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5 Download: 0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말 지각 점수 및 모음 산출 능력의 변화

Title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말 지각 점수 및 모음 산출 능력의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Speech Perception Scores and Vowel Formants Production ability with Postlingual Deaf Adults
Authors
홍주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Postlingual deaf adults have a gradual defect of auditory feedback. The constantly restricted auditory feedback indicates degeneration of auditory feedback. If auditory feedback is restricted, the following phenomena occurs: First, speech perception is influenced by the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postlingual deaf adults' speech perception, they had difficulty perceiving words with little auditory information (clues) more than sentences (Liat, Riki, Yishai & Minka, 1999). As such, low speech perception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speech production abi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Given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thoroughly research speech perception and speech production (Mi-sun Yoon․Yoon-gyeong Lee․Hyeon-seop Shim, 2000). Secondly, the motion range of articulator reduces at the time of speech production (Harlan, Melanie & Matthies, 2007). A reduction in the motion range of articulator is closely related to neutralization of vowel at the time of vowel produ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by Mi-sun Yoon and Jong-sun Kim (2000), the speech production of the hearing impaired causes the problem of articulator operation, like neutralization of tongue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error of vowel production occurs.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ostlingual deaf adults' vowel formants, they showed the same neutralization of vowel as adults with congenital hearing impairment (Hamjavi, 1998). There has been research report that when it comes to the problems caused by the auditory feedback restriction postlingual deaf adults have, auditory feedback restoration obtained after cochlear implants leads to improving speech perception skill and closely reaching normal hearing adults' vowel production at the time of vowel produc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time of auditory feedback restoration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And there is few domestic research on postlingual deaf adults' speech perception and the change of their vowel produc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postlingual deaf adults' speech perception points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and stimulus presentation condition, and their vowel formats and the area of vowel trapezium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The study subjects are eight normal hearing adults and eight postlingual deaf adults. The postlingual deaf adults took the speech perception test with Korean standard monosyllabic word lists. And CSL was applied to both the normal hearing adults and the postlingual deaf adults to analyze F1 and F2 of the vowel formants /a/,/u/,/i/, and /ae/. Based on the difference of vowel trapezium area between the normal hearing adults and the postlingual deaf adults,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 of vowel trapezium area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The study result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speech perception test points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nferroni post-hoc analysis revealed that speech perception test poi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periods. In addition, speech perception test points according to stimulus presentation cond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with the lapse of cochlear implant period, speech perception points increased, and the points became larger when both auditory and visual stimuli (speech reading) were provided than when auditory stimulus was given. Secondly, the postlingual deaf adults' vowel formants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ow back vowel /a/ showed a rise in F1 value and a fall in F2 value, and thus tongue position was corrected low backward. The high back vowel /u/ showed drops in F1 and F2 values, and thus tongue position was corrected high backward. The high front vowel /i/ showed a drop in F1 value and a rise in F2 value, and thus tongue position was corrected high forward. The high mid vowel /ae/ didn'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vowel formants between the postlingual deaf adults and the normal hearing adults. Thirdly, the comparison analysis on the vowel trapezium area of the normal hearing adults and of the postlingual deaf adults showed that the vowel trapezium area of the normal hearing adult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postlingual