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Title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uthors
김보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hange of aspect and experience of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hose a case of 'E' elementary school's grade six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analyzed data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give a perspective to Christian schools and teachers who aims for Christian career education, by fully tracing the transition and the experience of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change of aspect did the grade six students show who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2. What experiences did the grade six students have who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was held from July, 2013 to May, 2014 and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3 to February, 2014. Thirty grade six students within the same class, 4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t 'E' elementary school, and 2 teachers who developed and practiced the 'E'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chosen as the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Among them, 10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 field notes, and journals of researcher. To increase the validity, data were also collected from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terview, students' journal related to the 'E'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grade six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ll transcribed, and the transcriptions were analysed and coded by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change of aspect did the grade six students show who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First, students' self-understanding changed from 'independent self-understanding' to 'related self-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Second, students' understanding of occupation changed from a 'vertical occupation view' to a 'horizontal occupation view' after participa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Third, students showed change on the occupational purpose. Through participa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ccupational purpose changed from 'self realization oriented' to 'contributing to community oriented'. Fourth, students' living attitude changed through their career design. Passive attitude changed into active attitude, and negative mind-set into positive mind-set. Also students' motivation for studying changed from external motivation to internal motivation. Fifth, parents' attention on their children's career plan changed from half-hearted attitude to enthusiastic attitude after join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2. What experiences did the grade six students have who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d to model an altruistic life attitude. Second,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learned to be aware of one-self as a citizen of the global world and to widen their perspective for career choices. Third,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d self-reflection and began to consider their 'attitude to life' rather than 'what specific job they should choose'. Fourth,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d to design career through writing a mission declaration. Fifth, grad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t '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d to proclaim a mission declaration and gain encouragement, support form their parents.;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개발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변화양상과 경험에 대한 탐구이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할 때,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어떠한 변화양상을 나타내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기독교학교 역사를 대표하는 한 초등학교의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개발된 6학년 아동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사례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재구성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들의 변화양상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기독교적 진로교육을 지향하는 학교와 교사들에게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안목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아동들은 어떤 변화양상을 보이는가? 둘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아동들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3년 7월에서 2014년 5월까지로, 집중적인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부터 2013년 2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개발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사례로 선정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변화와 경험의 양상들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이해하고자 하였기에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13학년도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6학년 한 반 전체 아동 30명, 2013학년도 6학년 담임교사 4명, 해당 프로그램의 연구ㆍ개발 및 실행에 참여했던 교사 2명, 해당 학급의 학부모이다. 