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교사들의 직업적성 일치도,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와 은퇴 후 진로미래 태도와의 관계

Title
교사들의 직업적성 일치도,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와 은퇴 후 진로미래 태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Post-retirement Career Future with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Teachers
Authors
박지운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는 퇴직을 앞둔 교사들의 새로운 진로 탐색과 적응을 돕기 위하여 현재 삶의 모습과 은퇴 후 삶의 계획을 어떻게 세우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은퇴 후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진로 적응성과 진로 낙관성을 중요한 심리적 구인으로 보고 진로미래와 직업적성 일치도,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련성을 바탕으로 직업적성 일치도,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가 진로미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초, 중등학교와 특수학교에서 45세 이상의 교사 220여 명을 대상으로 홀랜드 SDS검사, 진로미래 척도 및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설문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203부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불필요한 곳에 중복 응답한 85부를 제외한 118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는 남자가 71명, 여자가 47명으로 남자가 더 많았으며, 45세 이상~ 50세 미만이 약 60%를 차지하였다. 학력은 대부분 대학교 졸업 이상이었으며 대학원 졸업 이상이 50%를 차지하여 학력 수준이 매우 높은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성격유형은 사회형이 가장 많았고, 나머지 유형들이 골고루 분포하여 사회적 직업유형인 교사집단을 적절히 대표하고 있었다. 퇴직과 관련해서 희망은퇴 연령은 60세 이상이 60% 이상을 차지하여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교직에 머무르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 중 60% 이상이 일할 능력이 있음, 시간 보내기, 경제적인 필요 등을 이유로 새로운 직업을 가질 계획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여가생활의 경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개 이상의 여가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미래 태도와 직업적성 일치도,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의 상관 분석결과 대부분의 상관에서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진로미래 태도와는 직무만족도가 .41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직업적성 일치도와 여가만족도가 .33으로 비슷한 수준의 상관을 보였다. 직업적성 일치도와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 간의 상관은 직업적성 일치도와 직무만족도가 .32의 상관으로 .01 수준에서 유의하였고, 나머지 관계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진로미래 태도에 대한 진로적성 일치도,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의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택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가지 예측 변인은 진로 미래태도를 26%정도 설명하였다. 그 중 직무만족도는 17%의 설명량을 가지며 세 가지 변인 중 진로미래 태도를 가장 많이 설명하였고, 여가만족도와 직업적성 일치도가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직업적성 일치도 자체보다 실제 직업 환경 내에서의 직무만족과 여가생활이 진로 낙관성과 진로 적응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직업 선택 시 자신의 성격유형에 맞는 직업유형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 중에 직무에 만족하고, 여가 시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개인적인 노력과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퇴직을 앞둔 교사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노년층의 퇴직 후 재취업 문제를 사회적 문제로 떠올렸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에 적용되던 홀랜드 이론을 퇴직을 앞둔 성인층에게 적용하고, 생애 두 번째 직업과 노후 삶의 질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함께 제시하였다.;This research was done to assist near-retirement teachers in career search and adaptation by examining how they plan their future after retirement and exploring the effect of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n their career future. In doing so,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118 teachers above 45 years old from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middle, and special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wangju, Korea were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howed that more than 60 percent of the sample responded that their ideal retirement age is at 60 or above, and that they plan on working at a new job because they would be capable of working, want to spend time better, need to meet financial needs, etc. Leisure activities brought high satisfaction, and most of the respondents engage in one or more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most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future.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areer future was job satisfaction with r=.41, and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showed a similar level of correlation with r=.33. Third, the effect size was measured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d the three predicting variables-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explained about 26 percent of career futur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explained career future the most with 17 percent of explanatory power, followed by leisure satisfaction and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ractical job satisfa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career future, and that one should not only choose a job with vocational aptitude congruence but also make various effort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career future. In the end, directions of personal, social change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the second phase in working life and retirement are provid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