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초기 성인기 사회불안의 관계

Title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초기 성인기 사회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Early Adulthood Social Anxiety :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afety Behavior
Authors
김윤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 뒤,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 중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안전행동, 정서조절곤란을 각각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그리고 정서조절곤란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포함한 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다. 연구 결과 모든 경로들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에서 정서조절곤란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델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사이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이 유의미한 단순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이 함께 작용한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불안을 직접적으로 유발할 뿐 아니라,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을 각각 매개하여 사회불안을 발생시키며,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을 차례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의 발병을 초래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초기 성인기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사회불안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사회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초기 성인기의 성인들을 위한 개입을 마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dysregulation, safety behavior, early adulthood social anxie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54 students drawn from 2 universities, 1 company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1 internet commun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dysregulation, safety behavior, and social anxiety.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specially, the path from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to emotion dysregulation was more powerful than other paths.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dysregulation, safety behavior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were significant, as well as the dual-mediated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afety behavior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was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dysregulation and safety behavior should be included and examined in designed a intervention program for people who had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Findings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