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관점에서 본 교육적 관계맺음의 의미

Title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관점에서 본 교육적 관계맺음의 의미
Other Titl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Building a Relationship in “Philosophy of the Other” of Emmanuel Levinas : with case analysis of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ound in a movie Freedom Writers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최근 한국 교육계의 화두로 떠오르는 것은 ‘인성교육’이다. 사실 실제 학교교육에서 인성교육은 과거 전통사회에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또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인성교육의 방법은 크게 이론중심에서 실천중심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이러한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학교현장에서 따돌림, 청소년 범죄, 학교폭력과 같은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 같은 문제가 교육의 쟁점이 되면서 인성교육의 실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즉 기존의 인성교육은 실질적으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이 널리 공유되고 있는 것이다. 학교현장에서 인성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이 인간관계를 전제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학교교육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맺음은 학교교육 전반의 질을 결정짓는 필연적인 요인이다. 따라서 학생의 인성 또한 학교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맺음의 양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실제로 학교폭력 가해자 학생의 대부분은 교사와의 관계 친밀도가 낮고, 학생 자신을 비인격적으로 대하는 교사의 태도를 경험하였다. 반면에 가해자 학생이 교사와 인격적인 관계를 맺을 경우 그들의 폭력성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를 통해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제대로’ 된 인성교육의 실천을 위한 핵심 요인이며, 학생과의 관계를 결정짓는 교사가 타인인 학생을 어떻게 사유하고 관계를 맺는가에 대한 검토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타인과의 관계맺음을 자신의 철학적 과제로 삼은 ‘엠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타자철학’을 근거로 인간관계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인성교육적 효과를 가져오는 교사의 태도는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타자철학'에서 인간관계의 양상을 설명하는 주개념은 ‘전체성’과 ‘타자성’이다. 먼저 그는 제2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와 같은 전쟁과 폭력이 발생하는 근원적인 원인을 이성적 주체를 우위에 두는 전통서양철학 전반의 특징에서부터 찾았다. 레비나스의 관점에서 이러한 이성적 주체는 스스로가 모든 존재를 파악하고, 규정하고, 의미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밖에 있는 모든 존재, 즉 타자를 자신의 사유를 통해 포섭가능하다고 본다. 이와 같이 인간이성을 통해서 타자를 이성적 주체인 동일자로 환원시키는 구조를 ‘전체성’이라고 레비나스는 규정한다. 이러한 ‘전체성’에 입각한 타인과의 관계맺음은 타인의 ‘타자성’을 무시하고 배제시키기 때문에 윤리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이는 곧 ‘폭력’이라고 레비나스는 지적한다. 반면에 레비나스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윤리적 관계맺음은 ‘타자성’에 입각한 관계맺음이다. 먼저 타인의 ‘타자성’은 ‘외재성’과 ‘무한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외재성'은 나와 신체적․정신적으로 분리된 타인의 성질을 의미한다. 타인은 스스로의 삶을 ‘향유’활동으로 영위하면서 나와는 철저하게 분리된 자신의 고유성을 구축한다. 또 ‘무한성’은 ‘절대적으로 다름’, ‘절대적인 외재성’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나의 인식체계로 인해 파악하고 이해할 수 없는 타인의 성질을 뜻한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윤리적 관계맺음은 ‘얼굴’과 ‘대화’를 통해서 가능하다. 타인은 본질적으로 나의 인식과 사유 너머에 존재하기 때문에 나의 인식으로 지각하거나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고 레비나스는 강조한다. 타인의 ‘얼굴’은 나에게 ‘현현’한다. 이 ‘얼굴의 현현’은 나에게 타인 자신의 고유성과 그것을 침범하지 말라는 윤리적인 명령이자 윤리적인 호소를 의미한다고 레비나스는 주장한다. 나, 주체는 이러한 타인의 ‘얼굴’을 수용하고 ‘응답’함으로써 윤리적 관계맺음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레비나스는 ‘대화’가 윤리적 관계맺음에서 중요한 행위가 된다고 주장한다. 레비나스의 관점에서 ‘대화’는 타인이 나에게 말하는 것에 대해서 내가 인식하고, 이해하여 대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그가 주장하는 진정한 ‘대화’는 타인이 나에게 인사를 하면 나도 그에게 인사를 하듯이, 타인의 ‘말함’ 그 자체를 받아들이는 것, 즉 나는 그 ‘말함’에 ‘응답’하는 것이다. 레비나스에게 있어서 ‘응답’은 타인의 ‘말함’에 대해 자신의 인지구조를 이입시켜서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응답하는 그 행위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타인의 ‘얼굴’에 내가 ‘응답’하는 것과 같이 ‘말함’ 그 자체에 ‘응답’하는 것은 타인 그 자체를 내가 수용하는 것이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이러한 ‘얼굴’과 ‘대화’를 통한 관계맺음은 나의 이성적 차원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얼굴’과 ‘대화’를 통해서 나와는 ‘절대적으로 다른’ 타인의 존재를 그저 수용하고 ‘응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타자철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교사와 학생의 관계맺음의 실패사례와 성공사례에 각각 어떻게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를 분석자료로 삼았다. 먼저 학생들을 대하는 마가렛 교사와 브라이언 교사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이 둘과 학생의 관계맺음은 레비나스가 지적하는 ‘전체성’에 의거한 관계맺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가렛과 브라이언은 자신의 편견, 선입견 등과 같은 사유의 틀을 통해서만 학생들을 인식하고 파악하였고, 이러한 관계맺음은 학생들을 교육에서 소외시킨다는 근본적인 교육적 문제를 유발하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나 흥미뿐만 아니라 학생 자신의 주체성 성립 및 올바른 인성 함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신임교사 그루웰은 학생들의 ‘얼굴’과 ‘말함’에 ‘응답’하는 관계맺음을 이루었다고 분석되었다. 분석한 바에 의하면, 그녀는 ‘전체성’에 입각하여 학생들과 관계를 맺는 것을 지양했으며, 학생들의 ‘얼굴’을 대면하면서 학생 그 자체와 관계 맺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과의 관계맺음에서 그루웰은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가고 또 구축할 수 있는 ‘향유적 주체’로 학생들을 대하였다. 