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본조아리랑의 상징성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고개를 넘어」에 관한 연구

Title
본조아리랑의 상징성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고개를 넘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Across a pass』Based on Symbolism of Bonjo Arirang
Authors
최윤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현대사회는 모든 삶의 기준을 물질적 가치에 두고 있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더 나은 삶의 기준을 자기 마음의 풍요로움 보다는 물질적 산물만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그 결과 내면을 바라보는 것에 인색하게 되어 자신에게 다가온 마음의 시련과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순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결국엔 자신이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존재하는 지와 같은 진정한 자기존재의 의미를 깨닫지 못한 상태로 허황되게 살아가고 있다. 때문에 자기존재의 의미를 깨닫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고 내면의 시련과 한계를 극복해야하는데 이는 마음의 시련인 슬픔의 고개를 넘어서 희망의 고개에 다다르면 희망적인 미래가 있다는 본조아리랑에 나타난 심상공간(心想空間)으로써 아리랑고개의 저항의 상징성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본조아리랑에 나타난 심상공간으로써 아리랑고개의 저항의 상징성에서 이러한 의미를 찾고 이를 주제로 하여 자신의 내면을 먼저 바라보고 마음의 시련과 고난에 극복한다면 진정한 자기존재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는 주제로 무용창작작품「고개를 넘어」를 안무하였다. 먼저 무대전체공간을 마음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마음의 고개를 시각화하고자 하수, 중앙, 상수의 세 공간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아갈수록 자유, 밝음, 내면적인 것을 추구한다는 무대공간의 이동방향을 적용하여 하수에서 중앙, 중앙에서 상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으로 마음의 고개를 넘어가는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그래서 이 공간에 사각의 화이트 조명을 사용하여 가장 부정적인 의미의 왼쪽인 무대하수는 마음의 시련과 고난의 고개, 무대중앙은 마음의 시련과 고난에 저항하는 고개로, 가장 긍정적인 의미의 오른쪽인 상수는 자기존재의 의미를 인식하는 고개로 상징하였다. 1장은 현대인들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며 물질적 산물만을 쫓아가고 자신의 내면은 바라보지 못해 허황되게 살아가면서 겪는 마음의 시련과 고난에 대한 내용으로 전개된다. 시련과 고난의 공간을 표현하고자 가장 부정적인 의미의 왼쪽인 하수공간만을 사용하였는데 앞쪽에 정신적 초조함과 불안함을 상징하는 노란색의 탑 조명으로 마음의 시련과 고난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점차 사각의 화이트 조명으로 확장되게 하여 저항의 의지가 생겨나는 과도기적인 모습을 표현하였다. 또한 무용수의 계속된 뒷모습으로 단절된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지 못하는 것과 손끝만을 따라가는 시선을 통해 눈앞에 닥친 목표만을 쫓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적인 느낌의 움직임으로 마음의 시련에 지치고 나약해진 현대인들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2장은 마음의 시련과 한계에 저항하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이때 무대 중앙공간만을 사용하였는데 1장과 동일한 사각의 화이트 조명을 구성하여 고개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와 더불어 마음의 의지, 자극, 추진력을 의미하는 강렬한 빨간색의 경계가 불분명한 원 조명을 세 공간을 아우르는 형태로 사용하여 마음의 시련과 한계에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겨나는 심적 변화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무용수의 이동경로를 조명 공간 안으로 제한시켜 무대 앞뒤를 왕래하는 움직임으로 마음의 시련과 고난 안에서 벗어나려하는 모습을 나타내었고 마음의 시련과 고난에 얽매인 듯 바닥에 고정된 하체와 그에 반해 상체의 자유롭고 적극적인 움직임의 대비를 통해 저항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3장은 자기존재의 의미를 인식함으로써 진정한 자기존재의 의미를 깨달아가는 것을 표현하였다. 그래서 무대 상수공간만을 사용하여 자기존재의 의미를 인식하는 공간을 또 하나의 사각의 화이트 조명으로 구성하였다. 이어서 하수, 중앙, 상수로 공간이 확대되면서 진정한 자기존재의 의미를 깨달아가는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마지막에 세 개의 공간이 하나의 화이트 길 조명으로 이어져 슬픔의 고개를 극복하여 다다른 희망의 고개를 상징하였다. 그리고 상승된 시선, 확장된 움직임으로 무대전체공간을 넘어 다니는 무용수의 이동경로를 통해 진정한 자기존재의 의미에 대해 깨달아가는 희망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물질적인 산물과 눈앞에 닥친 목표만을 쫓는 삶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지 못하며 허황된 삶을 살아가는 현실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무용창작작품「고개를 넘어」를 통해 여기에서 오는 마음의 시련과 고난에 저항하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진정한 자기존재의 의미에 대해 깨닫는다면 자아실현을 이루는 희망적인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하였다.;People today value material wealth more than the abundance of the heart and, as a result, focus on what’s imminent and pursue hollow dreams. This has led to deficiency of self-existence on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lack of will to overcome the trial and limits of life. Consequently, people today are weak in the face of trials and limits and usually succumb to the hardships. Ultimately, they live without knowing the reason and the tru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o overcome this phenomenon, it is essential for us to introspect ourselves and get over the