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한 신체의 유희적 표현연구

Title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한 신체의 유희적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active Art Based on the Playful Expression of the Body Image : Focused on ‘About the Body’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About the Body’는 신체의 생생한 작용들, 그리고 생과 삶을 주제로 유희적인 표현을 한 인터랙티브 아트 연작이다. 총 4개의 작업물을 하나로 연결하는 커다란 단편 동화가 연구자가 설정한 작품 전체의 세계관이 된다. 그리고 갤러리에 설치된 각각의 작품은 신체기관의 메타포이자, 이야기에서 배경(Scene)이 되었다. 배경 안에서 캐릭터들이 등장해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이는 상당히 유쾌하고 희망적인 주제를 갖고 있으며, 관객이 감상을 통해 자신의 생동감 넘치는 신체를 인식하고, 신체적 자아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기대한다. 고대로부터 현대까지의 미술에서 인간의 신체는 주제이자 매체, 개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그 양상은 미술사 전반에 거쳐 변화한다. 미술에서 드러나는 신체 이미지는 그 시대의 가치관과 패러다임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인간의 무의식에 관심을 가진 초현실주의는 합리적인 이성에만 지배받던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자 왜곡되고 미완결적인 신체 이미지를 드러낸다. Lambert, Rosemary(1996), 20세기 미술사(이석우 역), 파주: 열화당, pp.56-58 이처럼 신체 이미지 표현은 작가 나름의 사고와 사상, 신체에 대한 해석에서 비롯하며, 이러한 인식을 야기한 사회문화적 경험과 배경이 함께 수반된다. 본 연구자는 디지털 미디어 속에서 나타나는 신체 표현과 현대 미술에서의 신체표현의 변천사를 살펴 본 후, 현대미술에서의 신체표현 특성이 작가 중심적 표현 경향, 절단·해체·성형·변형을 통한 불완전한 이미지, 재생산과 상품화, 현대사회상과 작가의 자화상 반영, 새로운 매체의 활용, 그로테스크하고 괴이함, 언케니(Uncanny), 경계의 붕괴, 성의 탈고정화 등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모든 부정적이고 우울한 이미지들은 현대 사회와 작가에 대한 자화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가 지닌 인간 신체에 대한 이미지는 희망적이고 유쾌하며 죽음까지도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죽음이란 비극이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인 것이다. 동시에 생기넘치는 우주이자 아직은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은 미지의 공간이다. 이를 근거로 본 작품에서는 신체 자체의 밝고 유쾌한 생명력을 표현을 주제로 설정하고 설치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표현한다. 인터렉티브 아트 본연의 유희성과 관객이 작품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주제를 보다 쉽게 체감하고 즐길 수 있는 표현 기법으로서의 유희성을 함께 연구한다. 이때 유희적 조형성, 미술사 안에서 유희적 표현의 변천,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유희성에 대해 살펴본 후, 관련 작가와 작품을 분석한다. 연구작품의 표현기법인 카툰 애니메이션은 유머러스한 시각적인 유희를 제공해주며 유희성을 극대화 해준다. 이때 신체는 감상의 주체이자 작품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흥미로운 상황을 연출한다. 작품의 주제인 신체는 직접 작품의 미디어가 되면서 다양한 상징성을 내포하게 되는 것이다. 3개의 선행 연구 작품과 4개의 최종 작품을 제작한다. 디지털 매체를 포함한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한 일련의 작업들은 제작과정 또한 작품의 일부가 된다. 관객이 신체를 이용한 놀이와도 같은 작품 감상과 유머러스한 시각적 표현을 통해 유희를 즐기고 자신의 신체에 대해, 그리고 생명 탄생으로써의 시작과 죽음으로써의 끝에 대해 새롭게 고찰해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관객은 그들의 생동감 넘치는 자아를 작품에 투영시키고 참여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게 된다. ‘About the Body’는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전반적인 신체이미지와는 상반된 주제, 즉 낙관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유희성은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는데, 연구자는 작업에서 창작의 유희를 경험하였고, 카툰애니메이션에서 기인한 작품은 그 자체로 유희적 조형성을 띠고 있으며, 관객은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놀이본능을 일깨운다. 본 작업에서 인터랙티브 아트가 놀이로, 이야기로, 공감각으로 관객에게 다가가는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관객이 자유로운 놀이를 즐기고 신체와 자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연구함으로써 디지털 매체가 지닌 기술로부터 생산된 예술은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관객의 유희 본능을 충족시켜 주고 소통 할 지에 대한 제안이 되기를 기대한다.;‘About the Body’ is a series of interactive art of a playful expression based on the exuberant body function and existence. Topic of ‘About the Body’ series is based on a delightful, and hopeful theme and the audience can recognize their lively bodies through the work of appreciation. Through this experience, audience were expect to extend the range of identity, and physical ego.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human body is not only an important topic but also played significant role in defining media and concept, and that aspect varies throughout art history where body images in art reflect value and paradigm of a certain period. Thus, artists expresses the body image with their own thought, idea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body, accompanied in causing a sociocultural experience and background together. Researcher examined the body expression in the changing history of physical expression. The characteristic of physic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was concluded as author-centered propensity, imperfect image through amputation, surgery, and transformation and re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grotesque and bizarreness, and the breaking of boundary and gender freedom. This all-negative and melancholic image can be referred as self-image between modern society and artist. Though, in this project, the image of the human body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where death can be seen in a more positive light, through much more livelier universe in a yet fully understood unidentified space. This being so, discourse about the body on the work itself is vivid vitality based on interactive art. In order that audience may feel this statement by their body and gain inspiration, human play instinct was studied. To assist with the project, researcher look into the study of playfulness as formative element with changes of playful expression in art history and enjoyment in interactive art, including related authors and their works, and the relation between definition, character, flow of history and amusement of media and cartoon animation. ‘About the Body’ series utilized interactive art and cartoon animation, both of which has play element. These media art and cartoon animation, manipulates person’s play instinct and visual play, in which maximizing playfulness. At this point, the body, which is the main agent of appreciation and also the work interface, becomes the body, where it finally creates exciting situation. In this paper, three advance artworks were made in prior to producing four works using various medi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et audience enjoy humorous video, play-like art appreciation by using their bodies and also to consider about how amazing their own bodies are. The audience will apply their lively egos to this artwork and grasp the meaning of ‘About the Body’ through their participation. 'About the Body' work includes the 'Mirror Song', 'Bugger Time', 'Blood Circulation Booster for Three Senses' and 'The Guide to the Digestive Trip', and they were created after writing a short story that sets up the word view of whole work. Then, in the process of each work's conception, the work assigned to omnibus story fit to the theme and story made. The research introduces the concept of each artwork, explaining the interfaces, scenarios, and the work production process accordingly. A pleasant virtual world was materialized in various forms of each pieces; each work contains tableau-like printed graphics or character board, and video installation, and also, interactive art using Arduino, VVVV, Flash, along with the app which is to be appreciated in smart pad. At this point, tangible interface and physical computing make natural interaction where audience can be immersed in. The project is not only bringing fun to the audience but also the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it. The interactive and playful characters were intentionally developed, so that ‘About the Body’ can carry positive message contrary to body image of contemporary art. 'About the Body' suggests direction of media interactive art approach to audience as an amusement, story and synesthesia.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induce the audience with feel joy, fulfill their play instinct, and has optimistic cognition about their bodies and egos. In the end, the researcher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ould suggest another medium of interaction with audience by satisfying their play instinct while utilizing the technology and artistic form of media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