특별히 연구 참여 아동 30명 중에서 심층 면담 대상 아동을 10명으로 선정하여 아동들의 변화양상과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질적 자료들은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수업 참여 관찰일지, 아동들의 심층 면담 자료, 아동들의 소감문 및 설문지, 교사와 학부모 소감문이며,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E초등학교 진로교육과정 관련 학교 문서자료와 사진자료, 연구 참여자의 진로교육 관련 워크북 등을 수집함으로써 자료 수집의 다각화(Merriam, 1994)를 기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들은 전사되었고, 문서화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써 지속적 비교분석과 부호화의 방법(Lincoln & Guba, 2000)을 통해 분석의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 확정된 범주 간의 상간관계를 통해 의미 있는 주제들을 도출하는 귀납적 방법으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아동들은 어떤 변화양상을 보이는가?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개발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아동들에게 나타난 변화양상에는 ‘자기에 대한 이해 변화’, ‘직업에 대한 이해 변화’, ‘직업선택의 목적 변화’, ‘진로설계에 근거한 다양한 생활의 의미변화’, ‘진로탐색과 계획에 대한 부모의 참여확대’가 발견되었다. 먼저,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에는 자아에 대한 이해가 ‘독자적 자기이해’였다면, 참여 이후에는 ‘관계적 자기이해’로 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국가수준의 진로교육은 초월적 존재를 부정하는 관점에 기초하기 때문에 스스로 존재하는 인간, 즉 ‘독자적 자기이해’에서 진로교육을 출발한다. 반면, 기독교적 관점에서는 인간을 초월적인 존재와의 관계성 안에 있는 존재, ‘관계적 존재’로 본다. 결국, 아동들은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초월적 존재, 즉 절대적 존재와 나의 관계에 대해 고민해보는 과정을 통해 자기이해의 측면이 ‘독자적 자기이해’에서 ‘관계적 자기이해’로 확장되는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이후 아동들의 직업에 대한 이해가 ‘수직적 직업의식’에서 ‘수평적 직업의식’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인 관점에서 직업은 좋은 직업부터 나쁜 직업으로 순위를 매길 수 있기 때문에 ‘수직적 직업의식’에 의해 분류되지만, 기독교적 관점에서 직업은 다만 분야가 다르고 다른 역할을 가진 것이지 모든 직업이 똑같이 동등하다는 ‘수평적 직업의식’에 기초한다(이영길, 2006). 셋째,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 이후 아동들의‘직업선택의 목적’이‘자아실현 지향적 직업선택’에서 ‘공동체 기여 지향적 직업선택’으로 변화하였다. 즉 직업선택의 방향성이 ‘자아실현’에서 ‘공동체 기여’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직업선택의 궁극적 목적이 자아실현을 넘어 공동체의 유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장되면서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을 기반으로 한 직업선택을 지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아동들은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이후 ‘진로설계에 근거한 다양한 생활의 의미변화’를 보였다. 진로설계 이후 그 내용에 근거하여 ‘수동적’이었던 생활태도가 ‘능동적’ 생활태도로, ‘진로와 분리되어 있었던 학습’의 의미가 ‘진로와 통합되는 학습’으로, ‘부정적이었던 마음가짐’이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변화되는 등 다양한 생활의 의미 변화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완료된 날에‘사명선포식’을 하게 된다. 이 날 학부모들은 자녀의 사명선포를 듣고 이어서 많은 사람들 앞에서 공표한 자녀의 진로계획에 대해 격려하는 편지를 읽어주었다. 이처럼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녀의 진로계획에 대한 공표를 듣고 이에 대하여 격려 편지를 읽어주는 경험을 통하여 자녀의 진로탐색과 계획의 과정에 ‘소극적이었던 부모의 참여’가 ‘적극적 참여’로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2.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아동들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개발된 E초등학교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이타적 삶의 태도 모델링 경험’, ‘세계화시대 직업맥락 이해의 경험’, ‘진로인식에 대한 자기반성의 경험’, ‘진로설계의 경험’, ‘진로계획 공표 및 부모로부터 지지받는 경험’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아동들은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자신의 역할에 충실했고, 타인 지향적 삶의 태도를 추구했던 사람들의 이타적 삶의 가치관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아동들은 이타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의 삶의 모습들을 발견하게 되고 배우게 되면서 ‘이타적 삶의 태도 모델링 경험’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아동들은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배우는 동안 지구촌의 다양한 문제들을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아동들은 세계화시대에 살고 있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신의 위치를 이해하게 됨으로써 ‘세계화시대에 알맞은 직업의 맥락을 이해하는 경험’을 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셋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배우면서 ‘진로인식에 대한 자기반성의 경험’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신의 능력과 특성에 대한 반성적 자기 이해의 과정을 통해 진로인식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는 경험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아동들은 자신의 진로를 계획한 후 진로설계인‘사명선언문’을 작성하게 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과 역할을 생각하며 자신의 삶을 미래적 안목으로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명선언문’을 작성해 봄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진로설계의 경험’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E초등학교 6학년 아동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마무리 과정의 일환으로 ‘사명선포식’을 진행했다. 아동들은 자신의 진로설계인 ‘사명선언문’을 부모님,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 앞에서 ‘선포’하게 되는데, 사명선언문 발표가 끝나면 바로 부모님은 미리 준비해 온 ‘격려 편지’를 읽어주면서 자신의 자녀가 선포한 사명에 대해 격려해 주었다. 아동들은 자신의 진로설계에 대하여 단지 작성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 앞에서 ‘진로계획 공표’의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의 진로설계에 대해 보다 진지한 태도를 갖게 되었고, 나아가 자신의 진로설계에 대해 부모님의 격려편지를 받음으로써 ‘부모로부터 지지받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아동들의 직업에 대한 이해가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아동들이 한 경험들 중 이타적 삶의 태도 모델링 경험과 관련되어 있었다.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에 대부분의 아동들은 직업에는 귀천이 있다는 ‘수직적 직업의식’을 갖고 있었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아동들의 직업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수평적 직업의식’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일반적인 직업의식에서는 경제 논리에 따라 직업의 순위를 매기기 때문에 ‘수직적 직업의식’의 관점에서 직업을 이해한다. 반면,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직업의식에서는 모든 직업은 역할이 다를 뿐이지 동등하다는 입장의 ‘수평적 직업의식’으로 직업을 이해한다(이영길, 2006).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수직적 직업의식’을 갖고 있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수평적 직업의식’을 갖게 되는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이타적 삶의 태도 모델링의 경험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각 분야에서 성공한 직업인의 삶을 모델링하기보다는 타인 지향적인 삶, 이타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들의 삶의 태도를 모델링 하는 경험은 아동들의 직업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는 일과 직업에 대한 적극적 가치관 및 태도의 육성에 필요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세계화시대 직업맥락 이해의 경험은 아동들의 직업선택의 목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아동들은 지구촌의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고 그것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깊이 있게 고민해보고 논의해보는 활동들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아동들의 직업선택의 맥락을 세계화시대의 맥락 안에서 보게 하였고, 결국 아동들의 직업선택의 목적에 영향을 미쳤다. 