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최진영-
dc.creator최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와 어머니 48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애착 안정성은 Waters와 Deane(1985)이 개발한 AQS(Attachment Q-se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은 Barnett(1991)이 개발한 유아용 놀이성 평정도구(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김미숙(2001)이 부모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능력은 Doh와 Falbo(1994)가 개발한 ‘사회적 능력척도: 유치원용(Social Competence: Kindergarten)’을 번안한 서유진(2005)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산출을 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애착 안정성은 사회적 능력의 대인 적응성과 정적 상관이 나타나 애착 안정성이 높을수록 대인 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과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은 사회적 능력의 인기도/지도력과 사회적 참여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즐거움의 표현은 사회적 참여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유머 감각은 대인 적응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놀이성의 하위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의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은 인기도/지도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자발성은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애착 안정성은 놀이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이 함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애착 안정성과 유머감각은 대인 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은 인기도/지도력에 영향을 미쳤고, 신체적 자발성만이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놀이성의 다섯 하위요인을 합산하여 애착 안정성과 전체 놀이성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인 적응성에는 애착 안정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인기도/지도력에는 애착 안정성, 놀이성 두 변인 모두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참여에는 놀이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의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은 전체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발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적 능력의 증진을 위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and to investigate effects of both preschoolers’ attachment and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A total of 48 preschoolers aged between 48 months and 60 months (22 boys and 26 girl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was assessed using the 90-item attachment Q-set (AQS).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adjustment. Preschoolers with higher attachment security scores were rated by their mothers as having higher interpersonal adjustment. Second, preschoolers’ playful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competence. Specifically, as levels of sense of humor become higher, preschoolers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adjustment. As levels of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y were higher and levels of manifest joy were lower, preschoolers were rated by their mothers as having more popularity/leadership. With respect to social participation, as levels of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y and manifest joy were higher, preschoolers had more social participation in a peer group. Third,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layfulness. Finally, when attachment security and playfulness were entered together to predict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ttachment securit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eschoolers’ interpersonal adjustment. Both attachment security and playfulness were significant and unique predictors of preschoolers’ popularity/leadership. Playful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eschoolers’ social participation. In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attachment security and playfulness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to predict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playfulness i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의 사회적 능력 7 B. 애착 안정성과 사회적 능력 8 C.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11 D.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 13 E. 애착 안정성, 놀이성 및 사회적 능력 15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17 A. 연구문제 17 B. 용어 정의 18 Ⅳ.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조사도구 22 C. 조사절차 25 D. 자료 분석 26 V. 연구 결과 27 A. 연구변인들에서의 성차 27 B. 애착 안정성과 사회적 능력 28 C.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28 D.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 31 E. 애착 안정성, 놀이성 및 사회적 능력 32 Ⅵ. 논의 및 결론 35 참고문헌 43 부록 61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49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유아의 애착 안정성 및 놀이성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and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Choi, Jin Young-
dc.format.pagevi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