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근주-
dc.contributor.author이정아-
dc.creator이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6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1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622-
dc.description.abstract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은 어촌 지역의 고령화와 어가 인구의 감소 추세에 대응하고 어촌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존중하면서 어촌 자원을 활용해 어업 외 소득을 창출하여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난 2001년부터 시행되었다.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은 어촌 지역에 관광객의 유입을 증가시켜 어촌의 배타성을 줄이는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어촌 자원을 활용한 관광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어업 외 소득 증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어촌개발과 관련된 정책은 농업정책에 비해 정책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아 관련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1년부터 시행된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추진 경과 및 성과를 검토하고, 전국의 연안에 위치한 읍면동 중 어촌체험마을에 선정된 지역과 선정되지 않은 지역의 상호 비교를 통해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정책적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성과를 측정하는데 중요한 평가 요소를 확보하는 한편 2014년부터 시행되는 2단계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의 경험적 논의를 종합한 후에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성과의 결정 요인을 설정하고 이를 반영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가용 자료의 여건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연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읍면동 442개소와 2005년부터 2010년 동안 어촌체험마을로 선정된 읍면동 53개소를 분석 대상으로 하며,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선정 여부에 따라 각각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평균값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전체 읍면동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관광서비스업 발달 정도와 인구 변수가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별 관광서비스업 발달 정도를 의미하는 척도로 설정한 인구 1명당 숙박 및 서비스업 종사자 수의 변화율이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 수준은 .491만큼 증가하였으며, 인구가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 수준은 .179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5년부터 2010년 사이에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에 선정된 53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관리의 수준을 의미하는 사무장의 유무와 지역의 관광서비스업 발달 정도를 의미하는 인구 1명당 숙박 및 서비스업 종사자 수의 변화율이 종속변수인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의 관광서비스업 발달 정도를 의미하는 척도인 인구 1명당 숙박 및 서비스업 종사자 수의 변화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구 1명당 숙박 및 서비스업 종사자 수의 변화율이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 수준은 .816만큼 증가했다. 한편 관리의 수준을 의미하는 척도로 설정한 사무장 유무가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무장이 존재하지 않는 마을이 사무장이 운영에 참여하여 관리를 담당하는 어촌체험마을에 비해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촌체험마을을 운영하는 사무장의 전문성과 리더십이 아직까지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정책적 목표인 낙후된 어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어업 외 소득 증대 달성 여부에 대해 그 성취 여부를 평가할 경우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데 한계가 있다.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에 선정된 지역과 선정되지 않은 지역의 숙박 및 음식점업 매출액 변화율이 절대적인 수치상의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아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이 정책적인 목표를 달성했다는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이러한 결과는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재정지원 범위가 지역당 5억 원 수준으로 타 마을단위 사업에 비하여 높지 않으며 1개 어촌마을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의 효과가 전체 읍면동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사업이 어업인에 대한 직접적인 소득지원 보다 어촌과 도시의 교류 및 간접적 소득 지원에 정책적 목표가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에 대한 평가를 함에 있어 유의해야 할 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어촌체험마을의 선정 기준이 낙후된 어촌 지역을 배려하는 방향으로 시행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사업의 성과를 평가해야 한다. 둘째, 지속적인 사후 관리 및 예산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6년이라는 짧은 기간을 기준으로 사업의 성과를 평가할 경우 정확한 사업의 성과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본 사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보다 긴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정책적 성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시행으로 지역의 어업 외 소득이 증가했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어렵다. 다만, 향후 어촌체험마을로 선정된 지역이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촌체험마을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사무장의 전문성과 리더십을 함양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더불어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운영과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체계를 개선해야한다. 또한 어촌체험마을의 지역적인 편중 현상을 완화하는 한편, 사업 주체로서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고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예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1, in order to generate incomes from, except for the fishing industry and therefore promote economy by using resources in fishing village, while coping with aging and decreasing tendency of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and respecting social/cultural features in fishing areas. It is recognized to not only contribute to decreasing exclusivity of fishing areas by increasing influx of tourists, but also serve to expand incomes from, except for the fishing industry and create jobs by developing tourism product using resources in fishing villag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studies on policies related with fishing village development because they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than agricultural one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promotion progress and performance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01 and policy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between selected and non-selected areas as the Fishing Tourism Experience among Eup, Myeon and Dong located at coast in nationwide. And an important factor of evaluation for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is provided, while a political suggestion for the direction of second stage of it which would be initiated in 2014. This study puts together the existing empirical discussions through consider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by applying literature studies, then establishes determinant factor and constructs study model. By considering available materials, 442 sites of Eup, Myeon and Dong located at coast in Korea and 53 those of them selected as the Fishing Tourism Experience are analyzed, and the collected data are also analyzed with SPSS 18.0.