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0 Download: 0

공공도서관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Authors
김아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This study has an objective in improving the contents of Bookstart program that is appropriate for public library environment. To do this, Management statu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case research, survey and observation of Bookstart program.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parts were checked such a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infants, services for infants in public libraries,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the program and the signification of Bookstart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For the case research, England, Australia, New Zealand and Canada wrer mainly reviewed. And they are 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have public libraries as the central operating body for Bookstart program, among 23 affiliated countries for a crusade against illiteracy that started in March, 2014 by Booktrust, a non-profit organization in England. Lastly, public libraries in four countries listed above adapt and oversee the Bookstart program for the targets of survey analysis. However, in cases of England and Australia, we analyzed Sheffield Library in England, ACT Library and Moland Library in Australia which were introduced in existing literature additionally and selected 6 libraries as the targets. 6 selected public libraries are as follows: Birmingham Public Library and Sheffield Public Library in England, ACT Public Library and Moland Public Library in Australia, Christchurch Public Library in New Zealand and Ottawa Public Library in Canada. We compared and analyzed these libraries comprehensively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of Bookstart programs, targeted age groups, the number and length of each program. The domestic status survey was done through survey and observation targeting librarians in charge of Bookstart program in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Survey was done in 234 public libraries which implemented Bookstart program and have reading room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data provid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mong the selected 234 public libraries, 166 public libraries cooperated with the survey.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librarians in charge of Bookstart in these libraries. The survey was done from April 15th to May 9th , 2013 and 119 (71.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Contents survey of Bookstart program was done by observing the progress of the program in the public libraries. 20 libraries implementing Bookstart in Seoul are reviewed and among these, 7 organizations proceeding Bookstart or Bookstart plus program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These 7 organizations are located in Gangseo-gu, Gwanak-gu, Geumcheon-gu, Nowon-gu, Dobong-gu, Sungdong-gu and Songpa-gu. The observation was carried out from May 7th to November 27th , 2013. A survey targeting the participants of Bookstart program was carried out. By visiting 7 libraries for the observation, they were asked about the survey targeting the participants and three organizations (Gangseo-gu, Gwanak-gu, Sungdong-gu) agreed to do the survey. As mentioned above, Surveys targeting librarians in charge and participants of Bookstart program in the public libraries were carried out the progress of the program was observed. Important implications detected through the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okstart was run by one librarian and the main task was various businesses regarding book start management. In addition, the main task of volunteers was found to be the proceeding of Bookstart program. From our survey, in six out seven targeted libraries, the main librarian did not participate in Bookstart program. Second, 34.9% of librarians replied to have educational experiences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infants. Regarding the frequency of education for volunteers, once a year wa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64%. Third, there was an age of month limit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Bookstart program. In three out five observed public libraries which proceeding Bookstart and Bookstart plus programs, they used identical picture books and activities without any distinction of age of mounth. Fourth, public libraries mainly used the bulletin boards in the jurisdiction to promote the Bookstart program but Bookstart program participants said that they found out about the program through their neighbors’ recommendation. Fifth, only 34.6% of the Bookstart program participants answered to have experiences of parent education. Only one out of seven observed public library was found to proceed Bookstart program including parent education. Sixth, both the librarian in charge and the participants of Bookstart program pointed out the insufficient diversity of Bookstart program as the problem. In summary, The improvement method was suggested, separately in the management factors and contents factors, for the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in public libraries on the basis of case studies in abroad and status study in Korea. Regarding the management factors, first, the main librarian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managing the Bookstart program for the participants to feel the professionalism of the librarians. In additi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librarian in charge of Bookstart program should be increased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and the voluntee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teach. Second, the public libraries should implement stages of Bookstart program so that all the new born infants could enjoy the benefits. The libraries should also develop programs for minorities such as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ose of multi-cultural family. Third, for the expansion of Bookstart program, the libraries should promote the program more actively. Regarding the contents factors, the Bookstart program should be planned so that even the new born infants can participate and provide picture books and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infants first.