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바우하우스(Bauhaus)

Title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바우하우스(Bauhau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uhaus through the Feminism View
Authors
이주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20세기 초 독일의 미술학교인 바우하우스Bauhaus를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1919년에 개교하여 1933년까지 14년간 존속하였던 바우하우스에서는 유럽의 유명한 화가들이 교육자로 참여하였고 현대 디자인 언어와 교수법이 만들어졌다. 특히 바우하우스는 전위적이고 반反전통적인 교육기관을 지향하였고 이는 학교의 새로운 교수법이나 미학과 더불어 양성평등함을 내세우며 효과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역사는 여성에 관한 측면은 누락되어 남성을 중심으로 기록되어왔고, 서양 미술사에서는 바우하우스를 형식주의적으로 접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바우하우스의 구조와 미학의 남성중심주의를 밝히고, 여성들의 작업과 교내 활동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바우하우스의 제도에서 드러나는 성차별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그로피우스와 학교 당국은 여성의 입학 제한과 인위적인 공방 할당, 여성교원에 대한 차별적 대우 등의 성차별적인 제도를 통해서 여성들을 직접적으로 통제하였다. 또한 특정 제도에 의한 것은 아니었지만, 여성들은 교내에서 남성을 보살피는 역할을 하거나 남성보다 낮은 위계의 미술 장르에서 활동하였고 전문가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내부적인 관행에서도 전통적인 구조를 고수하여 여성들을 가부장적 맥락에 위치시킨 것이다. 바우하우스의 미학에서도 남성중심적인 측면이 발견되었다. 학교의 설립에 지대한 영향을 준 표현주의 미학은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남성중심적 가치를 내포하며, 1923년 이후 학교의 주류 미학이 되었던 기계미학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는 논리적 사고나 수학적 질서와 같은 개념과 연관되어 있었고 이러한 개념들이 곧 남성의 가치로 연결되는 전통적인 맥락에서 기계미학의 ‘보편성’은 문자 그대로 보편적일 수는 없었다. 학교의 초기부터 잠재되어 있던 남성중심적인 미학은 형식화되고 이론화되어 기계미학으로 가시화되기에 이른 것이다. 주류와 주변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가부장적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던 바우하우스에서는 기계미학만이 주류 미학으로 인정되었고 이러한 범주에서 벗어나는 특성들은 억제되고 주변화되었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여성들은 작업을 통해서 주류 미학의 실험에 동참하면서도 동시에 거기에서 제외된 ‘감성’과 같은 주변적인 가치들을 되살리려는 시도를 지속하였다. 나아가 여성들은 예술 장르의 위계에 구애받지 않고 주류 미학을 주변 장르에 적용하여 당대의 미학과 삶을 더욱 가깝게 접근시켰다. 이로써 이분법에 기반을 둔 주류 남성 미학에 대하여 다양한 주변적 혹은 대안적 가치들을 포괄하는 여성 미학의 모델을 제안한 셈이다. 또한 바우하우스의 여성들은 학교의 가부장적 맥락에 의해 주변화된 여성의 존재와 여성적 가치를 그들의 활동을 통해 현실화하였다. 여성들은 남성중심적인 상황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면서 여성의 가치를 재고하도록 하기도 하였고 예술과 생활, 예술과 산업의 경계를 왕래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여성들은 공식적인 지위는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운영에 참여하면서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을 넘나들었다. 바우하우스 여성들의 예술 작업과 교내 활동은 가부장적 체제와 주류 미학에 개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비판의 효과를 가져온 예로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미학적 가치들과 사회적 영역들을 유연하게 오가는 이들의 작업과 활동은 총체 예술이라는 학교의 교육 이념을 여성 나름의 방법으로 실천한 사례가 될 것이다. 결국 바우하우스의 새로운 측면은 미학이나 교수법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작업과 활동을 통해 비로소 완전하게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가부장적인 맥락에 의해서 지워진 여성과 여성적인 것에 대한 연구는 바우하우스의 실체를 드러내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작업이며 이는 우리에게 바우하우스를 이해하는 폭넓은 지평을 제공할 것이다.;This thesis is a study about Bauhaus which was the german art school in early 1900s. Here at the Bauhaus where had maintained from 1919 to 1933, the famous avant garde artists in Europe took a part in this school as a teacher, and the modern design languages and pedagogics were made up. Especially, Bauhaus aimed the avant garde and non traditional institution, and it could draw attention to insist ‘gender equality’ with the new pedagogics and aesthetics. However, the history of Bauhaus has been written as androcentric view, and mostly it defined as formalism in western art history. Therefore, this thesis will clarify the androcentric structures and aesthetics of Bauhaus, with the women's works and activities at the school. First of all, there were sexual discriminational sides in structure of the Bauhaus. Walter Gropius who was the first director of the school, controled women by limiting number of new female students, forcing them to enter textile workshop and treating female teachers discriminatively. Besides, women had to care men like traditional rule of mother, and work at art genre which was lower hierarchy than male in Bauhaus. Also, they could not considered as a professional without certain rules. Internally, Bauhaus re-situated female to the traditional context by maintaining traditional frame. Such androcentric sides also observed at the aesthetic of Bauhaus. Expressionism which affected to consist the school's aesthetic mostly at first, included 'man centered value' as a feminism view. Also, machine aesthetic that became the main stream after 1923, came to the same thing. It linked to logical thought and mathematical order. In the traditional context which these ideas related to male's value, the 'universality' of machine aesthetic could not be universalistic literally. Therefore, androcentric aesthetic which was latent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reached visualization by formalization and theorizing. At the Bauhaus, the patriarchal order which divided the mainstream and the surrounding, was continued, and only the machine aesthetics was treated importantly as the mainstream. The characters strayed from this category, were suppressed and marginalized. However, women in Bauhaus had tried not only to take part in the study of mainstream aesthetics, but also to revive the marginalized value like 'sensitivity' which was excluded from main aesthetics. Moreover, women made the aesthetics of the day close to real life, regardless of traditional hierarchy of art. Consequentially, they could suggest a female aesthetic that included marginalized or alternative values against mainstream of androcentric that based on dichotomy. Furthermore, the women in Bauhaus carried out the existence and value of the female suppressed by patriarchal context of the school through their activities. They recognized the androcentric context critically, tried re-considering a value of female, and visited art and life, and art and industry consistently. Also, they were coming and going between public and personal area by participated in managing the school without official status. The women's art works and activities of the Bauhaus could be consider as an example of the critical movement by suggested alternatives and intervened to patriarchal structures and mainstream aesthetics. Also, theirs works and activities which were very flexible to move between various aesthetic values and social areas, would be seen as a case to realize total work of art that was school's aim, through women's ways. As a result, the newness of Bauhaus appears from not only the aesthetics or pedagogics, but also women's works and activities. The study on women and feminal sides rubbed out by patriarchal context, is necessary to expose the substance of the school and it could provide a broad spectrum to understanding Bauha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