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Title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Grammatical Thinking
Authors
박서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explore grammatical thinking as the essential topic of grammar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earnest despite of its recognized import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paration for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grammatical thinking of learners beyond the grammar education for the conveyance of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 grammar education for correct and appropriate language use.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whic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think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is not fully established, the first thing to be discussed is to 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mar education and grammatical thinking and to re-conceptualize grammatical thinking educationally under the relation to gramma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the viewpoint of thinking-oriented grammatical education on grammar, thinking, learners and to settle the purpose of think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builds up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content structure of grammar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grammatical thinking by re-conceptualizing the grammatical thinking that learners should experience as analyzing core language units and elements, finding and applying the grammar rules, inferring the linguistic context and grammatical determination through grammar education. Given that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grammatical thinking should be provided to learners as the form of activities, it should take the form of grammar inquiry task. Moreover, such grammar inquiry task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One is the grammar inquiry task as a system of rules which focuses on the systematical rules of grammar, and the other is the grammar inquiry task as a system of exposition which focuses on the explaining method on grammatical phenomenon. According to such classification, this study selects the example of the grammar inquiry tasks as a system of rules and the example of the grammar inquiry task as a system of exposition. Consequently, the contents and the formats of the tasks, and the procedures of inquiry and thinking accompanying the conduction of the task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cases of grammar inquiry tasks in two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grammar inquiry task should be configured in the basis of actual linguistic materials. Secondly, it should be configured with the focus on inquiry subject rather than single content element. Thirdly, it should be configured to b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hased logics. Fourthly, it should be configured to suit the level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devises the practice of grammar inquiry task as a system of rules and a system of exposition by considering the components of grammar inquiry task. Each practice are devised on the subject of the regularity and irregularity of verbs conjugation, the grammatical phenomenon and change of medieval and modern Korean languages as the grammar inquiry task as a system of rules, and on the subject of the establishment of obligatory adverbials as the grammar inquiry task as a system of exposi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grammatical thinking can be explained centrally on scientific thinking which is demanded in the process of investing the grammar as a system of rules and logical,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which is demanded in the process of investing the grammar as a system of exposition. However, given that thinking cannot be described by one single method, this study inevitably has the limitation that ongoing modification and supplement is required. Taking this study as a starting point,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by making think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placed as the important discourse of grammar education going forward.;본 연구는 지금껏 문법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면서도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못하였던 문법적 사고력을 문법교육의 핵심 화두로 꺼내오고자 한다. 문법 지식의 전달을 위한 문법교육, 정확하고 적절한 언어 사용을 위한 문법교육을 벗어나, 학습자의 문법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는 문법교육의 내용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사고 중심 문법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이 충분히 확립되지 못한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먼저 논의되어야 할 것은 문법교육과 문법적 사고력의 관계를 정립하고, 문법교육과의 관련 하에서 문법적 사고력을 교육적으로 재개념화하는 데에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서, 문법, 사고력, 학습자에 대한 사고 중심 문법교육의 관점을 확립하고, 사고 중심 문법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문법교육을 통해서 학습자가 경험해야 하는 문법적 사고력을 핵심적인 언어 단위와 요소의 분석, 문법 규칙의 발견과 적용, 언어적 맥락의 추론과 문법적 판단으로 재개념화하여,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 구성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법교육의 내용은 학습자에게 활동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문법 탐구 과제의 형태를 갖춰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법 탐구 과제는 문법의 체계적인 규칙에 주목하는 규칙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와, 문법 현상에 대한 설명 방식에 주목하는 설명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서, Ⅲ장에서는 규칙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와 설명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의 사례를 선정하고 과제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과제의 수행에서 수반되는 탐구 및 사고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문법 탐구 과제를 사례로 분석한 결과,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법 탐구 과제는, 첫째, 실제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둘째, 단일한 내용 요소가 아니라 탐구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셋째, 단계적인 논리에 따라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넷째,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법 탐구 과제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규칙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와 설명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의 실제를 구안하였다. 규칙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로는 용언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문법 현상과 변화를, 설명 체계로서의 문법 탐구 과제로는 필수적 부사어의 성립 여부를 주제로 하여 각각의 실제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문법적 사고력은 규칙 체계로서의 문법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사고력과 설명 체계로서의 문법을 탐구하는 데에 필요한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그러나 사고력이 본질적으로 단 하나의 방식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이 요구된다는 한계점을 안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논의를 출발점으로 하여, 사고 중심 문법교육이 앞으로 문법교육의 주요한 담론으로 자리매김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