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이아진-
dc.creator이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4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446-
dc.description.abstract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학교교육의 성과로서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측정된 학업성취도를 통하여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지원하려는 노력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oleman 등(1966)의 「Equ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보고서를 비롯한 많은 선행연구에서 학생 개인의 자질,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학생 개인의 선천적 자질, 가정배경 등의 귀속적 요소만을 학업성취도의 결정요인으로 보는 것은 교육을 통해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천적으로 주어진 요인 외에, 성취요인으로서 생활시간활용을 학업성취도 결정요인으로 추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활시간활용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생활시간활용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의 3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1,711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F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생활시간활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3시간 44분 정도를 학습활동에 사용하고 있었다. 이를 유형별로 나누어보면 사교육시간은 1시간 37분, 학교 숙제시간은 34분, 사교육 숙제시간은 37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은 54분으로 파악되었다. 독서 및 청소년활동영역에서 독서시간은 하루 평균 29분, 땀 흘리며 운동한 시간은 일주일에 2회 정도, 여행은 연간 2회, 문화활동은 연간 4.4회, 청소년 수련활동은 연간 1.57회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 오락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40분, 또래 오락시간은 52분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면시간은 7시간 18분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성별․가정배경에 따라 생활시간활용에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시간영역에서는 학교 숙제시간을 제외한 모든 학습시간이 가정배경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높고,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교육시간, 사교육 숙제시간,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많게 나타났다. 여행이나 문화활동은 부모의 SES가 높아짐에 따라 더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오락시간은 모든 유형이 부모의 SES가 높아짐에 따라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비교적 매체 오락시간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면시간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길었고, 부모의 SES가 높아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특기할만한 점은 용돈을 평균보다 적게 받는 집단이 평균 이상으로 받는 집단에 비하여 독서시간과 공부시간이 더 많고, 또래오락시간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셋째, 중학생의 생활시간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수를 3단계로 나누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변수만 투입했던 모형 1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습태도가 좋고, 학습의욕과 인내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에서는 가정배경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개인요인에서는 모형 1과 같은 결과가 나왔고, 가정배경 요인에서는 보호자의 최종학력,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졌고, 학생의 용돈은 많을수록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의 근로여부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생활시간을 투입한 모형 3에서는 모형 1, 2와 달리 어머니의 근로 여부, 성별의 영향이 사라졌다. 생활시간에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사교육시간, 사교육 숙제시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청소년수련활동, 동아리활동이 있었고,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학교 숙제시간, 매체 오락시간, 또래 오락시간, 수면시간이 있었다. 이에 대한 제언을 요약하면 생활시간 중 청소년 수련활동, 동아리 활동이 학업성취도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활동들은 연평균 횟수로 측정해야 할 만큼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학교 차원에서 이러한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 제고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던 학생의 학습태도와 같은 학습관련 자질을 양성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교에서 숙제를 내주기보다 학생 스스로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평균이상의 용돈을 받는 학생들은 학습시간과 독서시간이 적고 오락시간이 많았기 때문에 가정에서 학생의 용돈을 적정수준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The result of the assessment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s utilized as the most essential factor as the outcome of school education. Therefor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nducting the national-level assessmen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y expand the attempts to support the effective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the measured assessment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studies on the factors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re actively preceded. Many pre-existing studies including the research report of Coleman (1966) sugges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family as the main factors to exer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is undesirable in normative dimension to suggest the belonged factors lik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ents or family backgrounds as the decisiv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Thu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decisive factors by adding daily time use to suggest it as the achievable factor based on the efforts of students. The questions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how is daily time us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ly, how daily tim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s on the assessment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ques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utilizes KCYP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the object of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re conducted by statistics program SPSS 18.0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daily time use of the students, the students use approximately 3 hours 44 minutes for learning activities averagely per day. As classifying it by patterns, it is accounted that the time for private lessons is 1 hour 37 minutes, the time for school homework is 34 minutes, the time for the homework of the private lessons is 37 minutes, and the time for studying on their own is 54 minutes. In the domain of reading and youth activities, it is found that the time for reading is averagely 29 minutes per day, the time for exercising with sweat is about twice per week, the time for taking a trip is about twice per year, the time for cultural activities is 4.4 time per year, and the time for activities of youth training is 1.57 per year.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time for media entertainment is averagely 2 hours 40 minutes per day and the time for peer entertainment is 52 minutes per day. Lastly, the time for sleep is found to be 7 hours 17 minutes.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on whether daily time use of the students ha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are as follows. In the domain of learning tim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learning time except for the time for school homework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 The time for private lessons, the time for the homework of private lessons, and the time for studying on their own is found to be higher as the income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s is higher. The noteworthy point is that the group with less allowance than the average has more time for reading and studying as well as less time for peer entertainment than the group with more allowance. The time for taking a trip or cultural activities tends to become active as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is higher. The time for entertainment tends to become decreased in all patterns as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is higher. In addition, the students whose mothers do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end to have relatively less time for media entertainment. Finally, the male students usually have more time for sleep than the female students, and the time for sleep tends to become decreased as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is higher. Thirdl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of divid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nto three stag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daily time us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In the model 1 in which only individual variables are applied, the male students have better learning attitude than the female students, and the 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receives positive influences as the motivation and endurance in learning is higher. In the model 2 in which the variables on family background are additionally applied, the same results with the model 1 are yielded in the individual factor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becomes higher as the final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is higher in the family background factor, and the allowance of the students makes negative influences as its amount becomes higher. In addition, the condition whether the mother is working outside or not makes negative influ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odel 3 in which daily time is applied, the effects of the working condition of the mother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gender disappear. The time for private lessons, the time for homework of private lessons, the time for studying on their own, the time for youth activities, the time for club activities are the variables to gi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daily time. The time for school homework, the time for media entertainment, the time for peer entertainment, the time for sleep are the variables to give negative influences. To sum up the suggestions in relation to the aforementioned results, non-subject activities are not well conducted so far as to be averagely measured per year although the youth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among daily time gives positive influences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It is suggested that the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such reading and youth activities is required in school level. In addition, the attempt to foster the learning-related qualifications such as learning attitudes of the students which are the most influential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s required. The students’ own self-directed learning is also needed to be nurtured rather than giving them school homework. Furthermore, the management of the students’ allowance in appropriate level is required because the students with much allowance than average tend have less time for learning and reading as well as more time for entertai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1. 교육효과변수로서의 학업성취도 5 2. 학업성취도의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 7 3.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요인 11 B. 중학생의 생활시간 16 1. 학습과 관련한 생활시간 17 2. 독서 및 청소년활동과 관련한 생활시간 18 3. 수면 및 오락과 관련한 생활시간 21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연구설계 24 C. 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3 A. 연구결과 33 1. 중학생의 생활시간활용 현황 분석 33 2. 중학생의 생활시간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9 B. 논의 55 Ⅴ. 결론 58 A. 결론 및 제언 58 B. 연구의 제한점 60 참고문헌 62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72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생의 생활시간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time us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Lee, A Jin-
dc.format.pagev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