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신서란-
dc.creator신서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0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047-
dc.description.abstractThe definition of defending behavior is the act of supporting the bullying victim or making an intervention in order to stop the harm. Although defenders take up the smallest portion in a group, it has been shown that when defending behavior appears, it brings about an immediate change to the group dynamics, and that it can effectively constrain bullying behavior. Improving the empathic ability is the most easily mentioned method in increasing defending behavior. However,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earch, emotional empathy does not fully explain defending behavior, nor is it significant for female students. Some argue that it is because the level of personal distress is ignored. This research followed the viewpoints of those researchers, and aim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on defending behavior. Also,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di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s a cognitive variable. Furthermo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 of difference among each variable or interactions among variables depending on gender, it was examined whether a different structural relationship exists in male and female groups. This research was based on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 (PRQ)’,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Mechanism of Moral Disengagement Scale (MMDS)’. Five hundred and twenty two 7th and 8th graders (256 male, 266 female) from 5 differen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North Jeolla Province,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chosen randomly for this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showed that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while moral disengagement was higher in mal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defending behavior. Seco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of key variables based on gend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defending behavior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for both genders. Also, personal distress and defending behavior had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in terms of moral disengagement, only fe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distres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empathic concern and defending behavior. Third, based on the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re was a direct path from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to defending behavior. There also was an influential indirect path that led to moral disengagement.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significantly explained defend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mong the relationships of empathic concern, personal distress, and defending behavior was verified. Fourth, after observing the interaction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that influences defending behavior, the result was that empathic concern positively predicted defending behavior, but this relationship was controlled by the level of personal distress. In other words, even with considerable emphatic concern, if the subject had experienced much personal distress, their defending behavior will be suppressed. Lastly,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The overall interpretation of the final model was similar for both male and female group. However, the gender difference among different paths show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from moral disengagement to defending behavior was only significant for female students. In conclusion,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has a direct, but opposite impact, and an indirect impact through moral disengagement, while personal distress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defending behavior. Furthermore, moral disengagement predicts a decrease in defending behavior only for female students. Regarding the results and analyses, the need for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to distinguish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the subtypes of emotional empathy, and the need to establish a separate intervention program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discussed in this research.;방어행동은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피해자를 지지하거나 가해를 중지시키고자 개입을 시도하는 행동을 말한다. 집단 내에서 방어자는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나지만, 일단 방어행동이 출현하기만 하면 집단 역동에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와 가해행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방어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감능력의 향상이 가장 흔하게 거론되고 있지만,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정서적 공감은 방어행동을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하며, 여학생에서는 그 경로가 유의하지 않기도 하다. 그 이유를 개인적 고통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설명하는 일부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본 연구는 정서적 공감을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의 하위유형으로 나누어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경로에서 개인적 고통의 조절효과 및 인지적 변인인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각 변인의 수준이나 변인 간 관계에 성차가 있다는 선행 연구를 고려하여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남녀 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 전북 및 경남 지역에 소재한 5개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참여자 역할 질문지(PRQ)’, ‘대인관계 반응 척도(IRI)’, ‘도덕적 이탈 기제 척도(MMDS)’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22명(남: 256명, 여: 26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은 여학생이, 도덕적 이탈은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방어행동에서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라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공감적 관심과 방어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이,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 개인적 고통과 방어행동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러나 도덕적 이탈의 경우, 오직 여학생 집단에서만 개인적 고통과는 정적으로, 공감적 관심 및 방어행동과는 부적으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이 방어행동에 이르는 직접 경로와 도덕적 이탈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의 상호작용 또한 방어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과 방어행동 사이에서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방어행동에 미치는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의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공감적 관심은 방어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지만 이 관계는 개인적 고통의 수준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감적 관심이 크다 할지라도 개인적 고통 또한 많이 경험한다면, 방어행동의 출현은 억제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최종모형의 전반적인 해석은 남녀 각 집단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가능하였다. 그러나 각 경로별 남녀 차이를 살펴본 결과, 도덕적 이탈에서 방어행동으로의 부적 경로는 여학생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은 방어행동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도덕적 이탈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며, 개인적 고통은 공감적 관심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이탈은 여학생에서만 방어행동 감소를 예측하였다. 관련하여 또래괴롭힘 예방 프로그램에서 정서적 공감의 하위 유형을 구분하여 다루어야 할 필요성과, 남녀 집단별로 차별화된 개입 전략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8 A.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8 B. 공감적 관심 및 개인적 고통 11 1. 정서적 공감과 방어행동 11 2.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과 방어행동 13 C. 도덕적 이탈 17 1. 도덕적 이탈의 개념 17 2. 도덕적 이탈과 방어행동 20 3.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과 도덕적 이탈 21 D. 개인적 고통의 조절효과 23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측정 도구 26 1.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26 2.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 27 3. 도덕적 이탈 29 C. 연구 절차 30 D. 자료 분석 30 Ⅳ. 연구 결과 32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32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32 2.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33 3.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상관분석 34 B.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도덕적 이탈, 방어행동의 관계 35 1. 경로모형의 설정 및 적합도 분석 35 2. 최종모형의 모수 추정치 분석 38 3.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검증 40 4. 개인적 고통의 조절효과 분석 41 C. 남녀 집단 간 비교 42 1. 모형 적합도와 경로 차이검증 42 Ⅴ. 결론 및 제언 46 A. 요약 및 논의 46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3 참고문헌 57 부록 69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06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의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Empathic Concern, Personal Distress, Moral Disengagement, and Defend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hin, Seo Ran-
dc.format.pagevi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