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mean value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selected for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or not, t-test is conducted.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implemented to verify hypotheses of study mode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some factors to affect the performance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in the whole Eup, Myeon and Dong located at coast in Korea shows that developments of tourism service industry and population variable have a positive effect on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as one unit of change rate in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orking in accommodation and service industry per head of population as a scale of development of tourism service industry,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increase by .491 and the more population by one unit, the higher those of them by .179. Second, some factors to affect the performance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in 53 sites of Eup, Myeon and Dong selected for it from 2005 to 2010 are analyzed, it is found that presence of office manager which means level of management and change rate in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orking in accommodation and service industry per head of population, which indicates the developmental degree of local tourism service industr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In particular, the change rate in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orking in accommodation and service industry per head of population, the scale of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service industr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the more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orking in accommodation and service industry per head of population by one unit, the higher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by .816.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office manager, established as the scale of level of management seems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so when the office manager is not present, the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increase more than when he/she participates in operation and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in the Fishing Tourism Experience. From such a result, it may be interpreted that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of office manager who manages it are not yet sufficient. On the basis on the results above, there is a limit in positively evaluating whether enhancement of income from, except for the fishing industry and economic promotion in backward fishing area, as the policy goals of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can be achieved. The range of financial support is around 500 million won per region, which is not higher than costs of any other village-based businesses, probably because the effect of support business for one fishing village does not reach the whole of Eup, Myeon and Dong. In addition, another reason of this is thought that the policy goals of this business is indirect income support and exchange between city and fishing village, rather than direct income support for fishermen. Although there is definite difference in the rates of sales change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industry between selected and non-selected areas for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program achieves its policy goals because statically significant result is not derived. From the findings, it can be found that there is something to be noted in evaluating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in the future. The performance of program should be assessed given that the Fishing Tourism Experience is selected based on the intention to serve backward fishing areas.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ppraise the performance of business for six years, relatively short term, without continuous follow-up management and budget suppor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from the findings that incomes from, except for the fishing industry are increased due to conduction of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However, professionalism and leadership of the office manager who practically operates the Fishing Tourism Experience would be necessarily fostered to achieve the policy goals in the areas selected as it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improved more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in order to operate the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more effectively. Moreover, efforts to make it possible to reflect opinions of residents, subjects of the business and budget support for highlighting characteristics are necessary, while local bias of the Fishing Tourism Experience should be reduc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 1. 연구대상 2 2. 연구방법 4 C. 연구의 구성 5 II.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7 A. 정책 평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 7 1. 정책 평가의 개념 및 의의 7 2. 정책 평가의 범위 9 B. 선행연구 검토 12 1. 어촌지역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12 가. 어촌지역 관광개발 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인식조사 12 나. 사례분석을 통한 어촌관광 성공요인의 도출 및 일반화 14 다. 최근 연구 동향 15 2. 어촌관광 개발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6 3. 농어촌 지역개발 사업의 성과 측정에 관한 연구 18 4. 선행연구 검토 결과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0 III. 연구 설계 및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현황 23 A. 연구 설계 23 1. 조사도구 설계 및 연구가설 23 가. 종속변수 25 나. 독립변수 27 다. 통제변수 29 2. 연구모형 36 B.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현황 38 1. 도입배경 38 2. 정책 내용 및 전개 39 가.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목적 및 개요 39 나. 어촌체험마을 지정 현황 42 다.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추진 현황 및 성과 44 IV. 연구결과 분석 46 A. 기초통계분석 46 1. 종속변수 46 2. 독립변수 46 3. 통제변수 47 B. 다중회귀분석 49 C. 소결 57 V. 결론 62 A. 연구결과 요약 62 B.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64 C.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7 참고문헌 69 부록 74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0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어촌 지원정책의 성과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촌 체험마을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n Performance of Support Policy for Fishing Village : Focused on 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dc.creator.othernameLee, Jung A-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