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김윤희-
dc.creator김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33-
dc.description.abstractSNS(Social Network Service, SNS)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사회자본의 연계성을 분석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SNS이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SNS의 핵심적인 이용층으로 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NS이용이 사회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중·고등학생들의 SNS이용정도를 살펴보고, 성별·학교급·이용정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SNS이용정도, 이용동기, 부모통제정도가 온라인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SNS를 통해 형성된 온라인 사회자본이 오프라인 사회자본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이용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6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526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일수, 이용시간, 온라인 친구수 등을 통해 볼 때 중·고등학생들은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와 같이 기존의 인맥을 강화하고 지인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SNS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둘째, 성별·학교급·SNS이용정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은 SNS이용정도에서, 온라인 결속적 사회자본은 성별, 학교급, SNS이용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SNS이용정도, 이용동기, 부모통제정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을 살펴본 결과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으며, 관계추구의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고, SNS이용에 부모의 큰 관심이 없을수록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정보추구, 정체성표현, 유행추구의 이용동기와, 부모가 SNS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해주는 정도가 크거나, SNS이용의 좋고 나쁜 점에 대해 이야기할수록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가시키는데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부모와 SNS를 통해 대화를 하는 정도가 클수록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온라인 결속적 사회자본은 정체성표현, 관계추구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NS이용정도는 중·고등학생의 온라인 사회자본형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를 통해 형성된 온라인 사회자본은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형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이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좀 더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중·고등학생들의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형성에 SNS이용동기와 부모통제정도가, 온라인 결속적 사회자본 형성은 이용동기가 각각의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효율적임을 밝혔다.;In recent years, with rapidly increasing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ers, studies on its usage in a relationship to social capital have been conducted globally. However, the most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 undergraduates and adults. Indeed, the studies on the usage of SNS among adolescents and its effects on social capital construction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effects of the usage of SNS on social capital construc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main SNS user targe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frequency of SNS use among the students, examines the differences of online social capital in gender, the level of school (middle or high school) and frequency of use. Finally, the study identifies the two kinds of effects of: a) how the frequency, motivation and the degree parental control on SNS use affects online social capital; b) how the online social capital from SNS affects offline social capital. The study employs quantitative approaches to data collection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to 6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SPSS Win 18 program, it use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meaningful 526 data. The specific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 specific SNS such as Facebook and Kakao Story which are specialized in strengthening the existing personal networks and communicating with acquaintances. It is found based on daysperweekandhoursperdayonSNSuse , and the number of online friends. Second, in the light of differences of online social capital in gender, the level of school and frequency of SNS use, statistical significance is found in: a) frequency of SNS use with online bridging social capital; b) gender and the level of school with online bonding social capital. Third, in the light of online social capital with the frequency, motivation and the degree parental control on SNS use,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er online bridging social capital than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it is higher following the degree of the purpose in social networking and less parental control over children’s SNS uses. Other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of use for pursuing information, expressing personal identities, trend following, and parental control over time limit and preaching disadvantages of SNS use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ncreasing online bridging social capital. It is decreasing with frequent communication with parent through SNS. However, in the light of online bonding social capital, only two purposes of identity-expressing and social networking to use SNS are effective to make it increase. Fourth, online social capital from SNS affects offline social capita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 specifically, online bridging social capital is rather influential to offline social capital. The study concludes by identifying the effective variables in constructing each subscale social capital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usage motivation and the degree of parental control on SNS for online bridging social capital; b) usage motivation on SNS for online bonding social capit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SNS에 관한 고찰 6 1. 소셜 미디어와 SNS 6 2. SNS의 특성과 분류 7 B. 사회자본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 1. 사회자본의 정의 11 2. 사회자본의 유형 13 C. SNS와 사회자본에 대한 선행 연구 14 1. SNS와 사회자본 14 2. 청소년과 SNS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 대상 19 B. 연구 절차 20 C. 연구 도구 21 D. 분석 방법 26 Ⅳ. 연구결과 27 A. 중·고등학생들의 SNS 이용정도 27 1. SNS 이용일수 27 2. SNS 이용시간 28 3. SNS 친구 수 30 4. 가장 선호하는 SNS와 접속기기 32 B. 성별·학교급·이용정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 차이검증 33 1. 성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 33 2. 학교급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 34 3. 학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 34 4. SNS 이용정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 36 C. SNS 이용정도, 이용동기, 부모통제정도에 따른 온라인 사회자본 38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8 2. SNS이용정도, 이용동기, 부모통제정도와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 42 3. SNS이용정도, 이용동기, 부모통제정도와 온라인 결속적 사회자본 43 E. 온라인 사회자본에 따른 오프라인 사회자본 45 1. 온라인 사회자본과 오프라인 교량적 사회자본 45 2. 온라인 사회자본과 오프라인 결속적 사회자본 45 Ⅴ. 논의 및 제언 47 A. 논의 47 B. 제한점과 제언 51 참고문헌 53 부록 59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4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소년의 SNS이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s of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on social capital construction among adolescents-
dc.creator.othernameKim, Yun Hee-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