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인봉-
dc.contributor.author이희서-
dc.creator이희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2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227-
dc.description.abstract프랑스어 문법에서 전치사는 도구어로서 어휘적 낱말들을 연결하는 문법적 낱말로 분류된다. 통사적 차원에서 이 품사는 기능의 측면만 강조되지만, 의미적 차원에서 다의성을 띠는 낱말로 다뤄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치사 en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전치사의 의미는 하나의 기본 의미에서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 안에서 전치사와 연결되는 구성성분들의 해석과 연관이 있다고 고찰한다. 따라서 전치사 en을 포함한 다양한 예문의 해석을 통해 그 의미값을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사전에서 나타나는 전치사 en의 의미 항목 중 첫 번째인 장소 표현을 중심으로 전치사 en의 의미를 분석한다. 장소를 나타낼 때에는 네 가지 경우로 분석할 수 있는데, 고유명사로서 국가나 섬, 지방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공간화, 주어의 속성을 표현하는 경우 그리고 상황을 표현하는 경우 네 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할 수 있다. 장소 표현을 나타낼 때 전치사 en은 우선적으로 지시하는 장소를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 공간의 내부에 주어나 술어를 위치시킨다. 더 나아가 결합하는 명사에 따라 장소의 특성과 시간적 가치를 통합하여 주어의 서술적 자질을 형성하거나 상황을 나타낸다. 두 번째는 전치사 en이 시간 표현을 나타내는 경우를 분석한다. 여기서는 시기를 나타내는 경우, 기간을 나타내는 경우 그리고 현재분사와 결합하여 동시성을 나타내는 경우로 나누어 볼 것이다. 시기를 지시하는 경우 간격을 나타내고, 시간의 축에 위치시킨다. 기간을 지시하는 경우 지시하는 기간 안에 행위의 실현과 완수에 초점을 둔다. 제롱디프는 전치사 en과 현재분사가 결합된 형태로, 동시성을 나타내는 시제이다. 이 때 현재분사로 나타낸 사행은 주동사의 사행을 포함하는 의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태와 재료, 자격을 나타내는 경우를 전치사 en의 개념 표현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상태를 나타낼 때에는 물리적인 상태, 감정적인 상태, 변화의 결과로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때에 연결하는 보어는 하나의 상황으로서 주어의 특징을 나타내게 한다. 재료와 자격의 경우에서도 전치사 en은 하위 항목이나 비교가 아닌 특징적 가치와 일시적인 정체성으로 나타나게 하는 의미 효과를 보여준다. 해석에 따라 의미를 분류하여 전치사 en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연결하는 어휘들 간의 관계와 다양한 의미들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전치사 en은 지시하는 보어에 따라 하나의 공간, 간격 또는 상황으로 파악한다. 이 때에 결합하는 보어에 따라 위치만을 나타낼 수도 있고 주어나 행위를 위치시키거나, 보어가 가진 특성을 주어에 부여하기도 한다. 전치사 en은 결합하는 보어의 해석에 따라 주어나 행위를 결부시킴으로써 다양한 관계와 의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Cette étude a pour objet d'analyser les sens divers de la préposition en et vérifier ses valeurs sémantiques. Grammaticalement, la préposition est définie comme un mot outil qui fonctionne pour relier des mots. Au niveau syntaxique, la préposition en n'a qu'une fonction de mis en relation, mais au niveau sémantique, elle présente divers sens, c'est-à-dire que c'est un mot polysémique. Dans la présente étude, nous considérons la préposition en comme un mot à plusieurs sens et proposons d'analyser l'emploi de la préposition en afin de déterminer ses valeurs sémantiques. En premier lieu, nous analysons les expressions de localisation. Il y a quatre types d'expressions de localisation avec la préposition en : l'indication des toponymes, la localisation à l'intérieur de l'espace, la qualification du sujet, et la présentation d'états. La préposition en introduit le complément comme un espace où se situe le sujet de la phrase. De plus, selon les types de noms, en intègre le caractère du lieu et la valeur temporelle pour exprimer l'état du sujet ou qualifier le sujet selon la fonction de lieu où le sujet se trouve. Dans un second temps, nous analysons les expressions temporelles de en. Ici nous allons voir trois types d'expressions : l'indication d'un nom temporel, l'indication d'un nom qualifié par un numéral cardinal et le gérondif. Dans le premier cas, à savoir lorsque en indique un complément temporel comme un intervalle qui est référé sur l'axe du temps. Pour le deuxième cas, en exprime le temps nécessaire à l'accomplissement de l'action. De plus, le gérondif exprime la simultanéité en incluant l'aspect du verbe principal dans l'aspect du gérondif. Selon les types d'expressions temporelles, chaque valeur sémantique se présente différemment. Enfin, pour les expressions conceptuelles, nous pouvons catégoriser par l'indication de l'état, de la matière et de la qualité. La préposition en indique les états physiques, émotionnels et les transformations. Et ces états indiqués par en caractérisent le sujet en incluant une situation temporelle. De plus, lorsque en précède la matière ou la qualité, ses valeurs sémantiques expriment une caractéristique particulière et une identification temporaire. L'analyse sémantique de la préposition en montre ses sens différents et explique la relation entre ces sens. Lorsque la préposition en indique le lieu, le temps, l'aspect ou le concept, nous pouvons considérer le complément comme un espace limitée. Ainsi le sujet, ou l'action, est localisé à l'interieur de l'espace spacio-temporel et qualifié par les caractéristiques ou la fonction du complément. La préposition en représente donc des sens divers en caractérisant le sujet ou l'action selon l'interprétation du complé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장소 6 A. 국가 및 지역 지시 6 B. 공간화 13 C. 주어의 속성 16 D. 상황 20 Ⅲ. 시간 24 A. 시기 24 B. 기간 25 C. 동시성 29 Ⅳ. 개념 34 A. 상태 34 B. 재료 43 C. 자격 46 Ⅴ. 결론 51 참고문헌 53 RESUME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83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전치사 en의 의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analyse sémantique de la préposition en-
dc.creator.othernameLee, Hee Seo-
dc.format.pagev,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