또, 교사 그루웰 자신이 온전히 이해하고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닌 나와 ‘절대적으로 다른’ 타인인 학생들과 관계를 맺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그루웰과 학생들과의 관계맺음은 실제로 학생들을 긍정적인 변화로 이끌었다는 교육적 의미를 담고 있다. 학생들은 그루웰과의 만남을 통해서 학업성취를 이루었으며, 또한 자신과는 ‘다른’ 타인에 대해서 항상 배척하고 무시하는 태도를 일삼던 학생들이 스스로의 편견을 버리고 타인과 인격적 관계맺음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통해, ‘타자철학’의 관점에서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맺음이 실현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의 태도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교사가 타인인 학생을 자신의 인식체계로 규정하고, 이해하고, 판단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또, 교사는 학생의 ‘얼굴’과 ‘말함’에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학생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학생은 교사의 ‘또 다른 자아’가 아닌 교사 자신과는 ‘절대적으로 다른’ 타인으로서 관계를 맺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맺음은 교사가 ‘외재성’과 ‘무한성’을 지닌 타인인 학생이라고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다. 교사는 타인인 학생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인식체계를 고수하는 것이 아니다. 교사는 자신이 이해하거나 파악할 수 없는 학생을 외면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학생 그 자체와의 만남에서 학생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그것을 수용하려는 태도로 학생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Considering the following issues appearing on the school scene today, such as bullying and being excluded, violence or juvenile delinquency, the failure of humanism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ain reasons of the educational problems. To normalize the humanism education, education needs defining as practical activity based on the huma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ffects an overall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s many of the aspects of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are designed by how teacher reflects on student, therefore, the reflection of teacher on student should be examined to make the humanism education recovered.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desirable teacher’s attitude towards student based on the 'Philosophy of the Other' of Emmanuel Levinas. Levinas’s mature thought evinces two types of relationship with 'the Other': one stems from totality and from infinity stems the Other. On the one hand, building a relationship based on totality ignores the other and his or her alterity. This results in ethical problems and can be considered violence against the other. On the other hand, an ethical relationship,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e philosophy of the other, is achieved through 'Discourse' and 'Visage' of the Other. The Other’s face delivers an important message signifying “Do not kill me.” The message says ‘the alterity of the Other is worth being respected’ and delivers ethical imperative and ethical appeal. The responsibility for visage of the Other, I assert, can achieve the ethical humanism relationship at school. At the core of Levinas’s thought, responsibility leads into dialogical sociality - giving and receiving salute between me and the other. Responsibility is acceptance of the Other’s saying itself, and also the key to building an ethical relationship, which is possible not through the reason but through the sensibility and affectivity – compassion or maternal sentimentality. In this thesis, a movie Freedom Writers based on the true story is analyzed to review how the philosophy of Levinas can be applied to specific educational cases. Two aspec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re found in this movie. One is teacher Magaret and Brian’s: it is from totality, excluding students from education itself and affecting negatively on student’s subjectivity or personality. On the contrary, teacher Gruwell builds the other aspect of relationship with student. Gruwell accepts the face of student, that is, the visage of the other and unfolds Levinas’s responsibility in the class. Her attitude encourages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ves and enter into a humanism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world, on which lies educational significance. This thesis argues the right attitude of teacher toward student required to form a humanism relationship by analyzing Levinas’s philosophy of the Other. Teacher should avoid an understanding on student based on reason and cultivate the right one through responsibility for the Other’s visage and saying. Teacher needs to appreciate uniqueness of each student as a human being and form a relationship with student – not with a student as an alter ego of teacher himself or herself but with a student as the absolute the 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