즉 아동들은 세계화시대에 알맞은 직업의 맥락을 이해하는 경험을 통해 세계시민으로서 올바른 직업선택을 하기 위한 관점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시민으로서 공동체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공감하여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을 기반으로 직업을 선택하고자 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해당 진로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진로에 대한 기초 설문을 통해 확인했을 때 대부분의 아동들은 직업을 선택하는 목적이 자아실현이나 생계유지라고 답하였다. 그러나 지구촌 문제의 실상을 배우면서 타인의 어려움을 공감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험은 아동의 직업선택의 목적을 자아실현이나 생계유지를 넘어 공동체 기여로까지 확장시키는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E초등학교의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지도의 궁극적 목적을 구체적인 직업의 선택에 두지 않고 진로와 직업에 대한 올바른 태도 정립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즉 국가수준의 진로교육에서도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중 하나로 건강한 직업의식의 형성을 설정하고 있지만, 세계화 시대의 맥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한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 형성에 관련된 내용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E초등학교의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지구촌 문제 이해의 과정이 강화되어 있어 이와 같은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진로를 설계하고 공표하는 경험은 아동들의 자기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고, 삶에 대한 조망 능력과 태도를 변화시켰다. 프로그램의 마지막 단계에서 아동들은 진로 설계에 해당하는 ‘사명선언문’을 작성하게 된다. 이때 아동들은 구체적인 직업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로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살아갈 자신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면서, ‘어떤 직업을 선택할까’보다는 ‘어떠한 삶의 태도를 길러야 할까’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E초등학교의 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프로그램으로 자기에 대한 이해를 ‘관계적’으로 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진로교육에서는 자기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독자적 자기이해’에 근거한다. 즉 일반적 진로교육에서는 초월적 존재를 부정하기 때문에 자신의 존재를 창조된 것이 아니라고 본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 미래를 창조하고 개발할 수 있기에 인간의 삶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Overman & Jonson, 2007). 반면,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인간관은 초월적 존재를 인정하면서 그 안에서의 ‘나’의 존재를 본다. 즉 초월적 존재와의 끊임없는 관계성 안에 있는‘관계적 존재’로서 ‘나’의 존재를 보기 때문에 ‘관계적 자기이해’가 형성된다. 이처럼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진로교육은 자기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관계적 자기이해’로 보기 때문에 진로설계 및 실행과정에서 부딪히는 어려움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하게 하여 보다 긍정적인 진로 지도를 가능하게 하였고, 구체적인 직업의 선택을 강조하기보다는 직업 및 진로에 대한 태도 정립을 우선으로 하는 진로설계의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앞으로의 삶을 바라볼 수 있는 통찰력을 형성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아동들의 변화와 경험 대한 이상의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구체적인 직업의 선택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태도 정립에 비중을 두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하다. ‘진로인식’단계에 속하는 초등학교 시기의 아동은 평생의 삶을 준비하는 진로교육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직업 또는 일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해봄으로써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는 진로발달 수준에 속해 있다. 따라서 올바른 진로 설계를 도울 수 있도록 올바른 직업 가치관 정립을 강화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이 활성화 된다면 성공적인 진로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경쟁적인 사회에서 성공적인 진로 지도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로 지도는 자칫 학력위주의 진로지도가 될 수 있고 아동들로 하여금 진로설계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공적인 직업인이 되는 것으로 설정하게 함으로써 삶에 대한 편협한 태도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좁은 의미의 진로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즉 진로 설계의 목적이 단순히 자아실현을 위한 설계가 아니라 자아실현을 넘어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진로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전환기 진로지도를 지원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상급학교로의 전환(초→중→고→대학ㆍ취업)은 개인의 진로개발 과정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환(transition) 이전 단계부터 잘 준비된 전환은 유연한 착지와 성공적인 적응을 가져다주지만 미흡한 준비는 상급학교 특성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 새로운 인간관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 그리고 상급학교 부적응 등 다양한 측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절한 전환기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전환기 진로지도가 가지는 기대효과는 아동들이 '미래 삶에 대한 통찰력을 갖고 미래의 생활을 준비하여 변화를 성공적으로 관리하며, 자기주도적인 진로를 개척'하는 데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전환기 진로지도를 기대하는 학교들은 각 학교의 교육철학과 맥락에 알맞은 6학년 아동 대상의 전환기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아동의 변화양상과 경험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서, 진로교육 관련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사례에 해당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진행이 단기간에 이루어짐으로써, 아동의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변화를 관찰하기에는 연구의 기간이 다소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특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변화양상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어도 1년 이상 선정된 사례를 탐구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풍부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