실험 및 활동 안내’, ‘현상 및 관찰’, ‘추상적 개념의 시각화’, ‘과학과 일상생활’, ‘동기유발’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학과 다른 영역의 선행연구 결과들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삽화의 기능에 따른 분포 역시 물리 영역의 특징이 아닌 과학의 학문적 특성으로 이해되었다. 넷째, 단원별 삽화의 기능 분포를 분석한 결과 모든 단원에서 ‘실험 및 활동 안내’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현상 및 관찰’, ‘추상적 개념의 시각화’, ‘과학과 일상생활’의 기능은 단원별로 차이를 보였다. 단원별로 단원이 가진 내용적 특성에 따라서 삽화 기능별 분포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동기유발’기능의 경우 대체적으로 전 단원에서 분포 비율이 낮았으며, 단원간 분포 비율도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지식의 심화 보충’, ‘STEM’, ‘생활 속 과학’, ‘진로 및 체험’, ‘STEAM’, ‘과학사’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읽기자료의 경우 교과서 별로 유형별 분포 비율이 달랐는데,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과학 교과서가 인정도서로 전환되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여섯째, 단원별 읽기자료의 유형 분포를 분석한 결과 힘과 운동 단원과 일과 에너지 전환 단원은 유형별 읽기자료의 분포 비율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열과 에너지 전환, 빛과 파동, 전기와 자기 단원은 읽기자료의 분포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년별, 교과서별 삽화의 유형과 기능은 다른 영역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물리 영역의 특징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단원에 따른 분석에서는 단원이 가진 특성에 따라서 삽화의 유형과 기능의 분포 비율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읽기자료의 경우 과학 교과서가 인정도서로 전환되면서 교과서마다 제시하는 읽기자료의 유형과 내용의 다양성과 자율성이 높아져 분포 비율의 차이가 교과서별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물리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영역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단원에 따른 읽기자료의 유형 분포는 단원의 내용이 읽기자료의 분류 유형과 연관성이 높을수록 그 유형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 and function of illustration and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s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tegorized science textbooks by grades, publishers and chapters to analyze the illustration and reading materials pattern in physics area. For analysis, 15 of 5 kind 2009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illustrations developed by Woo jong-Ok and Park Si-Hyoun and illustration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by Choi Young-Ran, Park Ji-Hye were revised and exploited. Also, analysis of reading material was the reference for introduction of the books for the classification type and a standard of reading material classification by Lim Mi-Kyung was used as revision and recommended for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ype of illustr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the illustration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was higher in the order of photographs, diagrams, CGIs, charts, pictures, and cartoons. This result showed the similar tendency of illustration type analysis in the other scientific area. Second, analyzing type of illustration by chapters showed that the illustration pattern analysis was higher in the order of photograph, diagram, chart, CGI, picture, cartoon. It was concluded that the illustration pattern analysis has different chapters with conceptual characteristics. Also, photographs, diagrams, charts, and CGIs were the element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characteristics of lessons. Third, analyzing functions of illustr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the illustration pattern analysis function was higher in the order of ‘experiment and activity guide’, ‘phenomenon and observation’, ‘science and life’, ‘visualize of abstract concept’, ‘science and life’, and ‘motivation’. This result was equal analysis as the science area. Fourth, analyzing functions of illustration by chapter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experiment and activity guide’ was the highest of all lessons and ‘phenomenon and observation’, ‘visualize of abstract concept’, ‘science and life’ have different distribution rate by characteristics of chapters. Fifth, analyzing types of reading material showed that distribution pattern of reading materials was higher in ‘deepen and supplement of knowledge’, ‘STEM’, ‘science in life’, ‘job and experience’, STEAM’, ‘science history’ categories. Reading materials had difference in distribution pattern by each textbook. Sixth, analyzing types of reading material by chapters showed that the chapter of ‘force and motion’ and chapter of ‘work and energy conversion’ have similar tendency of reading material distribution patter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1. 삽화 3 2. 읽기자료 3 D. 연구의 제한점 4 II. 이론적 배경 5 A. 과학 교과서와 보조자료 5 B. 삽화의 개념 6 1. 삽화의 유형 6 2. 과학 교과서에서의 삽화의 기능 9 C. 읽기자료의 개념 11 1. 과학 교과서에서의 읽기자료의 기능 11 2. 과학 교과서에서의 읽기자료 활용 효과 12 D. 선행연구 13 III. 연구방법 15 A. 분석대상 15 B. 분석방법 16 1. 삽화 분석 방법 17 2. 읽기자료 분석 방법 1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2 A. 삽화의 유형과 기능 분석 22 1. 삽화의 유형 22 2. 삽화의 기능 30 B. 읽기자료의 유형 분석 39 1. 교과서별 읽기자료의 유형 40 2. 단원별 읽기자료의 유형 45 V. 결론 및 제언 50 A. 결론 50 B. 제언 51 참고문헌 52 부록 55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22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단원에 제시된 삽화 및 읽기자료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Illustration and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Physics Chapter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Choi, A Reum-
dc.format.pagei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