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한주혜-
dc.creator한주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3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318-
dc.description.abstractThe Seated Rock-carved Buddha of Beopjusa temple(法住寺 磨崖如來倚坐像) is a statue of Maitreya established at Beopjusa temple of Songnisan Mountain in Sanae-ri, Beoun Gun,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is a monumental piece of work because it is facing the statue of Ksitigarbha Bodhisattva of ardhaparyanka- āsana carved on the opposite rock face.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is is a giant statue of the Buddha, which is five meters long, with the icon of a sitting position(倚坐). It is hard to find examples of this icon in Korea. Nevertheless, the existing studies have concentrated only on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combination between Maitreya and Ksitigarbha so that there have been limits to an investigation into the multilateral characters of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ocus more on investigating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For this,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ideological basis, the production date, the maker, and the purpose of its construction as well as the modes and icon of the Maitreya statue, thereby shedding new light on its pla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in the Goryeo(高麗) Dynasty. First of all, the Temple of Beopjusa was established in Songnisan Mountain by Youngsim(永深), inheriting divinatory sticks from his teacher Jinpyo(眞表). By doing so, Yeongsim actively claimed to stand for and succeeded to Jinpyo’s thought. Jinpyo placed emphasis on repentance and Buddhist confirmation and also guided people by opening Jeomchal Buddhist Mass(占察法會) with the divinatory sticks from Maitreya. The ultimate goal of his religious activities was to encounter Ksitigarbha and Maitreya, especially the latter. Therefore,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was founded with the statue of Ksitigarbha Bodhisattva based on Jinpyo’s doctrines. Jinpyo’s spirit was succeeded by his disciples, and his positive activities for guiding people were influential until the Goryeo Dynasty,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birth of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is a giant rock-carved Buddha at the entrance of Beopjusa temple. In Particular, this statue overwhelmes the watchers since its upper half of the body is bigger than the lower half, and also because its head and hands are highly emphasized. In general, it gives a majestic impression and never fails to show fine details. Even though it is a rock-carved Buddha, the rounded curls on the head of the Buddha was engraved one by one, and it has clear-cut features full of energy. Also impressive is its delicacy which expresses even its knuckles and realistic description of kashaya.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a sitting position, the lower half of the body was described in a somewhat awkward way, but the full-blown padmāsana is full of life. The statue is a masterpiece, which each element is engraved in detail and beautifully under its massive appearance. In the iconological aspect,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takes a “sitting position” on a pedestal with its two legs stretched down. A sitting position is an appointed icon of Maitreya since the late 7th century. However, the settlement process has not been discovered yet, leaving room for questions. A sitting position has meant a Buddhist sermon since the late 5th century, and it started to be utilized at the scene that Maitreya preaches Buddhist teachings three times under oil-nut trees. This position is estimated to be fixed later on as an icon meaning Maitreya beyond the limited concept of a Buddhist sermon. Inscriptions are not remained on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but through the icon of a sitting position it can be confirmed as Maitreya. More specifically,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sacred image of Maitreya Descedence. In many of Maitreya statues established in Korea, the icon is unclear, and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Maitreya Ascencence from Maitreya Descedence. In addition,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of a sitting position in Korea,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has the apparent icon of a “sitting position” so that it is considered to be more valuable. Meanwhile,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was regulated as art of the Beopsang-jong(法相宗) line, and thus an