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국어 구문 도해의 문법교육사적 전개 양상 연구

Title
국어 구문 도해의 문법교육사적 전개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History of Grammar Education
Authors
신정원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구문 도해는 문장에 시각적 효과를 주어 문장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의 교육적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문 도해가 나타난 역대 국어 문법서와 문법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국어 구문 도해의 문법 교육사적 전개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문 도해의 형태를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교육적으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 구문 도해의 사적 전개에 대해 논하기에 앞서 구문 도해를 문법교육적으로 담론화하고자 하였다. 구문 도해는 추상적 사고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평면적 문장을 입체화하고, 학습자의 인지적 유연성을 자극하며, 학습의 실용적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 중심적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구문 도해는 문법교육에 있어서 시각적 접근법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어 구문 도해의 사적 전개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시기와 언어이론이라는 두 축을 설정하였다. 각 구문 도해는 학교 문법의 역사와 구문 도해의 역사를 비교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세 시기(구문 도해 태동기, 구문 도해 번성기, 구문 도해 축소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1900년대 초 구문 도해가 그 모습을 드러내고 전통적인 도해 방식이 이어지다가, 1949년 이후에는 전면 가로 방향으로 도해가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 이후로 다양한 형태로 구문 도해가 발전하였으며 이후 1985년부터 단일 국정 문법 교과서가 출현하면서는 주로 문장의 계층과 성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수식 형태의 구문 도해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다음으로 언어이론의 축을 설정하여 국어 구문 도해와 언어이론의 흐름을 함께 살펴본 결과, 상당수의 구문 도해가 전통문법의 영향 아래 놓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어의 구문 도해는 전통문법의 영향을 가장 지대하게 받고 있으며, 근래로 올수록 구조문법이나 변형생성문법에 의해 도해의 종류가 소폭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국어 구문 도해를 방법, 기능, 형식이라는 세 가지 기준에 의하여 그 형태적 유형을 일곱 가지로 분류하였다. ‘방법’의 기준은 문장을 도해하는 데 있어서 문장을 양분(兩分)하는가, 다분(多分)하는가의 여부를 뜻하는 것으로, 구문 도해의 성격을 결정짓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능’의 기준은 구문 도해들이 각각 기능하였던 ‘장면’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구문 도해의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형식’의 기준은 구문 도해의 형식을 결정짓는 것인데, 이 세 가지 기준에 의하여 다분식 부분용 기본선형 세로 도해, 다분식 부분용 기본선형 가로 도해, 다분식 부분용 비기본선형 세로 도해, 다분식 관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 양분식 부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 양분식 관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 양분식 전체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로 분류된다. Ⅳ장에서는 국어 구문 도해의 각 유형을 문법교육의 장면에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내용과 방법은 문법 영역에 있어 핵심적인 두 차원이므로 구문 도해의 문법교육적 이론화 역시 내용과 방법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문법 영역의 내용 영역과 방법 영역의 두 차원을 고려하여 내용과 방법 차원에서 각각 이론화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용 차원의 이론화는 문장 성분, 문장의 짜임, 문법 요소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으로 설정하였으며, 방법 차원의 이론화 내용으로는 설명과 탐구 양자를 들었다. 이러한 두 가지 차원을 거쳐 국어 구문 도해는 설명의 매개체와 탐구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다. 설명의 매개체로는 양분식 부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유형 5), 양분식 관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유형 6), 양분식 전체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유형 7)가 적합하며, 탐구의 매개체로는 모든 유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어 구문 도해의 사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형태적으로 유형 분류함으로써 국어 구문 도해를 문법교육적으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 중심의 문법교육뿐만 아니라, 시각적 접근이라는 문법교육 방법의 새로운 가능성, 그리고 탐구 학습의 재료로서의 구문 도해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Syntactic diagram is an educational tool to understand a structure of a sentence by giving a sentence a visual effect. This study was done for past Korean grammar books and textbooks showing a syntactic diagram, with a view to examining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history of grammar education. It intended to classify such syntactic diagrams into 7 types and theorize them pedagogically. Prior to discussio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ChapterⅡ aimed at discoursing syntactic diagrams in terms of the grammar education. Syntactic diagram has learner-centered significance in that it visualizes abstract thinking, transforms a plane sentence into the three-dimensional, stimulates learners' cognitive flexibility and functions as a practical instrument of learning. Besides, syntactic diagram has another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starting point of the visual approach in the grammar education. In such a context, this study set both axes of the period and the linguistic theory in order to examine historical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Comparing the history of school grammar with that of syntactic diagrams, each syntactic diagram was examined by 3 periods(quickening, flourishing and declining periods of the syntactic diagram) set by researcher. In the early 1900s, syntactic diagrams appeared and traditional diagram method continued, showing a diagrammatic aspect of a front-horizontal direction after 1949. Since then, syntactic diagrams showed a variety of developments, and numerical syntactic diagrams explaining relationship of the sentence hierarchy and component dominated after 1895 with the advent of a national grammar textbook. Next, as the result of reviewing flow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and the linguistic theories through setting an axis of the linguistic theories, it showed that quite a number of syntactic diagram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grammar. Korean syntactic diagrams were most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grammar, also showing that recently kinds of diagrams increased a little by the structure grammar or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Chapter Ⅲ classified morphological typ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to 7 by 3 criteria of the method, function and the form. The criterion 'method' refers to bisection or multiple-division of a sentence in diagramming a sentence, revealing the most key element to decide a characteristic of the syntactic diagram. The criterion 'function' has a close relation with a 'scene' each syntactic diagram functioned, occupying the greatest in educational utilizing of the syntactic diagram. The criterion 'form' is central to decide a form of the syntactic diagram. Under such 3 criteria, it is classified into multi-divisional basic linear vertical diagram for section, multi-divisional 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section, multi-divisional non-basic linear vertical diagram for section, multi-divis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relation,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section,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relation, and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the entire. Chapter Ⅳ aimed at discussing each type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scene of grammar education. Since content and method are both key dimensions in the grammar area, theorizing of the syntactic diagrams in the grammar education was also conducted in dimensions of the content and method. Therefore, considering both dimensions of the content and method in the grammar domains, it is required to theorize separately in terms of the content and method. Theorization of the content dimension was set in terms of understanding a sentence constituent and structure, grammar elements. Theorization of the method contained both explanation and exploration. Through such two dimensions, Korean syntactic diagrams may be used as media of the explanation and exploration.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section(Type 5),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relation(type 6) and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the entire(type 7) are fitting for a medium of the explanation, and every type may be used for a medium of the exploration. This study intended to theorize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grammar education through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and classifying them into the form typologically. It is expected to expand discussions about syntactic diagrams as a material of the inquiry learning with a visual approach, a new possibility of the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to learner-centered grammar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