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소재개발을 통한 그런지(Grunge) 패션 디자인 연구

Title
소재개발을 통한 그런지(Grunge) 패션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Grunge Fashion and Design through Development of Material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roducts for the New Women's Brand "SEMPITERNO"
Authors
박세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보림
Abstract
산업 혁명 이후 인류는 물질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이러한 풍요는 우리의 삶의 질을 변화 시켰다. 이러한 시대적, 문화적 흐름에 따라 오늘날의 소비자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개인의 개성을 보여줄 수 있는 소비에 중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현대 패션 산업은 그러한 변화와 소비자의 욕구에 빠르게 대처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아울러 대량 생산으로 인한 정형화된 실용적 디자인에서 벗어나, 심도 있는 예술적 표현 가치에 중점을 둔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도 계속 하고 있다. 새로운 미적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이질적인 장르의 패션 감성을 혼합하거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다양한 표현 기법과 스타일도 조합하고 있다. 이 중 1990년에 대중적인 스트리트 패션으로 유행한 그런지 패션은 미완성적 마무리와 부조화적인 겉 모습을 보이며, 단순한 개인의 개성 표현이 아닌 현실에 대한 탈피, 결핍된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런지 패션은 그러한 추의 미학을 통해 그들의 감성을 대변하고, 이후 많은 유명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어 대조적인 감성과의 결합, 독창적인 소재 개발을 통한 다양한 표현으로 하이패션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의 그런지 패션은 실용성과 다양한 크래프트적 요소가 접목된 고급스러운 의상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새로운 감성들간의 결합으로 패션트렌드와의 상호 융합을 통한 독창적인 의상으로 새롭게 선보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 용품들을 그런지 패션의 재료로 활용하고, 다양한 크래프트적 표현기법을 통하여 예술성과 실용성을 갖춘 고급스러운 신규 여성복 패션 브랜드[SEMPITERNO]를 런칭하고자 하였다. 이 신규 브랜드는 다양한 일상 용품을 재료로써 활용한 소재개발을 통하여, 국내 브랜드와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고감도 디자이너 브랜드로, 그런지 패션의 재료사용의 범위와 표현기법의 범위를 넓혀 국내 여성복 시장에 새로운 활성화 방안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그런지 패션에 관한 고찰 후 2008F/W부터 2014F/W까지 현대 패션에 나타난 그런지 패션의 사례를 분석하고, 2012F/W~ 2014F/W의 여성복 소재 트렌드 자료를 참고하였다. 소재개발에 있어서는 그런지 패션의 표현기법 중 크래프트적 기법을 사용하되 거미줄에 나타난 선적인 조형적 이미지를 고열 압착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표현 소재로 사용하였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소비자 욕구에 대응 할 수 있는 새로운 그런지 패션의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런지 패션은 젊은 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 ‘지저분하고 혐오스러운’이라는 의미를 지닌 패션이었고 그들의 감성을 다양하게 표출시킬 수 있던 패션임을 알 수 있었다. 1980년대 후반~1900년대 초반 낡고 남루한 분위기를 가지고 나타났으며, 이후 본격적으로 대중화되어 마크제이콥스에 의하여 최초로 컬렉션에 등장하였고, 다양한 디자이너 들에 의하여 새롭게 전개됨으로써 하이패션으로 자리잡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지 패션의 표현기법은 미완성적 마무리기법, 부조화적 믹스 앤 매치기법, 레이어링기법, 크래프트적 표현 기법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런지 패션의 표현성으로는 해체된 기존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해체성, 수공예적인 크래프트 표현기법으로 인한 장식성, 이질적인 소재와 이미지의 접목을 통한 유희성, 중고 제품을 재료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환경 친화성, 낡고 빈곤한 이미지로 인한 포베라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8F/W~2014F/W컬렉션에 나타난 그런지 패션을 조사한 결과 주로 올 풀기 및 구멍 뚫기, 레이어링, 믹스 앤 매치 등의 표현기법과 해체성, 장식성, 포베라성의 표현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기법과 표현성은 함께 접목되어 나타나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내 패션 시장 분석을 통하여,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패션시장 안에서 소비자들은 고급스럽고 크래프트적 감성의 제품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패션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여성은 그런지 감성의 패션의류를 대부분 선호하고 있으며, 그런지 패션만의 독창적인 표현기법이 적용된 소재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격보다 예술적인 표현기법이 적용된 제품의 가치를 추구하지만, 믹스 앤 매치 및 레이어링 할 수 있고, 실질적인 착용 감에도 중점을 두어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4S/S, 2014F/W의 여성복 패션 소재 트렌드를 분석을 한 결과, 2012년에는 소재에 기계적 기술 가공을 통하여 고급스럽게 전개해나갔다면, 2013년 이후 에는 핸드 크래프트적 요소가 접목되어 나타내고, 이후 2014년부터는 장인정신에 입각한 핸드 크래프트적 기법이 더욱 강조되어 거친 감성과 부드러움이 공존하며,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여성복 소재 패션 트렌드를 반영한 2014F/W의 시즌 컨셉을 거친 그런지의 감성을 현대적 감각에 접목시킨 “Urban Sophisticated Grunge”라는 테마로 설정하였다. 테마에 맞는 제품은 총 8가지로 제작하였고, 제품 개발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런지에 나타난 표현기법 중 크래프트적 표현기법으로 거미줄의 이미지를 모티프로 응용하여 소재개발을 한 결과, 자유롭고 무질서한 선적 조형미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밑단에 올 풀기 및 구멍 뚫기 기법을 사용하여 완성되지 않은듯한 마무리로 그런지의 포베라성을 더욱 강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고급스러움과 그런지한 감성의 접목으로 독특한 감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로 다른 질감을 가진 다양한 재료들을 고열압착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하나의 융합된 재질감으로 표출시킬 수 있었으며,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캐시미어와 인조가죽을 함께 믹스 앤 매치하여 소재의 촉감 및 착용감을 부가시킬 수 있었다. 넷째, 탈 부착이 가능한 의상과 스카프를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아이템들과 함께 레이어링에 있어, 연출의 다기능성을 기할 수 있었다. 다섯째, 겉감에 사용된 크래프트적 표현기법의 소재 이미지를, DTP기법을 통하여 안감으로 개발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었다. 