established theory was that it was created in the 11th century when Beopsang-jong was flourishing. However, it was a result of failing to reflect neither the trend of the Jinpyo line’s order nor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Beopsang-jong, which was flourishing in the 11th century, centered around the thought of Tea-hyun(太賢) believing in Amitabha and Maitreya. On the other hand, the order of the Jinpyo line, which put emphasis on Ksitigarbha and Maitreya, exercised influences steadily in the chaos between the late Silla(新羅) and the period of the Later Three Kingdoms of Ko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order of the Jinpyo line became an integral part in the Buddhism circle by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Furthermore, the robust figure of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with its square shoulders is stylist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statue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largely contrary to that of the statues with well-integrated looks, which were popular in the 11th century. Therefore, the production date could be presumed to be the 10th century through the Buddhist historical context and the trend of the pattern history. Then, what would be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giant Maitreya statue in Songnisan Mountain around two centuries later of Jinpyo’s death.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rough a transmission of Jinpyo’s divinatory sticks to the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Beopjusa temple and the royal family began. Also, it is estimated that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was created at that point of history. Cheongju(淸州) adjacent to Beopjusa temple was an area where revolts occurred incessantly since the early Goryeo Dynasty, making the situations highly unstable. The order of the Jinpyo line was having great influence even on Cheongju area with Songnisan Mountain as the center. Even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the Maitreya faith of Jinpyo was still prevalent, and leaders like Gungye(弓裔) and Kyonhown(甄萱) also claimed to support the Maitrya faith and attempted to extend their power. Therefore, by establishing the Maitreya statue in Beopjusa temple where Jinpyo’s divinatory sticks were enshrined, the Goryeo royal family succeeded in showing the authority of the new Goryeo Dynasty to the forc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in making people settle down in Goryeo society who had still felt nostalgia for Jinpyo. Finally, when it comes to Buddhist art,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examining even the aspects of diverse ceremonies or of an object of belief, along with assessing it as a piece of art work. In Beopjusa temple, Jeomchal Buddhist Mass had been held until the 12th century, and in the late Goryeo Dynasty Chambeop Practice(懺法修行) became prevalent. The former chief monk Misu(彌授) in Beopjusa temple made annotations to 『Jabidor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and highly regarded repentance. Maitreya in the engraving 『Jabidoryangchambeop』, through which people chant Maitreya every repentance, is also taking the same sitting position with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Thus, it is estimated that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functioned as an object for Jeomchal Buddhist Mass or Chambeop Practice. Meanwhile, studies have still not been carried out on the detailed meaning that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is implying,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Maitreya statue is a sculpture that realized the thought of Jinpyo. Therefore, this thesis pursue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which has been overlooked so far.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original value of the Maitreya statu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treya faith, the regional trend of Cheongju,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 of the Jinpyo line and the royal family also could be examined. Consequently, it is likely to provide small clues to understanding the early Goryeo Dynasty. In conclusion, the Maitreya statue of Beopjusa templ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it proves there were undiscovered Buddhist projects(佛事) of the Goryeo royal family.;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은 충청북도 보은군 사내리 속리산 법주사에 조성된 미륵불상이다. 법주사 미륵불상은 마주하고 있는 암벽에 반가좌의 지장보살상이 조각되어 있는 기념비적 구성의 상이다. 5m의 거불이며 한국에서 예를 찾아보기 힘든 의좌라는 도상을 하고 있는 점 역시 특기할 만하다. 