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조호자의 조호부담과 치매노인 학대 간 관계

Title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조호자의 조호부담과 치매노인 학대 간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Dementia Care Burden and Elder Abuse with Dementia by family Caregivers :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giver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Perceived Social Support
Authors
조은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With this rapid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abuse of elderly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Among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re particularly at high risk for domestic ab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caregiver burden, caregiver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aregiver’s abusive behavior.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more than 60 years of age and their caregiver people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2010-2011 Nationwide Survey on Dementia Care in Korea: NaSDeCK and 2012-2013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 And 440 of caregivers who had verbal abuse to the thei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are burden, caregiver depression, and caregiver’s abusive behavior. But social suppor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ose variables. Second,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5 social support subscales, tangible suppor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verbal abuse. Thir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the major variables showed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And caregiver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abusive behavior to dementia patients. Fourth, the care burden, verbal abuse, caregiver depression between high/low tangible support groups showed a difference in almost variable. Low tangible suppor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variables score than high tangible support group. Finally, the multi-group analysis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variables of high/low tangible support groups.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as been identified in the path which starting from the caregiver burden through depression ultimately to the verbal abuse.;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인 학대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치매노인들은 일반 노인에 비해 학대에 노출될 가능성이 10배나 높아 학대에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선행연구를 통하여 치매 노인 학대에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된 조호자 차원 변인들 중 조호부담, 조호자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2011년 전국적으로 시행된 치매조호실태조사(Nationwide Survey on Dementia Care in Korea: NaSDeCK)와 2012년-2013년 분당서울대병원의 한국인의 인지 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및 가족 조호자를 대상으로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때, 본 연구가 익명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고려했을 때, 신체적 학대에 대한 응답에서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보이려는 응답자의 노력이 반영되어 평균점수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때문에 이 같은 제한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대행동 하위 차원 중 언어적 학대에만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으며, 전체 789명 중 언어적 학대가 유의한 집단인 440명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먼저,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 하위 차원 중 치매노인에 대한 언어적 학대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후, 조호부담과 치매 학대의 관계에서 조호자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확인한 구조적 관계가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변인 간 상관관계가 대체로 유의하였다. 조호부담, 언어적 학대, 신체적 학대, 우울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과 사회적 지지 하위 차원 간에는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치매노인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을 살펴 본 결과, 실재적 지지가 언어적 학대 발생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호부담, 우울, 언어적 학대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후, 조호부담과 언어적 학대 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울은 조호부담과 언어적 학대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언어 학대 발생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된 실재적 지지 수준에 따라 상·하위 집단으로 구분한 뒤, 두 집단 간 조호부담, 언어적 학대, 우울의 평균점수를 비교하였다. 더불어, 지지 수준에 따른 집단 간 구조적 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재적 지지 상 집단에서는 하 집단에 비해 조호부담, 언어적 학대, 우울의 평균점수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두 집단 간 다집단 경로계수 차이를 확인 한 결과, 조호부담에서 우울, 우울에서 언어적 학대로 가는 경로에서 두 집단의 차이가 나타나 위 경로가 실재적 지지 수준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과도한 조호부담은 조호자의 높은 우울 수준을 통하여 치매노인에 대한 학대를 유발시키는 한편, 실재적 지지는 조호부담에서 우울을 거쳐 언어적 학대로 가는 경로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치매노인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조호자 차원의 개입 전략을 계획 할 때, 조호자의 우울 수준을 경감하고, 실재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