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유시내-
dc.creator유시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407-
dc.description.abstract삼화사 철불은 강원도 동해시 두타산 무릉계곡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삼화사 적광전에 봉안된 불상이다. 1997년 사찰 중창 불사를 하던 중에 불상에 대한 정밀조사가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불상의 등에 명문이 양각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명문에는 말법 삼백여년이라는 불상의 대략적인 제작 연대는 물론 노사나불이라는 존명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 이후 명문이 있는 신라 하대 철불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는 보물 제1292호로 지정되었다. 신라 하대 철불의 조성은 비로자나불 도상과 함께 지방 세력의 후원을 받은 선승들에 의해 유행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삼화사 철불의 명문에는 이 불상이 왕이 발원하여 화엄 승려인 결언이 조성한 화엄경의 경주인 노사나불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수인 또한 비로자나불의 일반적인 지권인 수인이 아니라 시무외여원인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존의 인식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문의 내용과 양식, 불상 조성의 배경을 유기적으로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삼화사 철불을 누가, 언제, 어떤 목적으로 조성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삼화사 철불은 육계의 윤곽이 불분명하고 이마가 좁게 표현되는 등 전형적인 신라하대 불상의 양식을 보인다. 이목구비의 표현이나 신체의 비례, 옷주름의 표현에서는 실상사 철조여래좌상이나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유사성이 보인다. 이는 동시기에 조성된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는 또 다른 양식적 계보를 따른 것으로, 신라 하대 불상 조성 양식에 다양한 계보가 존재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삼화사 철불의 도상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시무외여원인 수인이다. 노사나불이라는 동일한 존명을 가지고 있는 보림사 상이 지권인을 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신라 하대에는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이라는 존명은 물론 지권인과 시무외여원인이라는 수인 또한 혼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명문은 불상의 뒷면에 양각되어 있으며, 좌우가 반전되어 있다. 명문에는 말법 삼백여년이라는 대략적인 조성 시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신라 하대인들의 시대인식을 보여주는 표현으로 이 불상이 9세기 후반에 조성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불상 조성을 주도한 결언의 활동 연대와 결언과 경문왕과의 관계로 미루어 보아 이 불상은 경문왕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흥덕왕 사후의 치열한 왕위 다툼과 반란은 경문왕의 즉위 이후 일단락되었다. 경문왕은 중앙집권과 왕권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였는데, 중앙과 지방, 종파의 구분 없이 활발한 불사 활동을 벌였던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였다. 그런데 경문왕이 불사를 진행하거나 경문왕과 교류한 선승들이 주석했던 지역은 원성왕계 왕실에 반감을 가진 정치 세력의 세력 근거지이거나 반신라 민중적 불교 신앙이 유행하던 곳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찰에는 공통적으로 철불과 비로자나불이 조성되고 무구정탑이 건립되는 것 또한 특징이다. 삼화사가 위치한 명주 지역은 원성왕계에는 가장 위협적이었을 김주원계의 세력근거지이자 반신라적 성향이 강한 진표계 미륵신앙이 유행하는 곳이었다. 따라서 경문왕은 871년 강릉에서 굴산문을 개창하고 영향력을 넓혀가던 범일을 국사로 초청함으로써 명주 지역에 대한 지방 지배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그러나 범일이 국사 초청을 거부하자 차선책으로 자신과 긴밀한 관계에 있던 결언을 통해서 후원의 형태로 삼화사에 철불을 조성하였던 것이다. 이는 왕실의 위엄을 세우고 명주 지역의 재지 세력을 회유하는 한편 민심 이반을 방지하려는 목적이었다. 결국 삼화사 철불의 조성은 철조 비로자나불상의 조성이 지방 세력과 선승의 전유물이 아니라, 왕실과 화엄승에 의해서도 조성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이는 즉위 이후 줄곧 왕실의 위엄을 세우고 지방 세력을 포섭하여 왕권을 강화하여 신라 하대를 다시금 부흥시키기 위한 경문왕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비록 이와 같은 노력은 미봉책이었을 뿐 근본적인 해결을 이루지 못해 신라는 결국 멸망하게 되었지만, 재기를 꿈꿨던 신라 하대 왕실의 노력은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Iron Buddha Statue of Samhwasa temple is enshrined in the hall of Jeokgwangjeon of Samhwasa temple(三和寺), Samhwa-dong Donghae-si Gangwon-do. In 1997, during the process of rebuilding temple, relief of inscription were found on back of body by scrutiny on this statue, then academic attention was focused on that statue. It was recorded in that inscription, the name of statue as Locana(盧舍那) was recorded as well as approximate production era as about 300 years of Dharma-Ending Period. It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 1292 for it the value by recognizing its value on Iron Buddha Statue from late Unified Silla period with inscription It was considered that building Iron Buddha Statue and Vairocana were prevailed in late Unified Silla period by priest of Zen being supported by powerful local family. But it was noticed in this statue’s inscription that this Iron Buddha statue is Locana built by Avatamsaka priest Gyeoleon on the wishes of the King. Also it has Abhaya(“Don’t fear”) and Varada(“Boon giving”) mudra(施無畏與願印) unlike normally mudra of Vairocana called Bodhtagri(智拳印). These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Iron Buddha Statue.