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이기나-
dc.creator이기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1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308-
dc.description.abstract노년기에는 발달 단계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감퇴하는 시기로 이는 대표적 노인성 질환인 치매로 이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 수 또한 증가하고 있어, 치매의 조기 발견 및 예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중 일상생활에서의 기억 능력 저하 경험에 관한 주관적 평가 혹은 보고를 의미하는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가 인지기능 손상 혹은 치매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증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연구들은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가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을 예측하는지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면서, 제 3의 변인이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관련 연구들은 정서적 요인인 우울이나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으나 이러한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가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을 예측하는지 검증하고, 이러한 예측력이 우울과 사회적 지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에 참여하는 기관 중 분당서울대병원의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당 자료의 대상자는 2013년 1월부터 2014년 3월 간 연구에 참여한 경기도 성남시 거주 60세 이상 노인으로, 총 453명(M=72,93, SD=6.2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는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을 유의하게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인인 우울도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을 유의하게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같은 수준으로 주관적 기억문제를 호소하더라도 우울 수준이 높을 경우 우울 수준이 낮은 때에 비해 더 저하된 객관적 인지기능 수행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객관적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는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을 유의하게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도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는 객관적 인지기능을 유의하게 예측하며,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의 예측력이 더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는 객관적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타당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 인지기능의 저하 혹은 치매를 예측하고 조기개입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측의 정확성을 더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인으로 우울이 고려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With an worldwide aging population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ith dementia, the concern about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ementia is increasing.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is emerging as the symptoms which can detect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early. However, related studies have reported the conflicting results whether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predict the level of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and suggested that the other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or social support, may affect on these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verify whether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predict the level of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and then whether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moderate this predictability. Thes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supported from Aiken and West(199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 of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Also,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 of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although participants have the same level of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higher level of depression showed lower level of cognitive function. 2.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 of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But,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was not signific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6 Ⅱ.이론적 배경 7 A.객관적 인지기능 7 1.노년기 객관적 인지기능 7 B.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9 1.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9 2.노년기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 12 C.우울 14 1.노년기 우울 14 2.노년기 우울과 객관적 인지기능 17 D.사회적 지지 18 1.노년기 사회적 지지 18 2.노년기 사회적 지지와 객관적 인지기능 21 Ⅲ.연구 방법 23 A.연구 대상 23 B.측정 도구 26 1.객관적 인지기능 26 2.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평가 27 3.우울 27 4.사회적 지지 28 C.연구 절차 29 D.자료 분석 30 Ⅳ.연구 결과 31 A.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31 1.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및 성별에 따른 집단별 평균비교 31 2.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33 B.노년기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34 1.노년기 객관적 인지기능에 대한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우울의 위계적 회귀분석 34 2.노년기 객관적 인지기능에 대한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사회적 지지의 위계적 회귀분석 37 Ⅴ.결론 및 제언 39 A.요약 및 논의 39 B.연구의 의의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부록목차 61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18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노년기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 인지기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Function in the Elderly :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s-
dc.creator.othernameLee, Ki Na-
dc.format.pageix,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