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의 관계

Title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uthors
허은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청소년기뿐 아니라 성인기의 사회생활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개입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심리적 기제로서 자기결정성이론의 기본심리욕구와 긍정심리학의 희망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기결정성이론에서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라는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어야 학습, 성장, 발달을 위한 내재적 동기가 발현된다고 본다. 긍정심리학에서 설명하는 희망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아내고,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려는 동기화된 신념을 말하며, 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밝은 전망을 갖게 한다. 따라서 청소년이 환경과의 상호관계에서 긍정 경험을 바탕으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을 경험할 때 희망수준이 상승하고 학교생활을 잘 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광명 소재의 중․고등학교 학생 607명의 설문자료를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희망,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및 경로,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이 지각하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정도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희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들(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 학교수업)에 대해서도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이 어떠한 경로로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통해 경로계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효과분해를 통해 간접, 직접, 전체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희망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 기본심리욕구는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 유능감, 자율성의 순서로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관계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희망에 대해 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감, 관계성, 자율성의 순서로 희망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유능감은 희망에 대한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셋째, 희망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또한 희망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희망의 부분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넷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 학교수업)에 대한 경로는 학교생활적응 전반의 경로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교사관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경로는 학교생활적응 전반에 대한 경로와 일치하는데, 교사관계에 대한 전체효과가 가장 큰 변인이 유능감이라는 차이를 보였다. 교우관계에 대해서는 자율성과 관계성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유능감과 희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즉 기본심리욕구와 교우관계의 경로에서 희망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규칙에 대해서는 유능감과 관계성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희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학교규칙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자율성은 희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주었다. 학교수업에 대해서는 유능감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희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학교수업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자율성과 관계성은 희망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상담적 함의를 제시하였고, 학습 환경에서 기본심리욕구를 지지하고 희망적 사고를 증진하는 교육적 개입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can have enormous effects on social life during adulthood as well as adolescency, which reinforces the great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to help them improve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ies. This study se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hope of Positive Psychology as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mechanisms affecting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analyzed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maintains that intrinsic motivations are implemented for learning, growth and development wh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uch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re met. In Positive Psychology, hope is a motivated belief to find and utilize various ways to attain the desired goal and allows people to have positive expectations and bright outlooks on results. It is thus very likely that adolescents will have a raised level of hope and lead a good school life when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satisfied based on positive experiences in their mutual relations with the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hope, and relations, paths, and influences of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answers of 607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wangmyeong.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satisfaction with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their hope, the effects of hope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on relations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e degree and path of impa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 on the subareas(relationships with teachers, peer relationships, school rules, and school lessons) of school life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ested by testing the validity of path coefficient through path analysis and analyzing direct, indirect, and whole effects through effect decomposition. Also employed in the study was the bootstrapping technique to test whether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not. Such analys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Relatedness, competence, and autonomy had direct impa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a descending order with relatedness exerting the biggest explanatory power for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positive influences on hope. 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 had direct influences on hope in a descending order with competence having great predictive power for hope. Third, hope function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relations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at is, the satisfac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direct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also indirect effects on it via hope, which demonstrate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hope. Fin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paths of the subareas(relationships with teachers, peer relationships, school rules, and school lessons) of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paths of overall school life adjustment. The path that se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s a dependent variable matched the path of overall school life adjustment, but competence had the biggest whole effects o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While autonomy and relatedness had direct effects on peer relationships, competence and hop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m. In other words, hope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path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relationships.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direct effects on school rules and also indirect effects on them via hope, whereas autonomy had only indirect effects on them via hope. Competence had direct effects on school lessons and indirect effects on them via hope, whereas autonomy and relatedness had only indirect effects on them via hop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counseling and plan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o help adolescents improve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ies and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