여섯째, 하위문화적 감성의 그런지 이미지를 단순한 실루엣과 절제된 색채, 고급소재와의 믹스 앤 매치, 고난도의 봉제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고급스러운 꾸뛰르 감성을 표현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런지 패션은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낡고 빈곤한 이미지가 아닌, 장식성이 강한 그런지 패션만의 표현성을 갖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해외 오뜨꾸뛰르 디자이너들에 의하여 하이패션으로 자리잡은 그런지 패션에,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크래프트적 표현기법을 적용 시킴으로써 수공예적 장식성의 표현성을 가지는 것은, 국내 패션 브랜드의 예술적 차별화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그런지 패션의 재료와 표현기법에 관한 후속 연구가 더욱 심도 있고 체계적으로 전개되어 그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와 같은 신규 여성복 브랜드가 계속 등장하여 국내 여성복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주기를 기대한다.;The women's fashion brand market has over the years became subdivided, thus customers stray away from the established standards, to start consuming for values that focus on displaying personal character. The trend is moving away from affinity for name brands to moving towards brand identity and the pursuit for the customer's personal emotional needs to fit the purchase. Accordingly, the modern fashion industry needs to actively adjust to these changes by leaning away from the formal mass production and impractical and embrace the fusion of art and emotions to meet the demands of the customers; the investment on research that vitalizes new fashion trend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This study aims for the launching of a new women's fashion brand that can respond to the changes of the fashion market and consumer culture while embracing the emotions through the both artistic and practical ways. With the development of fabrics and materials having diverse components, this brand aims to establish a distinction of image among domestic brands and to revitalize the women's fashion market through the broadening the scope in use of materials and designer expression by utilizing materials used in grunge fashion. The results concluded from the theory-base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runge meant a 'dirty and loathing' younger generation fashion, but has transformed itself into a fashion that express a variety of emotions. It represents the rusty and run-down feelings of the late eighties and early nineties and later on became popularized by Mark Jacobs and came into the collection for the first time. Since then, many new designers add new twists and now has a place of its own in high fashion. Grunge fashion has the following techniques of expression: unfinished ends, discord, mix and match, layering, and the hand-craft look. Second, grunge fashion's nature of expression can be listed as the following, dissolution through use of broken down products, hand-craft likeness to add ornamentation, discord of material, playfulness of image fusion, reuse and recycl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old and run down arte povera.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collection from 2008F/W to 2014F/W, there have shown looseness in fitting, semi-undressing, puncturing, layering, and mix-and-match along with the dissolution, ornamentation, and arte povera. The expression techinques also seem to cross link each other. Third, the analysis on the domestic fashion market shows steady increase on consumer preference for the luxurious and craft-like. Furthermore, according to survey research, women in the fashion industry mostly prefer the grunge emotions in fashion designs, and tends to look favorably on the unique expression through the grunge style material use. Also, the fashion focuses on artistic value rather than price, yet it also strives for the utility within the artistry through mix and match, layering, and feel by touch.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materials used on the 2014S/S and 2014F/W women's clothes, it has moved to being more luxurious compared to 2012, more hand craft compared to 2013, and from 2014, focused more on maison-like hand craft artistry, with rough and smooth combined, and more varied in use of material through experimentation. We established ‘Urban Sophisticated Grunge’ look which combines a concept of 2014 F/W fabric trend for women's wear with a rough Grunge image of a modern sensibility. We created 8 sorts of clothes according to this concep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 expression of the techniques shown in grunge craft techniques applied a image of spider web motif is a free and disorderly beauty of a sculpture. Second, the uncompleted finishing for a povera image of grunge can be emphasized by fraying or puching a hole. Also the combination of the elegance and a grunge image can make as a result of this unique sensibility. Third, a variety of materials with different textures by using a Heat-Set Press can express one of a stable structure with a fused texture. Also the soft, luxurious cashmere and an artificial leather's mixing and matching could improve a texture's softness and wearability. Fourth, the detachable function of a scarf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a versatility from layering garments with a variety of items. Fifth, developing the DTP techniques with out shell's crafted fabric for using the lining can increase value of the products. All in all, the use of diverse material and methods has given emotions that are not old and poverished, but rather the strongly ornamented feel only grunge fashion can provide. Henceforth, many haute couture designers from abroad have made grunge a high fashion. This makes the distinction of domestic brands and the various use of techniques in handcraft and ornamentation all the more important factor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an anticipation for revitalized energy of the womens' fashion market thorugh entries of new brands could be follwed by further extensive research on the material and expression techinques used in grunge fashion and the broadening of their uti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