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배현지-
dc.creator배현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의 원장과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의 실태와 인식을 살펴보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며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 실태에 대한 원장과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에 대한 원장과 학부모의 요구와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48곳의 직장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원장 48명과 그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267명이다. 연구 도구는 직장어린이집의 원장과 학부모의 부모교육 실태와 인식을 살펴보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와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원장용, 학부모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전문가와 현장교사들의 의견,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결과 및 도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내용을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직장어린이집의 원장과 학부모의 사회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각 기관별 특성을 파악하며, 부모교육 실태와 인식 그리고 부모교육 요구와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8.0을 통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실태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교육 현황에 대하여 원장은 모든 기관(100%)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고, 기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는 부모교육의 유형은 통신문 및 정보제공이었다. 원장이 인식한 가장 효과적인 부모교육 유형은 개인 또는 집단 면담이며, 가장 실시하기 어려운 유형은 부모의 능력지원과 자원지원이었다. 대부분의 기관에서 연령의 특성을 고려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부모들의 호응도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부모교육 실시 전 사전 욕구 조사는 전체 기관 중 83.3%의 기관에서 실시하며 사전 욕구 조사 내용은 부모교육에의 참석여부가 가장 많았으며, 부모교육 실시 후 87.5%의 기관에서 평가를 실시하며 전달 방법으로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주로 사용하였다. 부모교육 현황에 대하여 학부모는 전체 학부모의 81.3%가 부모교육을 경험하였다고 하였고, 가장 많이 경험한 부모교육의 유형은 통신문 및 정보제공이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주로 참여하는 사람은 어머니였고, 부모교육을 통해 대부분 부모들이 부모의 역할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참여가 어려운 이유로는 대부분의 학부모가 바쁜 업무 시간 때문이라고 하였다. 둘째, 부모교육의 요구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원장과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로 모든 원장(100%)이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자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모교육을 실시할 때 가장 적절한 시기는 1학기에 1~2번, 평일 퇴근 후로 1회 교육시간으로는 1시간~2시간 미만이었다. 직장부모들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모교육의 유형은 개인 및 집단 면담이며 유형별 담당자로는 원장과 교사를 가장 선호하며, 적절한 장소로는 어린이집 내 장소라고 하였다. 학부모의 부모교육의 요구로 대부분의 학부모(98.1%)가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부모교육의 내용과 직장부모들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모교육 유형 및 유형별 담당자와 장소에 대하여 원장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반면, 부모교육을 실시할 때 가장 적절한 시기로 1학기에 1~2번, 평일 퇴근 후로 1회 교육시간으로는 1시간미만이 적절하다고 하여 원장이 생각한 적절한 교육 시간과는 차이를 보였다. 부모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원장은 직장어린이집의 대부분이 부모교육을 실시할 때 사업장(주)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재정적 지원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하였다. 지원에 대한 만족을 느끼는 기관이 절반 정도였으며, 부모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책으로 사업장(주)의 관심과 정부의 지원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학부모는 직장어린이집에서는 직장부모의 근로환경을 고려한 부모교육의 시간과 장소를 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며, 다음으로 부모교육과 참여에 대한 사업장(주)의 이해와 지원, 부모와 직장어린이집간의 활발한 교류, 직장부모의 적극적 의견 수렴 그리고 직장어린이집 부모교육 전문 프로그램이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and awareness of parent education in directors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and parents whose children use the centers, determine the demand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a plan to activate them, and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activate parent education programs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were set: 1. How do directors and parents perceive the actual state of parent education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2. What do directors and parents demand in terms of parent education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and how can it be activat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48 directors of 48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267 parents whose children were users of the centers. Questionnaires for directors and par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and awareness of parent education in directors and parents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and to determine their demand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a plan to activate them. I constructed the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and incumbent teachers,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and tools of previous research to meet the goal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using SPSS 18.0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rectors and parents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and to determine the actual state and awareness of parent education, their demand for parent education, and a plan to activat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rectors and parents perceived the actual state of parent education in the following way: The directors indicated that all the centers (100%) provided parent education and that some of the most frequent types of parent education in those centers were a letter to parents and information provision. They regarded personal or group interview as the most effective type of parent education and competence and resource support for parents as the most difficult type. Most of the centers had parent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age and considered it to go over well with parents. 83.3% of the centers carried out pretest to determine the needs before performing parent education, with the most frequent item in the test being concerned about whether to participate in parent education, and 87.5% performed assessment primarily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as to the program. 81.3% of the parents experienced parent education, with the most frequent types of parent education they experienced being a letter to parents and information provision. Mothers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most cases and most of the parents suggested that the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was helpful in performing their duties as parents. They had hardly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mostly because they were busy with their work. Second, the demand for parent education and their awareness of how to activate it were as follows: All the directors (100%) perceived the need of parent education and suggested what was most urgently needed was an item helpful to understand children.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parent education was once or twice in the first term, one to less than two hours per session after work on work days. The type of parent education most necessary for working parents was personal and group interview; a director and a teacher were most preferred as an educator; and they suggested education within a childcare center. Most parents (98.1%) perceived the need of parent education and had the same opinions as directors about the type of parent education most necessary for working parents, a preferred educator, and an appropriate place. In contrast, they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parent education was once or twice in the first term, less than one hour per session after work on work days. As for the scheme to activate parent education, directors reported that most of the centers were supported, financially in most cases, by employers in providing parent education. About a half of the centers were satisfied with the support and most urgently needed employers' concerns and supportive policies by the government to activate parent education. To activate parent education, parents suggested that what was most keenly necessary should be decision on time and space for parent education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in consideration of working parents' work environment, followed by employers'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ositive exchanges between parents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positive acceptance of working parents' opinions, and the efforts to develop a program specialized in parent education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직장어린이집 4 1. 직장어린이집의 개념과 필요성 4 2. 직장어린이집의 설치 및 현황 6 B. 직장어린이집에서의 부모교육 9 1. 부모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9 2. 직장어린이집에서의 부모교육 현황 12 Ⅲ. 연구방법 14 A. 연구대상 14 B. 연구도구 17 C. 연구절차 18 D. 자료 분석 20 Ⅳ. 결과 및 해석 21 A.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 실태에 대한 원장과 학부모의 인식 21 B.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에 대한 원장과 학부모의 요구와 활성화 방안 30 Ⅴ. 논의 및 결론 39 A. 논의 39 B.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록 54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47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peration and Activ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t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dc.creator.othernameBae, Hyun Ji-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