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배수진-
dc.creator배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1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19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ross-age peer tutoring on the schoo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n the functional living skill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separate special education schoo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 adolescents and 9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In the experimental group, 9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at has participated in cross-age peer tutoring compared with other group of 9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s tutors were trained about teaching process before, had taught handling vacuum and laundry skills to childs as tutee in cross-age peer tutoring. In this study, functional living skill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sessed by using a functional skills tes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school-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using the MSLSS(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and Self-esteem measurement t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le childs' functional skills scores increased in their scores from pre-test to post-test in cross-age peer tutoring. For their scores of handling the vacuums and using laundry over the 15 lessons in cross-age peer tutoring in a special schoo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ross-age peer tutoring as tutor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chool-life satisfaction than control group. This meas that the cross-age peer tutoring in an special school is effective in improving school-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Third, for the self-esteem factor, the result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utor in cross-age peer tutor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udents as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cross-age peer tutoring in a special school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function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chool-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provides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cross-age peer tutoring in special schools and extending teaching area in cross-age peer tutoring.;본 연구는 특수학교 내 일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령과 능력을 가진 장애학생들에게 또래교수를 실시한 것으로, 중재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어떤 유익을 제공하는지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기에 접어들며 신체적, 인지적 변화와 함께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학생의 정서 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청소년기의 장애학생이 고등학교 진로를 특수학교로 선택하는 경우 또래와의 관계 형성의 실패, 학업 중심적인 환경 등으로 일반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큰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의 수가 많은 특수학교에서 다양한 수준의 학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교육의 실행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의 능력에 적절하고 더욱 효과적인 교수법을 고민하게 된다. 또 특수학교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일반학교 환경에 비해 특수학교 환경에서의 중재 실행에 관한 연구의 수가 제한적인 상황은 특수학교 환경에서 질 높은 교수방법의 구축과 실행에 대한 요구로 이어진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 특수학교 고등학생 18명과 초등학생 9명으로 구성되었다. 고등학생집단 18명은 연령과 능력이 비슷한 그룹으로 9명씩 나누었으며 이 중 한 그룹에게 고등학생 교수자 역할을 부여하였다. 고등학생 교수자의 역할을 수행한 그룹은 실험집단으로 기능하였고 다른 그룹은 통제집단으로 기존 수업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고등학생 교수자에게 주 2회, 4주간 사전교육을 실시하였고 사전교육을 받은 고등학생 교수자는 주 3회, 5주간 초등학생 학습자에게 기능적 기술을 교수하였다. 고등학생 교수자가 초등학생 학습자에게 교수한 기술은 청소기와 세탁기 사용 기술이며 교수 활동은 청소기 7회기, 세탁기 7회기, 마무리회기 1회기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본 중재가 실시된 이후 고등학생 교수자에게 상급학생교수를 받기 전과 후에 각각 초등학생 학습자의 기능적 기술 수행을 측정하여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하여 종속변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 학습자 집단의 청소기 사용 기술 점수와 세탁기 사용 기술 점수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등학생 교수자 집단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검사 결과 상급학생교수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상급학생교수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특수학교 내 상급학생교수가 초등학생 학습자의 기능적 기술 수행과 고등학생 교수자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또래 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을 입증했으며 특수학교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으로서 상급학생교수가 효과적이었음을 보였고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을 교수하는 것이 주를 이루던 또래교수 중재 환경에 다양성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동일집단 구성의 어려움으로 초등학생 통제집단이 없었던 점이나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 공격행동이 나타나는 학생들의 참여를 배제시켜 연구 참여자 선정에 제한이 있었다. 이에 다양한 수준과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을 학교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특수학교 교수법의 다양화와 학생들의 개별화된 교육적 요구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또래교수의 개관 6 B.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10 C.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기능적 기술 교수 13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참여자 17 B. 실험 기간 및 장소 23 C. 독립변인 : 상급학생교수 중재 24 D. 종속변인 33 E. 실험설계 및 절차 35 F. 자료 처리 38 G. 중재충실도 38 H. 사회적 타당도 39 Ⅳ. 연구 결과 41 A. 특수학교 내 상급학생교수가 초등학생 학습자의 기능적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41 B. 특수학교 내 상급학생교수가 고등학생 교수자에게 미치는 영향 43 Ⅴ. 논의 및 제언 46 A. 논의 46 B. 연구의 제한점 51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 62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92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내 상급학생교수가 초등학생 학습자와 고등학생 교수자에게 미친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ross-age peer tutoring on the Tutee and Tut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dc.creator.othernameBae, Soo Jin-
dc.format.pageix,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