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6 Download: 0

시조 작가와 화자 관계의 교육적 의미 연구

Title
시조 작가와 화자 관계의 교육적 의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poet and the speaker relationship in Sijo : Based on the Sijo written by Jeong Cheol
Authors
진영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of Sijo.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specific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spect of orientation and attitude presented in the speaker’s language and the aspect of classified types of the poet-speaker relationship by structuralizing the relationship. Until now, it has been focused on interpreting works or appreciating them based on subjects when discussing Sijo, which is a type of classic poetry, in education, and researchers deal with poets of Sijo and their works, the speakers and the listeners in Sijo, or individual poets or pieces of Sijo. In Sijo which has a long history shows fairly fluid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The poet who wears a mask speaks with a voice of the speaker sometimes, and the poet speaks in a totally different voice distinguished from the poet’s at other times.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the meaning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while examining the Sijos written by Jeong Cheol to determine the reason. In chapter II, pre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poet and the speaker of Sijo is proceeded. It is possible to notice that the tone of the speaker appeared in Sijo builds a relationship with the poet depending on the characters of a monologue or a dialogue, therefor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can be structuralized based on the theoretical premise about the viewpoint and orient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poet-speaker relationship presented in monologues and dialogues, it is observed that in Sijo which plays the role of conversation exchanging monologues in coexistent situations with others, sometimes the poet talks to himself adopting a form of personal monologue, or it may become a form of dialogue that conducted with multivoice of the poet. As this basis of Sijo could be discussed depending on the viewpoint and orientation, the poet-speaker relationship is structuralized based on the theoretical premise as ‘the poet – the speaker oriented to the poet – the speaker / phraseology – the speaker oriented to the other – the other.’ The poet-speaker relationship above makes it possible to observe that wearing what mask the poet and the speaker of Sijo speak in a fluid voice through the poem. In chapter III, based on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of Sijo, two divided aspects of ‘the attitude appeared in the speaker’s language’ and ‘classified types according to the poet-speaker relationship’ in Jeong Cheol’s Sijos are examined. It is observed that the speaker’s phraseology is not just a way of speaking, but direct statement representing the poet. Also, it could be established that what roles various nouns∙pronouns and final endings which is a poetic language chosen by the poet play in the poems, and that what kind of attitude of cognition the poet has towards the object affects that the poet speaks employing the speaker. In addition, it is bound for the speaker to have an oriented object, so ‘the speaker oriented to the poet’ who is poet-oriented and speaks for the poet, or ‘the speaker oriented to the other’ who understands and speaks for the other is presented. The speaker oriented to the poet is divided into ‘poet-oriented speaker’ and ‘poet-oriented the other-oriented speaker,’ and the speaker oriented to the other is divided into ‘the other-oriented speaker’ and ‘the other-oriented poet-oriented speaker.’ These classified forms of the speaker appear to be a phenomenon that changes with the poet’s attitude of understanding objects, and it is recognized when the other is been aware even if the attitude tends towards the self, or when the poet himself is included in the cognition even if the attitude tends towards the other. As a result, it is learnt that it is the poet’s attitude that does not perceive the self, the other, and the world as not separated ones. In chapter IV, three aspects of the poet and the speaker relationship of Sijo are provided focused on the usefulness for the learner and the language expression depending on the awareness of objects based on the Sijos which have been observed in chapter III. The first aspect is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 self and verbalization of it. The learner experiences the linguistic usefulness by the awareness that the speech of the individual learner is not irrelevant to the subject of the speech, as the poet and the speaker are correspondent. This may be provided in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self’ and let the learner experience ‘the internal healing by communicating with the self.’ The second aspect is that the formula ‘I=You’ is established and becomes ‘We,’ and the other is considered as the self while watching ‘I’ distantly perceiving the self as the other. In this aspect, it is possible to let the learner find the direction of ‘understanding the other by watching the other’ providing the way of ‘being the other.’ The third aspect is that the learner can experience enabl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lf and the world’ as every speech in a piece of poem is involved by the poet whether the speaker talks to the speaker in the poem or attracts a speaker outsid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poet and the speaker relationship in Sijo is that this usefulness is provided in the way of ‘expressing with language’ and could be developed to ‘the expansion of thought and self-growth with language expression. As stated abov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shows awe of life while it acts pulling and pushing, the learner’s language activity could move from knowledge experience into various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about human lives based on the poet and the speaker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o promote discussions about the poet and the speaker in Sijo education, and it is humbly hoped for the study to be a helpful discussion in the progress.;이 연구의 목적은 시조의 작가와 화자의 관계에 따른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어법과 지향점에 따른 작가와 화자의 관계를 구조화하여 화자의 언어 표현에 나타난 지향과 태도 측면과 작가와 화자 관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여 나타나는 양상을 토대로 그 구체적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교육에서는 고전 시가 가운데 시조를 대할 때 작품을 해석하거나 주제에 따라 감상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연구자들은 시조의 작가와 작품을 다루거나, 작품 속 화자와 청자를 염두에 두고 다루거나, 개별 작가 또는 개별 작품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해 왔다. 긴 역사의 흔적을 자랑하는 시조는 작가와 화자의 관계가 무엇보다 유동적(流動的)이다. 작가는 가면을 쓰고 화자에 접근하여 발화하기도 하고, 작가와는 변별되는 전혀 다른 목소리를 내기도 하는데 이러한 까닭을 정철 시조의 작가와 화자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작가와 화자 관계에 따른 의미를 고찰해 보려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시조 작가와 화자의 관계에 대해 예비적으로 고찰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어조가 독백과 대화의 성격에 따라 작가와 관계 맺음을 알 수 있어 시점과 지향점에 대한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시조 작가와 화자의 관계를 구조화할 수 있다. 독백과 대화로 본 시조 작가와 화자 관계를 살펴보면 개인의 독백을 연행 석상에서 주고받으며 대화로 기능했던 시조는, 개인의 독백으로 작가가 화자와 대화하듯 자기와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다가 한 작품 안에서 다성적 목소리로 드러나며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조의 근간을 시점과 지향점에 따라 논할 수 있어 그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시조 작가와 화자의 관계를 ‘작가 ← 작가 지향 화가 – 화자 / 어법 – 타자 지향 화자 → 타자’로 구조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와 화자 관계에 따라 시조 작가와 화자는 어떠한 가면을 쓰고 작품을 매개로 유동적인 목소리를 내는지 살펴볼 수 있다. Ⅲ장에서는 시조의 작가와 화자 관계 구조화를 바탕으로 정철의 시조에서 ‘화자의 언어 표현에 나타난 지향과 태도’ 측면과 ‘작가와 화자 관계에 따른 유형 분류’로 구분하여 그 양상을 살폈다. 화자가 발화하는 어법은 단순한 어법이 아니라 작가를 대변하는 직접적인 언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작가가 선택한 시어인 여러 가지 명사‧대명사 시어와 종결 어미는 작품에서 어떤 구실을 하는지, 작가가 화자를 내세워 발화함은 대상에 대한 어떤 인식 태도에 따른 것인지를 규명해 볼 수 있다. 또한 화자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지향하는 대상이 있기 마련인데 작품을 지은 작가를 지향하여 작가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작가 지향적 화자’나 타자를 이해하고 타자를 대변하는 ‘타자 지향적 화자’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작가 지향적 화자는 다시 ‘작가 지향 화자’, ‘작가 지향적 타자 지향 화자’로도 나타나고, 타자 지향적 화자는 ‘타자 지향 화자’와 ‘타자 지향적 작가 지향 화자’로도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자의 모습은 작가가 대상을 인식한 태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현상이고, 자기를 향해 있더라도 타자를 인식하는 것과 타자를 향해 있더라도 거기에 작가 자신도 포함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결국 자기와 타자 그리고 세계를 분리하여 보지 않는 작가의 태도임을 알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정철의 시조를 중심으로 작가와 화자의 관계에 따른 양상을 학습자의 효용 측면으로 살펴 대상 인식에 따른 언어 표출에 주목하여 세 가지로 제시했다. 첫 번째는 학습자가 자기를 인식하여 언어화하는 것인데 작가와 화자가 일치하듯 학습자 개인이 내는 발화는 그 발화의 주체와 무관하지 않다는 인식에서 언어의 효용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학습자에게 ‘자기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자기와 대화에 따른 자기 내적 치유’를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타자로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여 나를 멀리 두고 바라보는 가운데 ‘나’와 ‘너’의 관계가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서 ‘나 = 너’라는 공식이 성립되어 ‘우리’가 됨으로써 남을 자기처럼 여김이다. 여기에서는 학습자에게 ‘타자 되어 보기’ 방식을 제시하여 ‘타자 보기에 따른 타인 이해’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세 번째는 작품 속 화자가 작품 속 화자와 이야기하든, 시적 화자가 작품 밖 화자를 끌어 들이든, 모두 작가의 개입에 따른 발화인 것처럼 학습자도 이러한 ‘자아와 세계의 대화’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효용은 ‘언어로 표출하기’ 방식으로 제시하여 ‘사고의 확장과 언어 표출에 따른 자기 성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시조의 작가와 화자 관계에서 그 교육적 의미를 꼽아 보았다. 이렇게 작가와 화자의 관계가 서로 밀고 당기듯 움직이면서도 그 가운데 삶에 대한 경외가 드러나듯 학습자의 언어활동에서도 지식 경험에서 인간 삶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경험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작가와 화자의 관계에서 인식할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시조 교육에서 작가와 화자에 대한 더욱 활발한 논의가 일어나길 바라고, 그 길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는 논의가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