internal trials and limits. The image space of arirang hill from Bonjo arirang serves to symbolize of resistance such by expressing that bright future is imminent at the hill of hope after overcoming the hill of sadness. The researcher, I, choreographed the original dance「across a pass」to reflect that one can realize the true meaning of her existence by resisting internal trials introspection herself based on the image space symbolism of Arirang hill from Bonjo arirang. Firstly, the stage composition of this work utilizes the stage as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rt and visualizes the hills of the heart by using white square lighting and the stage divided into outside the downstage, center of the downstage and inside the downstage. In addition, progression of space from left to right implies pursuit of freedom and introspection and, as a result, the dance expresses how humans go through the hills of heart by proceeding from outside the stage to the center, and the center to inside the stage. Therefore, the white square lighting is applied to the stage, the most negative state of outside the downstage visualizes the hill of trial and tribulation, the center of the stage visualizes the hill of struggle to the trial and the tribulation, and the most positive state of inside the downstage visualizes the hill of perceiving the meaning of self-existence. The first chapter demonstrates people of today suffering from internal trials and tribulations result from pursue material wealth and imminent objectives without realize the true meaning of her existence. This chapter utilizes space outside the downstage and is lighted with yellow top lighting to demonstrate the internal trials and existence people today face. As the dancer moves toward the back of the stage, the white square lighting is applied to express the transition of the internal state. The dancer’s back faced the audience to express inability to introspect. Moreover, the dancer’s eyes followed her fingertips to show pursuit of imminent objectives and dancer’s static movements express the weakness of people in the face of sudden internal trials. The second chapter demonstrates how people resist these trials and hardships. This chapter utilizes the center of the stage, white square lighting from chapter 1 is composed to express image of hill. In addition, circular red lighting with obscure border, indicating internal will and drive, is applied to the space to indicate that it is the internal space of heart. And the dancer’s movement is restricted to the lighted space to show how people are constrained to internal trials and tribulations. In addition, the struggle was depicted by dancer moving back and forth the stage to escape from the confined space. The contrast between the lower bodies, constrained to the floor to show human constrained by internal trials and tribulations, and the upper body, free and active movement, amplified the image of the internal struggle. The third chapter shows finding and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self-existence. Therefore, this chapter utilizes inside the downstage, white square lighting is applied to indicate the space of self-existence. The process of self-existence is depicted by demonstration of the three hill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ancer. Finally, the three spaces are connected with long white light, indicating that the dancer has arrived at the hill of hope after overcoming the hill of sorrows. And then, the moving route of the dancer on the whole stage in elevated sight, and larger movements demonstrates the hopeful image of self-existence. The researcher, I, choreographed the original dance「across a pass」by perception of reality problem about people of today pursue material wealth and imminent objectives without realize the true meaning of her existence. The researcher intends to deliver the message internal struggle and overcoming of trials and tribulations allow people to ultimately realize the true meaning of self-existence, at last people can march towards hopeful future by performing the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