deaf adults. It means that the postlingual deaf adults' vowels were neutralized at the time of vowel production. Fourthly, the analysis on the vowel trapezium area of the postlingual deaf adults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their vowel trapezium area according to cochlear implant perio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nferroni post-hoc analysis presen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rior to cochlear implant period and one month after cochlear implant period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ior to cochlear- implant period and three month after cochlear implant perio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with the lapse of cochlear implant period, the area of vowel trapezium became larger. It means that the postlingual deaf adults' auditory feedback restoration after cochlear implant surgery leads to closely reaching the normal hearing adults' vowel production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peech perception evaluation one month after cochlear implants of postlingual deaf adul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help postlingual deaf adults produce well-resonated vowel sounds through proper and stable location of longue at the time of intervening in articulation therapy.;언어습득 후 농 성인(Postlingual deaf adult)은 청각적 피드백의 점진적(gradually)인 결함을 보이며 제한된 청각적 피드백이 지속될 경우 청각적 피드포워드(Auditory feedforward)의 퇴보를 시사한다. 청각적 피드백이 제한 될 경우 첫째, 말 지각에 영향을 받게 된다.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을 대상으로 한 말 지각 연구결과 문장 지각보다 특히 청각적 정보(단서)가 적은 낱말 지각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Liat, Riki, Yishai & Minka, 1999). 이와 같이 낮은 말 지각 능력은 비정상적인 말 산출 능력 및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말 지각과 말 산출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윤미선․이윤경․심현섭, 2000). 둘째, 말 산출 시 조음기관의 운동범위가 줄어들게 된다(Harlan, Melanie & Matthies, 2007). 조음기관의 운동범위가 줄어드는 것은 모음 산출 시 모음이 중성화(neutralization)되는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윤미선․김종선(2000)의 연구에 의하면, 청각장애인들의 말 산출 특성은 혀 위치의 중성화와 같은 조음기 조작의 문제를 일으켜서 모음 산출에 오류를 보이게 된다고 하였으며, 언어습득 후 농 성인들의 모음 포먼트 분석 결과 선천적 청각장애 성인과 같은 모음의 중성화를 보였다(Hamjavi, 1998). 언어습득 후 농 성인들의 청각적 피드백 제한으로 인한 문제들은 인공와우 이식 후 청각적 피드백이 재조정(restoration)되면서 말 지각 기술(speech perception skill)의 향상과 모음 산출 시 정상 청력 성인의 모음 산출에 근접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와우 이식 기간에 따라 청각적 피드백이 재조정(restoration)되는 시기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며 국내에서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을 대상으로 한 말 지각 및 모음 산출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기간 및 자극 제시조건에 따른 말 지각 점수의 변화,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모음 포먼트 변화, 모음 사각도 면적의 변화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정상 청력 성인 8명, 언어습득 후 농 성인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언어습득 후 농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일반용 단음절어표로 말 지각 검사를 하였으며 정상 청력 성인과 언어습득 후 농 성인들을 대상으로 CSL을 사용하여 모음 포먼트 /아/, /우/, /이/, /애/의 F1, F2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상청력 성인과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모음 사각도 면적의 차이를 보고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모음 사각도 면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말 지각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Bonferroni 사후분석 결과, 모든 기간에서 말 지각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자극 제시조건에 따른 말 지각 점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인공와우이식 기간이 지남에 따라 말 지각 점수가 상승하였으며 청각적 자극에서 보다 청각과 시각적 자극(독화)을 동시에 주었을 때의 점수가 더 컸다. 둘째,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모음 포먼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후설 저모음인 /아/는 F1값이 상승, F2값은 하강하여 혀 위치를 낮게, 뒤쪽으로 수정하였다. 후설 고모음인 /우/는 F1, F2값 모두 하강하여 혀의 위치를 높게, 뒤쪽으로 수정하였다. 전설 고모음인 /이/는 F1값 하강, F2값은 상승하여 혀의 위치를 높게, 앞쪽으로 수정하였다. 전설중모음 /애/의 경우 언어습득 후 농 성인과 정상청력성인간의 모음 포먼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정상청력 성인과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모음 사각도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정상청력 성인의 모음사각도 면적이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의 모음 사각도 면적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언어습득 후 농 성인들이 모음 산출 시 모음의 중성화(neutralization)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이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모음 사각도 면적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공와우이식 기간에 따른 모음 사각도 면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Bonferroni 사후분석 결과, 인공와우이식 전과 인공와우이식 1개월 후, 인공와우이식 전과 인공와우이식 3개월 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공와우이식 기간이 지남에 따라 모음 사각도의 면적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언어습득 후 농 성인들이 인공와우이식 수술 후 청각적 피드백이 재조정(restoration)되면서 정상 청력 성인의 모음 산출특성에 근접해짐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언어습득 후 농 성인을 대상으로 인공와우이식 1개월 후의 말 지각 평가 중요성을 시사하며, 조음치료 중재 시 모음을 적절하고 안정된 혀의 위치를 통해 공명이 잘 된 소리로 산출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