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공주희-
dc.creator공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3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시 교육에서 공감의 과정에 주목하여 학습독자가 공감적 이해 능력을 신장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 내용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감은 텍스트 요인과 독자 요인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응으로, 문학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자 공감의 주체가 갖고 있는 특성을 드러내주는 지표로 기능한다. 현대시 교육의 대상으로 공감을 다루기 위해 본고에서는 공감적 이해를 교육적으로 재개념화하고 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공감은 그 동안 문학 수용의 필수 조건으로 여겨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교육의 대상이 되지는 못하였다. 공감이 지니는 다층적인 성격으로 인해 공감 능력 고유의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고 감정이입, 동일시, 투사 등 유사한 개념들과 혼동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 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여 현대시 교육을 통해 공감적 이해의 능력이 신장될 수 있다고 보고, 공감적 이해 고유의 영역을 확보하여 그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때 공감적 이해는 텍스트와 독자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감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화에 그쳐서는 고유한 교육의 영역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된다. 공감적 이해에 관한 논의는 독자의 실제적인 반응과 연계되어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실제 학습독자를 대상으로 현장 연구를 실시하여 교육 내용의 실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공감적 이해를 교육적으로 재개념화하여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의 조건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시의 공감적 이해의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공감적 이해는 학습독자가 행하는 낮은 수준의 동정․동일시의 정서 감염이 아니다. 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는 시 속 타자의 상황과 정서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참된 이해와 자기 개방까지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 공감적 이해는 텍스트 요인과 독자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다양한 텍스트 요인과 독자 요인 가운데 본고에서는 텍스트 요인으로 시의 발화 양식과 독자 요인으로 경험 세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공감적 이해가 현대시 교육에서 실행될 때 학습독자는 자신의 경험세계에 매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자기중심성을 탈피하여 가능적인 세계를 모색하며 인식을 확장하기도 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존재의 성장까지 이룰 수 있게 된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이론적으로 마련된 공감적 이해의 과정을 실제 학습독자를 대상으로 한 현장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독자가 현대시를 수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규명한 공감적 이해 과정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공감적 이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텍스트 요인과 독자 요인의 조정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장 연구의 결과로 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의 양상을 텍스트 요인과 독자 요인의 결합으로 분석하였다. Ⅲ장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실제성 있는 교육 내용을 Ⅳ장에서 제안하였다. 시 속 세계의 타자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면화된 자신에 대한 이해에까지 이를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학습자는 시 속 세계에 대해 공감적 이해를 함으로써 타자를 이해하는 단계를 경험할 필요가 있다. 이 단계에서는 시 속 세계와 자신을 관계 짓고, 공감적 이해의 대상으로 타자를 인식하며, 타자의 정서를 재인하는 과정을 교육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자는 내면화된 자기를 이해하는 단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정서를 객관화하여 반응을 이해하고, 거리를 설정하여 주체를 성찰할 수 있다. 또한 학습독자 간에 의미 공유를 하는 과정도 가능하다. 그 동안 교육의 주변에 머물렀던 공감 능력을 문학교육을 통해 신장할 수 있다고 보고, 실제 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 양상의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 내용을 구안하고자 한 것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공감에 관한 문학교육 연구가 인지적 측면은 고려하지 못한 채 정서적 체험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여 공감의 인지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시 교육에서의 보다 유의미한 공감적 이해와 관련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process of empathy during acceptance process of modern poetry to devise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learning readers’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Empathy is a condition that enables acceptance of literature and functions as an indicator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empathy. In order to deal with empathy as the object of modern poetry education, this paper focused on re-conceptualizing empathic understanding educationally and preparing for the process. Having been considered as an essential prerequisite of better literature acceptance in literature education, empathy did not become a full-fledged education object. Also due to the multi-layered nature of empathy, empathy has been used being confused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sympathy, identification, projection etc., not securing the empathy ability’s own area. Recognizing these points critically and thinking that the ability of empathic understanding can be enhanced through modern poetry education, I am to secure the unique area 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devise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the ability. Empathy is especially composed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reader. Therefore, I tried to increase authenticity educational contents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confirmation of factors of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and discussion on enhancing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should be done in conjunction with the response of readers and conducting field studies targeting actual learning readers. In Chapter Ⅱ, I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mpathic understanding by re-conceptualizing it educationally and revealed the conditions of empathic understanding of learning readers theoretically. Through this, I tried to reveal the process of empathic understanding of modern poetry. I thought that escape of self-centeredness about the empirical world, expansion of awareness through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even growth of beings through imagination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this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Empathic understanding of learning readers consists of the combination of text and reader. Therefore, empathic understanding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review on these two factors and in this paper, I reviewed a speaker's speech style and reader‘s experience environment. Through this theoretical review, I prepared the process of empathic understanding of modern poetry from building relationship to awakening. In Chapter Ⅲ, I tried to identify the process of theoretical empathic understanding through field studies targeting actual learning readers. I attempt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empathic understanding process examined theoretically by analyzing the process that actual learning readers accept modern poetry and check the direction of adjustment of text factors and reader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of empathic understanding. As the results of field studies, the aspect of empathic understanding of learning readers was analyzed by the combination of text factors and reader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Ⅲ, more actual educational contents were proposed in Chapter Ⅳ. First, I proposed understanding others through building relationship based on specific information of recognition of others as the target of empathic understanding, building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n poems. Next, I propos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distance setting for subject refle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at regarding empathy ability that has stayed on the periphery not being the object of full-fledged education in modern poetry educ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I tried to devise more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field studies targeting actual learners.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discussion related to more meaningful empathic understanding in modern poetry education can be made more a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선행 연구 검토 5 C.연구 대상 및 방법 10 II.현대시 교육에서 공감적 이해의 이론적 전제 14 A.공감적 이해의 교육적 재개념화 및 교육적 의의 15 1.공감적 이해의 교육적 재개념화 15 2.현대시의 공감적 이해 교육적 의의 22 가.경험적 세계에 대한 자기중심성의 탈피 24 나.가능적 세계 탐색을 통한 인식의 확장 25 다.상상력을 통한 존재의 성장 26 B.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의 조건 26 1.텍스트의 발화양식 28 가.화자 지향의 발화양식 30 나.청자 지향의 발화양식 32 2.독자의 경험세계 33 가.개별적 경험세계 34 나.소통적 경험세계 35 C.현대시의 공감적 이해의 과정 37 III.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의 실제 42 A.공감적 이해의 실제 분석을 위한 학습자 연구의 설계 43 1.연구의 목적 43 2.연구 대상 선정 및 대상 텍스트 선정 44 3.연구의 절차 및 방법 49 B.학습독자의 공감적 이해 유형 52 1.화자 지향적 발화 양식에서의 공감적 이해 54 가.타자 탐색 및 상황 추론 59 나.경험의 원근 조율 61 2.청자 지향적 발화 양식에서의 공감적 이해 64 가.학습독자의 자아 탐색 69 나.기존 가치의 수용과 비판 71 IV.공감적 이해를 위한 현대시 교육 내용 74 A.시 속 세계의 타자 이해 76 1.시 속 세계와의 관계 짓기 77 2.공감적 이해 대상으로의 타자 인식 79 3.타자의 정서 재인 81 B.내면화를 통한 자기 이해 82 1.정서의 객관화를 통한 반응 이해 83 2.거리 설정을 통한 자아 성찰 85 3.학습독자 간 의미 공유 86 V.결론 88 참고문헌 91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46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공감적 이해를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odern Poetry Education for Empathic Understanding-
dc.creator.othernameKong, Ju Hee-
dc.format.pagev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