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만 4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만 4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n Effective Ways to Kindergarten Physical Activities for Four-year-olds : Focu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ction research to draw up a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or four-year-olds, apply the plan, and review responses made by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 It aims to present a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for kindergartens and o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make physical and health education more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or four-year-olds? 2. How do young children and teachers respond to the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or four-year-ol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24 children and their class teacher as a researcher at Haneul Class for four-year-olds in Haengbok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physical activities were operated from March 10 to May 11. Before performing them, the researcher reviewed the entire operation of physical activities in the class for four-year-olds, identified problems,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for four-year-olds was drawn up, followed by the first implementation, assessment of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second implementation, and overall assessment of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pproval of Ewha Womans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Ewha IRB) to protect the subjects' rights and safety. Physical activity plans and assessments, transcripts of children's activities, observations, a researcher journal, and data from interviews with colleagu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implementation of the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for four-year-olds, the researcher acquired expertise concerning Fundamental Movement Skills by consulting experts in physical activities, analyzing movements with Fundamental Movement Skills in the maturity stage, and reviewing the scales concerning Fundamental Movement Skills. Children's previous experiences of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nd present levels of development were determined to systematically select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ies suitable for children in Haneul Class. In addition, physical activities were selected as education specific to the class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operate them. To operate the secured time qualitatively, specific Fundamental Movement Skills were repetitively reflected as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ies, which were in three stages with different goals or methods to enable children to experienc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repetitively through different activities in each session. Lastly, the three-stage physical activities included exploratory physical activities to positively encourage children to explor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 verbal clue in the form of a question was given to children to facilitate their exploration and discovery during the process of physical activitie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for four-year-olds, small-group physical activities were operated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educare class to operate small-group physical activities and those associated with home, and QR codes were used to operate home-associated physical activities in association with those at the kindergarten. For small-group physical activities, the children in Haneul Clas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researcher operated small-group physical activities for one group and the educare class teacher operated art, language, and scientific activities for the other. For home-associated physical activities, moving pictures containing physical activities at the kindergarten and those at home were manufactured, QR-coded, and distributed along with the letter to parents. Second, as for responses to the plan to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for four-year-olds, children came to have an attitude of positively exploring movements i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nd the process of exploration made their Fundamental Movement Skills qualitatively chang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hey came to perceive their physical and motor skills positively and remained interested in physical activities and movements. The teacher got a new understanding of teaching goals for physical activities and came to play diverse roles as an operator, interactive person, observer, evaluator, leader, and so on. The teacher operated them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affective aspect and, consequently, obtained high teaching efficacy for physical activities through these chan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brought positive changes to young children at diverse levels by allowing individual children to improv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nd form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ake interest in physical activities and effectively operate physical activitie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se activities at kindergartens and o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 연구를 통해 만 4세 유아를 위한 기본 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적용해보고, 이에 따른 유아,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치원 및 유아교육 관련 교육현장에 효과적인 신체활동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유아 신체 및 건강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유아를 위한 기본 운동기술 중심의 유치원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만 4세 유아를 위한 기본 운동기술 중심의 유치원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따른 유아,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인 행복유치원 내 만 4세 하늘반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대상은 하늘반 유아 24명과, 학급 담임이자 연구자인 교사 1명이다.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실행 기간은 3월 10일부터 5월 7일까지이다. 실행에 앞서 연구자가 운영해 온 만 4세 학급에서의 신체활동 운영 전반을 살펴보며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헌 고찰 등을 토대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만 4세 유아를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여 1차 실행, 1차 실행에 대한 평가, 2차 실행, 1, 2차 실행에 대한 전체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는 본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 대상의 권리와 안전 등을 보호하기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이화 IRB)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결과를 알아보고자 신체활동 계획안 및 평가, 유아들의 활동 전사본, 관찰기록, 연구자의 저널, 동료교사 면담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유아를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의 1차 실행으로 신체활동 관련 전문가 상담과 성숙단계의 기본 운동기술의 움직임 분석, 기본 운동기술 관련 검사 도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기본 운동기술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획득하였다. 또한 기본 운동기술에 대한 유아들의 사전 경험 및 현재 발달 수준을 파악하여 하늘반 학급 유아들에게 적절한 신체활동 내용을 체계적으로 선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을 하늘반 학급 특색교육으로 선정하여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충분한 양적 시간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시간을 질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특정 기본 운동기술을 신체활동 내용으로 반복적으로 반영하되, 활동의 목표나 방법을 달리한 3단계 신체활동으로 운영함으로써 유아들이 매회 다른 활동을 통해 기본 운동기술을 반복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3단계 신체활동 중 탐색이 목적이 되는 신체활동을 포함하여 기본 운동기술에 대한 유아의 탐색을 적극 장려하였다. 이와 함께 신체활동 과정 중 유아들의 탐색 및 발견을 촉진시키기 위해 유아들에게 질문형태의 언어 단서를 제공하였다. 만 4세 유아를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의 2차 실행으로 소집단 신체활동 및 가정 연계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방과 후 과정반(에듀케어)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소집단 신체활동을 운영하였으며, QR코드를 활용하여 유치원에서의 신체활동과 연계한 가정 연계 신체활동을 운영하였다. 소집단 신체활동을 위해 하늘반 유아들을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은 연구자가 소집단 신체활동을 운영하고, 다른 집단은 방과 후 과정반 교사가 미술, 언어, 과학활동 등을 운영하였다. 가정 연계 신체활동을 위해 유치원에서의 신체활동 장면과 가정에서의 신체활동 장면을 담은 동영상을 제작하여 이를 QR코드화 하고 통신문에 실어 배부하였다. 둘째, 만 4세 유아를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따른 반응으로 유아는 기본 운동기술의 움직임에 대해 능동적으로 탐색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탐색의 과정을 통해 기본 운동기술이 질적으로 변화하여 발달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 및 운동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신체활동 및 움직임에 대한 흥미가 지속되었다. 교사는 신체활동의 교수목표를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신체활동 과정 중 진행자, 상호작용자, 관찰자, 평가자, 지도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며 운영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변화들로 하여금 신체활동에 대한 높은 교수 효능감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개별 유아 각자가 기본 운동기술이 향상되고, 긍정적인 신체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수준의 유아들로부터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가 유치원 및 유아교육 관련 교육현장에서 신체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육현장과 유아에게 적합한 신체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