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producer, production time, and the purpose of building Iron Buddha Statue of Samhwasa temple by organizationally analyzing the contents, formation and background of the inscription. Iron Buddha Statue of Samhwasa temple shows typical patterns of late Unified Silla period’s statues. The outline of head is unclear and the forehead is narrow. It showed similarity on expression of features, proportion of body and wrinkles in dresses with Iron Buddha Statue of Silsangsa temple(實相寺 鐵造如來坐像) or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at Biroam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桐華寺 毘盧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 The style is different from Iron Buddha Statue of Borimsa temple(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produced at same era. It means there are variable lineage in lat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Iron Buddha Statue of Samhwasa temple is Abhaya and Varada mudra. Considering the Iron Buddha Statue of Borimsa temple that has same name shows Bodhtagri, in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mudra -called Abhaya and Varada and Bodhtagri- and the Buddha’s name -Locana and Vairocana- might be used together without differentiation. Inscription is embossed on back of the statue, and is reversed with both sides. It is recorded approximate building period as ‘about 300 years of Dharma-Ending Period(末法三百餘年)’. This expression shows the understanding of the people who live in late Unified Silla period on time span. Then this statue might be made at late 9th century. Considering the living period and relationship with King Kyungmoon(景文王) of Gyeoleon(決言), this statue might be made at King Kyungmoon’s era. Violent struggle to crown and revolts after death of King Heungdeok(興德王) were terminated by King Kyungmoon. He implemented variable policies to centralization of power and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Those were included active Buddhist services without differentiation of religious denominations and local distributions. King Kyungmoon implemented Buddhist services at political bases of anti King Wonsung’s family(元聖王系) and areas of prevailing public anti Silla dynasty Buddhism. Buddhist priests closed to King Kyungmoon also settled at those area. And Iron Buddha statue and Vairocana were typically built as well as Mugujeong pagoda(無垢淨塔) in common cases. The Myungju(溟州) area that Samhwasa temple had been placed was the power base of Kim Chuwon’s family(金周元系), the latent threatening group to King Wonsung’s family and was prevailing Jinpyo’s Maitreya belief incline to anti Silla dynasty . So that, in year 871, King Kyungmoon was tried to strengthen local control power on Myungju area by inviting Bumil(梵日), who opened Mt . Gul sect(屈山門) at Gangneung, as national priest(國師). But Bumil refuged that invitation, then King Kyungmoon supported the building of Iron Buddha Statue at Samhwasa temple through Gyeoleon who was closely related to him.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to conciliate local power group and to protecting the secession of people. Then, it has important significance as the case showing Iron Buddha Statue of Vairocana were also built by royal family and Avatamsaka priest other than Zen priest being supported by powerful local family. And this reflected King Kyungmoon’s continuous willing to revive silla dynasty by strengthening royal authorities by establishing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and by conciliating powerful local families. Although these kinds of temporary makeshifts did not solve those problems that Silla dynasty had have and could not protect fall of dynasty, all effort to revive of royal family of late Unified Silla period should be revalua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삼화사 철불의 형식 및 양식 5 1. 삼화사 철불의 수인 6 2. 얼굴 표현 14 3. 신체 표현과 착의법 17 Ⅲ. 삼화사 철불의 명문 분석 20 1. 명문의 내용과 해석 20 2. 제작 시기 27 3. 발원자 33 Ⅳ. 삼화사 철불과 신라 왕실, 그리고 그 의의 38 1. 삼화사의 입지와 명주 지역의 재지세력 38 2. 삼화사 철불의 제작 배경과 경문왕 44 3. 신라 하대 철불 조성과 노사나불의 유행 55 Ⅴ. 맺음말 62 참고문헌 65 도판목차 71 도판 74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099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삼화사 철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ron Buddha Statue of Samhwasa temple-
dc.creator.othernameYu, Si Nai-
dc.format.pagev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