그럼에도 그동안의 연구에서 미륵·지장이라는 조합의 사상적 배경에만 관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법주사 미륵불상의 다각적인 성격을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어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법주사 미륵불상의 조성 배경을 밝히는 것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주사 미륵불상의 양식과 도상 뿐 아니라 사상적 근거와 제작 시기, 조성 주체 그리고 조영 목적을 보다 면밀히 규명하여 본 불상이 고려시대의 불교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재조명해 보려한다. 우선, 법주사는 진표의 제자 영심이 스승의 간자를 이어 받아 속리산에 창건한 절로 그의 사상을 적극 표방하고 계승하였다. 진표는 참회와 수계를 중시하였고, 미륵으로부터 받은 간자로 점찰법회를 열어 민중들을 교화하였다. 그의 신앙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장과 미륵, 그 중에서도 미륵을 친견하는 것이었으므로, 법주사 미륵불상은 진표의 이러한 교리를 바탕으로 지장보살상과 함께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진표의 정신은 제자들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그의 적극적인 교화 활동이 고려시대까지 영향력을 이어갔기 때문에 법주사 미륵불상이 탄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었다. 법주사 미륵불상은 법주사의 초입에 새겨진 대형의 마애불로 조성 당시에 존재감이 상당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하체에 비해 상체가 크며 동시에 머리와 손이 매우 강조되어 있어 보는 이를 압도한다. 전체적인 인상에서 웅장한 느낌을 주면서도 세부적인 묘사에서 정밀함을 놓치지 않았다. 마애불임에도 나발을 일일이 조각하였고, 이목구비가 크고 활기차다. 손가락의 마디까지 표현하는 섬세함과 사실적인 가사의 묘사 역시 인상적이다. 의좌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하체 부분이 다소 어색하게 묘사된 경향이 있지만, 만개한 연화좌는 생동감이 넘친다. 거대한 마애불이라는 육중한 모습 속에서도 각각의 요소가 세밀하고 수려하게 조각되어 있는 명작이다. 도상학적 측면에서 법주사 미륵불상은 대좌에 앉아 두 다리를 내리고 있는 ‘의좌’를 취한다. 의좌는 7세기 후반부터 약속된 미륵의 도상이지만 그 정착 과정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어 의문을 남겨왔다. 의좌는 5세기 후반 경부터 부처의 설법을 의미하였는데, 당대 초기부터 미륵불이 용화수 아래에서 세 번의 설법을 하는 장면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미륵불의 설법이라는 한정된 개념을 넘어 점차 미륵불을 상징하는 도상으로 고정되었다고 추정된다. 법주사 미륵불상은 명문이 남아있지 않지만 의좌라는 도상을 통해 미륵이라 확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미륵하생’의 존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에 조성된 미륵은 도상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고 상·하생을 구분하는 일 역시 쉽지 않다. 또한 의좌는 한국에서 예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법주사 미륵불상은 ‘의좌’라는 가장 명확한 도상을 지니고 있어 그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법주사 미륵불상은 법상종계 미술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법상종이 융성했던 11세기에 조성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지만 이는 진표계 교단의 추이와 법주사 미륵불상의 양식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결과이다. 11세기에 성행하였던 법상종은 아미타와 미륵을 신앙하는 태현의 사상이 중심을 이루었다. 반면, 지장과 미륵을 강조하는 진표계 교단의 경우 오히려 신라하대와 후삼국기의 혼란 속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고려 초기에는 왕실과 친분을 쌓는 등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였다. 또한 법주사 미륵불상의 어깨가 각지고 건장한 모습은 고려 초기의 상들과 양식적으로 유사하여 11세기에 주를 이루었던 원만한 인상의 상들과 큰 대조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교사적 맥락과 양식사적 흐름을 통해 법주사 미륵불상의 제작 시기를 10세기로 상정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진표의 사후 200여 년이 지난 시점에 대형의 미륵불상을 속리산에 조영한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고려 초기, 진표의 간자가 태조에게 전해짐으로써 법주사와 왕실의 인연이 시작되었고, 이 시기에 법주사 미륵불상 역시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법주사와 인접해 있던 청주는 고려 초기부터 반란이 끊임없이 일어났던 지역으로 정세가 매우 불안정하였는데, 진표계 교단은 속리산을 주축으로 청주 지역까지 영향력을 떨치고 있었다. 후삼국시대에도 진표의 미륵신앙은 여전히 만연해 있었으며, 궁예나 견훤 같은 지도자들 역시 미륵사상을 표방하여 세력을 키워나가고자 하였다. 따라서 진표의 간자가 봉안되었던 법주사에 거대한 미륵을 조축함으로써 잔존했던 후삼국 세력에게 새로운 왕조 고려의 권위를 보여줄 수 있었고, 청주 지역의 사람들, 나아가 진표에 대한 향수를 여전히 느끼고 있었던 민중들을 고려 사회로 안착 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불교미술의 경우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서의 평가와 더불어 각종 의례나 신앙대상으로의 면모까지 살펴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법주사에서는 12세기까지 점찰법회가 열렸으며, 고려 후기에는 참법수행이 유행하였다. 법주사의 주지였던 미수는 『자비도량참법술해』를 저술하는 등 참회를 중시하였다. 자비참은 매회의 예참마다 미륵을 연호하며 참회하는 의식으로, 『자비도량참법』의 판화에 등장하는 미륵불은 법주사 미륵불상과 동일한 의좌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법주사 미륵불상은 점찰법회 혹은 참법수행을 위한 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지녔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동안 법주사 미륵불상은 진표의 사상을 구현한 조각이라는 점 외에, 상이 함축하고 있는 자세한 의미에 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껏 간과되어왔던 법주사 미륵불상의 제작 목적을 추적해 보았다. 법주사 미륵불상이 지니고 있던 본연의 가치가 무엇인지 찾아가는 과정에서 당시에 성행했던 미륵신앙의 성격과 청주 지역의 동향, 진표계 교단과 왕실의 관계 역시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려 초기를 이해하는 작은 단서들이 마련되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법주사 미륵불상은 그동안 우리가 알지 못했던 고려 왕실의 불사(佛事)가 있었음을 말해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사상적 배경 4 1. 법주사의 창건 4 2. 진표의 신앙 체계 9 Ⅲ. 특징과 조성 시기 19 1. 형식 및 양식 20 2. 도상의 유래와 의미 24 3. 조성 시기의 재검토 37 Ⅳ. 조성과 그 이후 54 1. 고려 초 왕실과 진표 그리고 미륵 54 2. 기능: 참법수행의 도량 62 Ⅴ. 맺음말 67 참고문헌 70 도판목차 78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725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법주사 磨崖如來倚坐像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ated Rock-carved Buddha of Beopjusa temple-
dc.creator.othernameHan, Joo Hye-
dc.format.pagev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