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Bookstart program should be secured by putting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public libraries. Second, infants should be able to access to the books easily by reading picture books to them at their eye level. Third, Bookstart program should include parent education in its progress. In conclusion, Bookstart program improvement plan for infants appropriate for public library environment was suggeste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Bookstart program cases in abroad and current statu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Librarians in charge of Bookstart program as a primary data in developing and managing the program.;북스타트는 영아독서문화진흥운동으로 북스타트를 통해 그림책을 선물 받은 영아는 책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공공도서관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보호자와 긴밀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영아의 신체, 정신, 인지, 언어 발달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도서관의 자료, 사서의 전문성 등 도서관의 인적‧물리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영아를 위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사례 및 현황조사를 통해 공공도서관 환경에 적합한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서 영아의 개념과 특성, 공공도서관 영아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개념과 중요성, 북스타트의 의미 등 이론적인 부분을 파악하였다. 국외 사례조사는 영국의 비영리단체인 북트러스트가 2014년 3월 기준으로 조기 문맹 퇴치를 위해 연계하고 있는 23개 국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중 영국 북스타트의 영향을 받은 국가는 19개국이며 운영주체가 공공도서관인 나라는 네덜란드, 스위스,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로 5개국이다. 최종적으로 북스타트 프로그램 조사 분석을 위한 대상은 영어권 국가로 제한하여 영국을 포함한 총 6개의 공공도서관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6개관은 영국의 버밍햄 공공도서관, 셰필드 공공도서관, 호주의 ACT 공공도서관, 모랜드 공공도서관,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 공공도서관, 캐나다의 오타와 공공도서관이다. 각 도서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내용, 참여연령, 운영횟수 및 진행시간 등을 살펴본 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현황 조사는 공공도서관의 북스타트 담당자와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관찰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대상 공공도서관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http://www.libsta.go.kr)에 등록된 별도의 어린이 열람실이 있는 786개의 공공도서관 중에서 북스타트코리아에 북스타트 시행 도서관으로 등록되어 있는 234개관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선정된 234개관 중에서 설문에 협조하여 이메일 주소를 제공해 준 166개관의 북스타트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3년 4월 15일부터 2013년 5월 9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119건(71.7%)이 회수되었다. 북스타트 프로그램 내용은 공공도서관에 직접 방문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 진행 관찰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도서관 선정은 서울의 공공도서관 119개 가운데 북스타트를 시행하고 있는 20개 도서관을 먼저 대상으로 선정한 후, 20개 도서관 가운데 북스타트 꾸러미 배부에 더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12개 기관을 선정하였다. 구 단위별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어, 한 구에서는 한 도서관만을 관찰 대상으로 하여 최종 7개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였다. 7개 기관이 위치한 곳은 강서구, 관악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성동구, 송파구이다. 관찰은 2013년 5월 7일부터 11월 27일까지 이루어졌다. 그리고 북스타트 프로그램 관찰을 위해 방문한 도서관 가운데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의 동의를 구해 3개 기관(강서구, 관악구, 성동구)의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영아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 기관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보호자 수는 61명이며 이 중 52명이 설문에 참여하여 회수율은 85.2%이다. 공공도서관 북스타트 담당 사서와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설문과 관찰을 이용해 발견할 수 있는 주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북스타트 담당 인력에 관한 조사로 북스타트는 87.4%가 한 명의 담당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북스타트 담당 사서가 맡고 있는 업무는 북스타트 운영 제반 업무가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북스타트를 시행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는 66.4%가 자원활동가를 모집하고 있었으며, 자원활동가의 주요 업무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진행(40.3%)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사서를 대상으로 영아의 발달 단계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34.9%로 조사되었다. 자원활동가 교육 빈도는 연 1회가 6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월령을 조사한 결과 월령제한이 없는 곳은 전체 30.7%였다. 또한 동일한 내용의 북스타트 프로그램에는 10〜12개월 차이(27.9%), 16〜18개월 차이(16.8%)가 나는 영아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넷째, 북스타트 홍보방법으로 공공도서관은 관내 게시판(23.6%)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나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자는 이웃추천(44.2%)으로 북스타트를 알게 되었다고 답하였다. 다섯째, 부모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자의 비율은 52명 중 18명으로 34.6%에 불과하였다. 여섯째, 북스타트 담당 사서와 프로그램 참여자 모두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또한 영아기 발달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영유아 대상 단계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다음으로 관찰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담당사서의 참여 유무를 조사한 결과 7개의 관찰대상 도서관 중에서 6개관의 사서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북스타트와 북스타트 플러스 프로그램을 모두 진행하고 있는 5개의 공공 도서관 가운데 3개관에서는 월령의 구분 없이 동일한 그림책과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북스타트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책과 관련한 영아 중심의 프로그램이 부족하였으며 1개관만이 부모교육을 포함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상으로 국외 사례와 국내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운영요소와 내용요소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운영요소로는 첫째, 북스타트 담당 사서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함에 있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용자가 사서의 전문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북스타트 담당 사서와 자원활동가에게 많은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사서는 북스타트 운영 주체자로서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참여로 자기개발에 힘써야 하며, 북스타트코리아는 북스타트 관련 교육을 제공하여 사서와 자원활동가들의 교육의 기회를 넓혀주어야 한다. 셋째, 태어나는 모든 영아가 북스타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공공도서관은 단계별 북스타트를 도입하고 장애아동, 다문화 가족 등 소수 계층을 위한 북스타트도 개발하여 보다 많은 영아들이 북스타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북스타트 확대를 위해 소극적 형태의 홍보 방법에서 벗어나 지역주민 모두가 북스타트를 알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다음으로 내용요소는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0세부터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영아의 발달적 측면을 고려한 그림책과 프로그램 내용을 제공해야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의 인적․물리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해야한다. 셋째, 사서 또는 자원활동가가 영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는 영아의 눈높이에 맞추어 읽어줌으로써 영아가 쉽게 책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넷째, 부모교육을 포함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부모교육은 보호자 스스로가 책에 대한 관심을 갖고, 올바른 지식과 유용한 정보를 획득하여 가정에서도 책 읽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국외 사례와 국내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공공도서관 환경에 적합한 영아 북스타트 프로그램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스타트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함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